
총 110개
-
다이오드의 특성 및 정류회로2025.05.161.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으로,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이오드에는 게르마늄 다이오드와 실리콘 다이오드가 있으며, 이들은 P-N 접합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이오드의 양극(양극성)과 음극(음극성)은 각각 P 영역과 N 영역으로 구분됩니다.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일 때 전류가 흐르며,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일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2. LED LED(Light Emitting Diode)는 다이오드의 일종으로, P-N 접합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류가 흐르...2025.05.16
-
경희대학교 기계공학과 기계공학실험 (기공실) A+ 보고서_LED제어(LAB VIEW 응용)2025.05.071. 다이오드 다이오드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내부 저항의 차이로 전류의 흐름을 한쪽으로 주기위해 사용하는 전기 소자이다. 하나의 장치에 2개의 단자를 갖고 있는 특징이 있으며 다이오드에서 전류가 잘 흐르는 방향을 순방향, 반대로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한다.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쪽으로만 흘리므로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를 직류(direct current, DC)로 변환하는데 사용하기도 하며, 전압 차이를 이용하여, 커페시턴스를 조절하는 가변용량 다이오드도 있다. 2. LED 이번 실험에 ...2025.05.07
-
[A+] 다이오드1 보고서2025.05.151. 다이오드 이번 실험을 통해 다이오드는 5가 원소를 넣어 만든 N형 반도체와 3가 원소를 넣어 만든 P형 반도체를 붙여 한 쪽으로만 전기가 흐르게 하는 회로 소자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다이오드는 역방향일 때 전류가 흐르지 않고 순방향일 때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전압이 한 지점을 넘어서면 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았으며 이것은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문턱전압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 반도체는 절연체와 도체 사이 중간 정도의 전기저항을 갖습니다. 순수한 반도체의 전기전도도는 매우 낮지...2025.05.15
-
LED(PN Diode) 측정 및 분석 실습 Report2025.01.121. PN junction diode (LED) LED는 전자가 많아 음의 성격을 띤 n형 반도체와 전자의 반대 개념인 정공이 많아 양의 성격을 띤 p형 반도체의 이종접합 구조를 가진다. Forward bias를 가하면 전류가 흘러 발광을 하며, 에너지 준위차인 Band gap에 따라 빛의 색상이 정해진다. LED의 I-V 특성에서는 Forward bias 시 Threshold Voltage 이하에서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다가 Vth 이상이 되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며, Reverse bias 시 Breakdown voltage까지...2025.01.12
-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 디스플레이 중요 용어 조사2025.05.081.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로,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입니다. 기존 디스플레이와 달리 백라이트가 없어 슬림하고, 어두운 곳이나 밝은 야외에서도 선명한 화질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번인 현상이 단점으로 지적됩니다. 2. 친환경 QD (퀀텀닷) 퀀텀닷은 크기에 따라 발광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이 있지만, 핵심 재료인...2025.05.08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실험 5-1 다이오드 특성실험 예비보고서2025.01.171. 다이오드의 기본특성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소자로서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순방향 전압이 걸리면 전류가 흐르지만 역방향 전압이 걸리면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의 관계는 비선형적이다. 2. 다이오드의 검사 디지털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과 역방향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순방향 전압은 0.5~0.9V 정도이고, 역방향 전압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아 0.L로 표시된다. 다이오드가 단락되면 순방향과 역방향 전...2025.01.17
-
[A+, 에리카] [A+] 2021-1학기 논리설계및실험 Decoder, 7segment 실험결과보고서2025.05.011. Decoder Decoder는 2진수 입력값을 10진수 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입력값 a, b를 받아 d3, d2, d1, d0의 값으로 출력하며, 총 4개의 minterm을 만듭니다. 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를 이용하여 논리회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2. 7segment 7segment는 LED 7개와 dp가 복합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0~9까지의 숫자를 display를 통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common-anode type과 common-cathode type으로 나뉘며, 각 led의 not gat...2025.05.01
-
실험3광전 소자의 특성 실험2025.05.111. LED의 특성 LED는 자신의 단자에 전류나 전압이 인가 될 때 빛을 발생 시키는 반도체 소자로, 광전자 소자로 구분되기도 한다. LED는 백열전구에 비해서 긴 수명과 낮은 소비 전력을 갖기 때문에 전자 장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광원이다. LED는 다른 반도체 다이오드와 유사하게 기본적으로는 PN 접합형 다이오드와 같이 순 방향으로 바이어스 되거나 역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되면 순방향 전류에 대한 응답으로 빛을 발광 한다. 2. 7 세그먼트 LED 디스플레이 LED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응용 분야 중 ...2025.05.11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13. 발전기 원리 실험2025.05.131. 코일의 인덕턴스 측정 RL회로를 이용하여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Oscilloscope의 curosr기능을 사용하여 저항전압이 입력전압의 63%가 되는 time constant(시정수)를 측정하였다. RL회로의 time constant tau = L over R이고, R = 10.098 [kΩ]+ 0.129[kΩ](코일 내부 저항 값)을 활용하여 L= tau R로 코일의 인덕턴스를 구한다. 그 결과 L = 116.688 [mH]이다. 2. 코일의 전압 생성 확인 Faraday's Law는 어떤 폐회로에...2025.05.13
-
기초전자공학 - 전기회로의 기초실습22025.01.041. 저항기의 컬러 판독 실험을 통해 저항기의 컬러 코드와 실제 측정값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오차 범위 내에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저항기의 컬러 코드 판독 방법을 이해할 수 있었다. 2. 가변 저항기 가변 저항기의 단자 간 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손잡이를 돌리면 R12는 증가하고 R23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13은 손잡이 위치와 관계없이 일정함을 알 수 있었다. 3. CDS 셀의 저항 측정 CDS 셀의 저항을 밝은 환경과 어두운 환경에서 측정하여, 빛에 따른 저항 변화를 확인하였다. 어두운 환경에서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