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2개
-
전력전자공학 설계된 값을 가지고 PSIM으로 시뮬레이션을 하여 설계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확인하고 각부 파형2025.01.221. 승압 컨버터 설계 이번 설계 과제에서는 저항 부하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승압 컨버터를 설계하였다. 공급전압이 일정할 때 원하는 출력전압을 얻기 위해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설계하였으며, 설계된 컨버터의 동작을 PSI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각 부위의 파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력 변환의 원리를 깊이 이해하고 실제 설계와 시뮬레이션을 경험할 수 있었다. 2. 승압 컨버터의 동작 원리 승압 컨버터(Boost Converter)는 입력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DC-DC 변환기로, 스위치가 꺼져...2025.01.22
-
부산대_응용전기전자실험2_예비보고서4_MOSFET [A+보고서]2025.01.291. MOSFET Buck Chopper MOSFET Buck Chopper는 전류의 ON-OFF를 반복하여 직류 또는 교류 전원으로부터 원하는 전압이나 전류를 만들어내는 전원 회로 제어 방식입니다. 스위칭 소자가 ON일 때 전류가 흐르고 OFF일 때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서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낮아지는 강압형 컨버터입니다. 인덕터의 전압 특성을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적절한 인덕턴스와 스위칭 주파수 선정이 중요합니다. 2. MOSFET Boost Chopper MOSFET Boost Chopper는...2025.01.29
-
[A+]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2025.04.291.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on-off 시간을 조절하여 출력을 안정화시킨 직류 안정화 전원 장치입니다. 고효율,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다수의 전자기기 및 장비 등에 사용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DC-DC 컨버터에 있어 부품의 기생 요소에 의해 출력전압의 저하가 발생하면 안정화 전원으로서의 응용이 곤란하므로 PWM 방식을 채택한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줍니다. 2. PWM 제어 회로 PWM 제어 회로를 구성하여 톱니 파형과 출력 파형을 확인...2025.04.29
-
SMPS 결과보고서2025.04.271. PWM 제어회로 PWM 제어회로를 구성하고 톱니파형과 출력파형을 확인하였다. 설계목표인 출력전압 0V~10Vpp, 스위칭 주파수 12.5kHz(=주기 80us)를 만족하였다. 2. Buck Converter Buck Converter 회로를 구성하고 PWM 제어회로의 펄스파 출력을 MOSFET의 Gate에 연결하였다. 입력전압 5V를 인가하고 가변저항 값 변화에 따른 Duty cycle과 출력전압을 측정하였다. 3. Boost Converter Boost Converter 회로를 구성하고 PWM 제어회로의 펄스파 출력을 MOS...2025.04.27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22025.01.171. PWM 제어회로 PWM 제어회로를 구성하고 톱니파형과 출력 파형을 확인하였다. PWM 제어회로는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생긴 오차를 오차 증폭기로 증폭하고, 이 증폭된 전압은 비교기에서 톱니파와 비교되어 오차에 상응한 구형파 펄스를 생성한다.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톱니파형과 이에 대한 구형파를 관찰할 수 있었다. 2. Buck Converter Buck Converter 회로를 구성하고 입력 전압을 변경하며 출력 전압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상적인 출력 전압이 나오지 않았는데, 그 이유로는 가변저항 값의 부정확성, 소...2025.01.17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결과보고서2 SMPS2025.05.151. PWM 제어회로 PWM 제어회로를 구성하고, 톱니 파형과 출력 파형을 확인하였다. PWM 제어회로는 일정 주기동안 output으로 파워를 전달하도록 스위치를 on 하는 역할을 한다. 실험 결과, 주파수가 12.5kHz이고 Vpp값이 약 10V로 출력되어 계획서의 목표를 만족하였다. 2. Buck Converter 시간 관계상 Buck Converter 실험은 생략하고 Boost Converter만을 실험하였다. 3. Boost Converter Boost Converter 회로를 이용하여 SMPS를 구현하였다. PWM 제어회로...2025.05.15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예비 보고서2025.01.041. PWM 제어 회로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회로는 출력 전압의 오차분만큼 펄스폭을 조정하여 출력 전압을 안정화 시키는 회로입니다.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한 오차를 검출하여 증폭하는 오차 증폭기(Error Amp)와 검출된 오차 전압과 톱니파를 비교하여 구형파 펄스를 발생시키는 비교기(Comparator) 그리고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Converter의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동회로(Driver stage)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Buck Converter Buck Converter는...2025.01.04
-
MOSFET 결과보고서 (2)2025.01.231. Buck chopper 실험 Buck chopper 실험에서는 인덕터를 제거하고 duty ratio를 30%, 60%, 90%로 변화시키며 결과를 관찰했다. 실험 결과 그래프를 통해 MOSFET이 ON될 때 V2 값이 존재하고 OFF될 때 V2 값이 0에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Buck chopper가 V2의 평균값을 낮추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MOSFET이 ON일 때 다이오드가 OFF되어 Iout 값이 증가하고, OFF일 때 다이오드가 ON되어 Iout 값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2025.01.23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2025.05.101. PWM 제어 회로 설계 UC3845 PWM 제어 IC를 이용하여 0.1V ~ 13.5V의 PWM 제어 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 스위칭 주파수는 12.5kHz로 설정한다. PWM 제어 회로의 출력 신호는 Driver stage의 스위치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2. Buck Converter 회로 설계 PWM 제어 회로와 Buck Converter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 5V, 출력 전압 2.5V의 SMPS를 설계할 수 있다. 스위칭 주파수는 12.5kHz이며, 듀티 사이클 D=0.5이다. 인덕터 전류의 리플 전류와 출력 전압...2025.05.10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예비 보고서 (실험 10 MOSFET 바이어스 회로)2025.01.291. MOSFET 바이어스 회로 MOSFET을 증폭기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DC 바이어스가 인가되어야 하며, 이때의 DC 바이어스를 동작점 또는 Q점이라고 부른다. DC 바이어스는 증폭기의 전압 이득과 스윙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실험에서는 MOSFET을 이용한 증폭기의 DC 동작점을 잡아주기 위한 바이어스 회로에 대해서 공부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동작을 확인하고자 한다. 2. 게이트 바이어스 회로 게이트 바이어스 회로(실험회로 1)는 가장 기본적인 전압분배 MOSFET 바이어스 회로이다. 이 회로는 소스 단자...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