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Hematochezia(혈변), Melena(흑변),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위내시경), Colonoscopy, CFS(대장내시경), Sigmoidoscopy, SFS(S상결장내시경)2025.01.161. Hematochezia(혈변) VS Melena(흑변) Hematochezia(혈변)은 선홍색의 피가 섞인 변으로 하부 위장관 출혈을 나타내며, 출혈부위가 항문에 가까울수록 선홍색이 관찰된다. 출혈량이 적거나 천천히 배출되는 경우에도 하부 위장관 출혈이 있으면 흑색변이 관찰될 수 있다. Melena(흑변)은 자장면 소스처럼 검정색을 띠는 변으로, 헤모글로빈이 위산과 반응하여 어두운 색을 띠게 되며 상부 위장관 출혈을 나타낸다. 상부 위장관 출혈이 있어도 밝은 적색변이 관찰될 수 있다. 증상으로는 구토, 현기증, 어지러움, 창백...2025.01.16
-
특수간호실습 CASE STUDY: A0 받은 장게실염 간호과정 보고서2025.04.281. Diverticular disease 대장 게실은 대장벽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탈출된 주머니이고, 게실 질환은 합병증이나 통증이 동반된 경우이다. 대개 아무런 증상이 없기 때문에 대장 내시경검사나 대장 조영술 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게실에 염증이 생기면 열, 복통, 복막자극 증상 등이 나타나게 되며, 염증이 생기면서 변비 증상이 생길 수도 있다.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현상은 4명 중 1명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드물게 대량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진단을 위한 검사로는 대장내시경, 대장조영술, 복부 CT, 복...2025.04.28
-
상하부 위장관 내시경 적용 대상자의 검사과정 및 전후 간호 관찰 레포트2025.05.061. 위내시경 EGD Esophagogastroduodenoscopy 위내시경은 상부 위장관 촬영(위식도 조영술)을 통해 식도, 위, 십이지장의 해부학적, 기능적인 이상을 진단하는 검사법입니다. 검사 전 간호로는 약물 준비, 금식, 의치 제거, 복용약 확인 등이 필요하며, 검사 후에는 활력징후 사정, 구토반사 회복, 합병증 관찰 등의 간호가 이루어집니다. 2. 대장내시경 Colonoscopy 대장내시경은 하부 위장관 촬영(대장 조영술)을 통해 대장의 이상을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검사 전 간호로는 하제 복용 돕기, 식이 교육, 약물 ...2025.05.06
-
내시경(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기관지내시경,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 목적, 방법, 간호중재2025.01.121. 위내시경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위내시경은 상부 위장관(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하여 염증이나 종양 등을 진단하고, 조직검사, 병변 절제, 출혈 지혈 등의 치료적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검사 전 준비로는 금식, 위장 운동 억제제 투여, 국소마취 등이 필요하며, 검사 후에는 합병증 관찰, 금식 유지, 증상 관리 등의 간호가 필요합니다. 2. 대장내시경 (Colonoscopy, CFS) 대장내시경은 항문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대장을 관찰하고, 조직검사, 병변 절제, 출혈 지혈 등의 치료적...2025.01.12
-
진단검사와 간호/요약집/비뇨기계/위장관계/심혈관계/핵심정리/2025.05.061. 위장관계(Digestive System) 게실염(Diverticulitis)은 게실(憩室;diverticulum)이라는 내부에 공간이 있는 장기의 바깥쪽으로 돌출한 비정상적인 작은 주머니, 특히 대장에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게실증은 여러 개의 게실이 있는 경우이며, 게실염은 게실안으로 변, 오염물질이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상부 위장관 촬영(Upper GI, small bowel series)과 바륨관장(Barium enema)을 통해 게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적혈구 침강 속도(ESR)와 대장내시경(Colonos...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