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 기계공학과 기계공학실험 (기공실) A+ 보고서_LED제어(LAB VIEW 응용)
본 내용은
"
경희대학교 기계공학과 기계공학실험 (기공실) A+ 보고서_LED제어(LAB VIEW 응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0
문서 내 토픽
-
1. 다이오드다이오드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내부 저항의 차이로 전류의 흐름을 한쪽으로 주기위해 사용하는 전기 소자이다. 하나의 장치에 2개의 단자를 갖고 있는 특징이 있으며 다이오드에서 전류가 잘 흐르는 방향을 순방향, 반대로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한다.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쪽으로만 흘리므로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를 직류(direct current, DC)로 변환하는데 사용하기도 하며, 전압 차이를 이용하여, 커페시턴스를 조절하는 가변용량 다이오드도 있다.
-
2. LED이번 실험에 사용하게되는 LED는 전압이 인가되면 p-n접합구조의 공핍층에서 정공과 전자가 충돌하는상황을 이용한다. 이 때, 발생하는 입자가 가시광선의 형태로 표현되어, 이를 활용하여 빛을 이용하는 다양한 도구에 사용될 수 있다.
-
3. 전계발광단어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형광체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빛을 발하는 현상이며. 자기장 발광 패널은 흔히 랩톱형이나 노트북형 등 휴대용 소형 컴퓨터의 액정 표시 장치 뒤에서 빛을 비쳐 주는 데 사용되는 원리이다. 전계 발광 패널은 2개의 얇은 전극(그중 하나는 투명한) 사이에 형광체를 끼워 넣은 구조로 되어 있다. 발광 원인은 전계에 의해 가속된 자유 전자가 발광 물질 안에 있는 발광 중심의 특정 불순물 전자를 위치시켜 그것이 원래대로 되돌아갈 때 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이다.
-
1. 다이오드다이오드는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반도체 소자입니다.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정류, 검파, 스위칭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다이오드는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 전자 회로의 보호 회로,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고성능 다이오드 개발로 인해 전력 변환 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에너지 절감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이오드 기술의 발전은 전자 기기의 성능 향상과 에너지 효율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LEDLED(Light Emitting Diode)는 반도체 소자로,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LED는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며, 크기가 작고 가벼워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LED는 조명, 디스플레이, 신호등,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LED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밝고 효율적인 LED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또한 LED는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기 때문에 미래 조명 기술의 핵심 소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3. 전계발광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EL)은 전기적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는 현상으로, 전압을 가하면 발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계발광 기술은 디스플레이, 조명,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OLED)는 자발광 특성으로 인해 높은 명암비와 빠른 응답속도, 넓은 시야각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스마트폰, TV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계발광 기술은 에너지 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이어서 미래 조명 기술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전계발광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더욱 다양한 응용 분야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