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결과보고서2 SMPS
본 내용은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결과보고서2 SMP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7
문서 내 토픽
-
1. PWM 제어회로PWM 제어회로를 구성하고, 톱니 파형과 출력 파형을 확인하였다. PWM 제어회로는 일정 주기동안 output으로 파워를 전달하도록 스위치를 on 하는 역할을 한다. 실험 결과, 주파수가 12.5kHz이고 Vpp값이 약 10V로 출력되어 계획서의 목표를 만족하였다.
-
2. Buck Converter시간 관계상 Buck Converter 실험은 생략하고 Boost Converter만을 실험하였다.
-
3. Boost ConverterBoost Converter 회로를 이용하여 SMPS를 구현하였다. PWM 제어회로의 출력을 Boost Converter의 MOSFET 게이트에 연결하여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였다. 가변저항 값을 조절하며 Duty와 출력전압을 확인하였고, 이론값과 실험값의 오차율이 약 10% 내외로 나타났다.
-
4. Buck Converter와 Boost Converter의 차이Buck Converter는 입력전압보다 출력전압이 낮은 강압 회로이고, Boost Converter는 입력전압보다 출력전압이 높은 승압 회로이다. 두 Converter 모두 MOSFET 스위칭을 통해 Duty Rate에 비례하여 출력전압이 결정된다.
-
5. 부하저항에 따른 전압 변화Boost Converter 실험에서 부하저항 값을 변경하면 Duty Rate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전압이 달리 나타났다. Duty Rate가 증가할수록 출력전압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1. PWM 제어회로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회로는 전력 전자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WM 제어를 통해 전압, 전류, 속도 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PWM 제어회로는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을 일정한 주기로 on/off 시켜 출력 전압을 조절합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전력 변환이 가능하며, 모터 제어, 전력 변환기, 조명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PWM 제어회로의 설계 및 구현은 전력 전자 분야에서 핵심적인 기술이며, 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
2. Buck ConverterBuck Converter는 DC-DC 전력 변환 회로의 한 종류로, 입력 전압을 낮추어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효율적인 전력 변환을 통해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력 전자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Buck Converter는 스위칭 소자, 인덕터, 캐패시터 등의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을 조절하고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전자 기기와 시스템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Buck Converter의 설계와 제어 기술은 전력 전자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이며,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3. Boost ConverterBoost Converter는 DC-DC 전력 변환 회로의 한 종류로, 입력 전압을 높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낮은 입력 전압을 증폭하여 필요한 높은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어 전력 전자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Boost Converter는 스위칭 소자, 인덕터, 캐패시터 등의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을 조절하고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킵니다. 이를 통해 태양광 발전, 연료 전지, 배터리 충전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Boost Converter의 설계와 제어 기술은 전력 전자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이며,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4. Buck Converter와 Boost Converter의 차이Buck Converter와 Boost Converter는 모두 DC-DC 전력 변환 회로이지만,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관계에 따라 구분됩니다. Buck Converter는 입력 전압을 낮추어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반면, Boost Converter는 입력 전압을 높여 출력 전압을 생성합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회로 구성과 동작 원리가 다릅니다. Buck Converter는 주로 높은 입력 전압을 낮은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며, Boost Converter는 낮은 입력 전압을 높은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각각의 응용 분야와 설계 고려 사항이 다르며, 전력 전자 시스템 설계 시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5. 부하저항에 따른 전압 변화부하저항은 전력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부하저항의 크기에 따라 회로의 동작 특성이 달라지며, 이는 출력 전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부하저항이 감소하면 출력 전압이 낮아지고, 부하저항이 증가하면 출력 전압이 높아집니다. 이는 전력 전자 회로의 부하 특성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전력 전자 시스템 설계 시 부하 변동에 따른 출력 전압 변화를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제어 기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부하 변동에 대한 출력 전압 안정화는 전력 전자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 실습 실습2_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_결과보고서1. PWM 제어회로 PWM 제어회로의 가변저항 크기 변경을 통해 원하는 스위칭 주파수를 만들 수 있었고, 제어회로의 출력 펄스를 통해 SMPS 회로의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었다. 2. Buck Converter PWM 제어회로와 Buck Converter를 이용해 일정한 직류 출력을 내는 SMPS 회로를 설계하였다. 3. SMPS 회로 SMPS는 일정...2025.01.21 · 공학/기술
-
[A+]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1.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on-off 시간을 조절하여 출력을 안정화시킨 직류 안정화 전원 장치입니다. 고효율,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다수의 전자기기 및 장비 등에 사용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DC-DC 컨버터에 있어 부품의 기생 요소에 의해 출력전압의 저하가 발생하면 안정화 전원...2025.04.29 · 공학/기술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설계실습 실습2(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결과보고서 7페이지
설계실습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요약전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안정화 역할을 해주는 PWM 제어회로에 대해 실험을 하였다. PWM 제어회로를 설계하였을 때 Vref의 파형은 톱니파가 나왔고 출력 전압의 파형은 구형파가 나왔다. 스위칭 주파수 12.5 ㎑를 맞추기 위해 출력 전압의 주기를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 가변저항을 약 7.08 ㏀으로 설정해 주었다. Buck Converter를 설계하였을 때는 PWM 제어회로를 설계하여야 하지만 Function generator로 대신 하였고...2020.09.24· 7페이지 -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결과보고서 [2021년도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A+ 자료] 9페이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실습 2 결과보고서-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학과 :담당 교수님 :제출일 :조 :학번 / 이름 :2-4. 설계실습 내용 및 분석2-4-1 PWM 제어회로① PWM 제어회로를 구성한다.PWM의 7번포트에 입력전압 10V를 인가, 8번포트로 Vref인 5V를 인가한다.② 톱니 파형과 출력 파형을 확인한다.실험을 통해 PWM 제어 회로의 4번 단자에서 톱니 파형을, 6번 단자에서 출력전압(V` _{o} `) 파형을 관찰하였다. 스위칭 주파수 f = 12.5kHz로 맞...2022.09.07· 9페이지 -
[중앙대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설계실습2(Switching Mode Power Supply(SMPS)) 결과보고서 6페이지
실습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SMPS) 결과보고서201xxxxx 홍길동6조 : 홍길동 xxx xxx실험날짜 : 20190926제출날짜 : 20191010요약 : SMPS를 PWM-Buck Converter와 PWM-Boost Converter 2가지 방법으로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설계한 PWM 제어회로의 4번 핀에서 톱니파형이 나옴을 확인했고, 6번 핀에서 펄스파 출력이 나옴을 확인했다. 출력의 스위칭 주파수는 설계한대로 12.5 kHz(주기= 80 us)이었다. 먼저 PWM-Buck Converte...2020.08.11· 6페이지 -
[A+]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6페이지
SMPS의 동작 원리와 회로 모듈을 이해하여 SMPS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본 실험을 진 행하였다. UC3845라는 소자를 이용하여 PWM 제어 회로를 설계했다. 주어진 성능인 0 [V] ~ 10 [V]의 출력전압과 12.59 [kHz]의 스위칭 주파수를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PWM 제어 회로와 Buck converter 회 로를 이용하여 의 값을 증가시켰을 때 출력전압과 Duty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문제에서 주어진 2.5 [V]의 출 력전압보다 매우 낮은 436 [mV]가 측정되었지...2023.02.06· 6페이지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과제)2 3페이지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설계 실습(실습2 결과보고서)소속전자전기공학부담당교수수업 시간학번성명설계실습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과제1-1. 위의 회로에서 가변저항 값이 6k ohm 일 때, 시정수tau 의 값을 구하시오.R과 C로 구성된 회로의 시정수 값은tau =RC 이다.이때 가변저항의 값은 6k ohm 이고, 커패시터는 10 nF이므로tau =RC=(6 TIMES 10 ^{3} ) TIMES (10 TIMES 10 ^{-9} )`=60 TIMES 10 ^{-6} =60`us 이다.1-2.V...2022.09.14·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