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종양면역치료요법2025.01.181. 종양면역치료요법 종양면역치료요법은 우리 몸에 있는 면역계를 활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에 대한 아이디어는 19세기에 처음으로 나왔으나 방사선 요법과 화학 요법의 발견으로 인해 크게 관심받지 못했다. 최근 분자 및 생화학의 발전을 통해 T 세포가 암 조직을 공격할 수 있다는 명백한 증거가 제공됨에 따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양면역치료요법에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 세포를 체내에 주입하는 방법, 암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암 백신 방법이 존재한다. 종양면역치료요법의 핵심 메커니즘은 CTLA4와 PD1 경로를 통...2025.01.18
-
생명과학 세특 항암제의 원리와 CAR-T치료2025.01.241. 항암제의 역사 항암제의 역사를 살펴보면 1세대와 2세대 항암제는 각각 합성 화학물질과 바이오(항체) 물질이었기에 그 특성은 다르지만, 일종의 분자(화학물질과 생체물질인 항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3세대인 면역항암제는 면역세포를 활성화한 세포 자체를 이용한다. 이러한 점들을 토대로 항암 치료의 패러다임이 분자에서 세포로 전환되고 있음을 깨달을 수 있었다. 2. 면역 항암제 암세포는 'PD-L1'이라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 단백질은 T-세포의 PD-1 단백질과 결합하여 T-세포의 면역 브레이크...2025.01.24
-
유전자 치료 성공사례2025.04.261. 유전자 치료 유전자 발현체계(gene expression system)를 이용해 치료 유전자를 질병부위에 전달하고 이상 유전자를 대치하거나 그 부위에 치료용 단백질을 생산케 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말한다. 간단히 말해, 유전자 치료의 원리는 치료용 유전자를 생체 내에 적절히 발현시켜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2. 유전자 치료 성공사례 1) 난치성 간질환 환자의 간을 15% 가량 떼어낸 뒤 정상적인 유전자를 삽입하여 환자의 콜레스테롤 수치가 치료 시작 5개월 만에 30-35% 정도 떨어졌음. 2) SCID(중증 복...2025.04.26
-
표적치료제, 암환자치료, 항암제 PPT2025.05.131. 표적치료제의 정의와 원리 표적치료제는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모두 공격할 수 있는 세포 독성 항암제와는 달리 암세포에 있는 특정 단백질(표적)을 차단하여 암세포의 활동을 억제하는 약제입니다. 표적치료의 원리는 암세포에만 있는 신호전달체계(signal transduction pathway)를 와해시키는 것입니다. 2. 표적치료제의 종류 현재까지 개발된 표적치료제는 단클론항체, 신호전달체계억제제(티로신키나제억제제, 신생혈관억제제), 면역억제제 등으로 분류됩니다. 3. 세포신호전달체계 세포신호전달체계는 세포 외부의 신호 분자가 세포막에...2025.05.13
-
암 면역회피 및 암 미세환경의 개념 (Cold tumor의 개념)2025.05.111. 암 면역 회피 암 면역 회피는 '암세포의 면역 항원 방출 감소 → 수지상 세포 성숙 과정 억제 → T 면역세포의 활성화 억제 → T 세포의 이동 (Migration) 및 침투 억제'과정으로 암 미세환경 (Tumor microenvironment, TME)이 조성됨. 최근 정상적인 암 면역반응의 암세포를 'Hot tumor', 암 면역 회피 반응의 암세포를 'Cold tumor'로 분류하여, 'Cold tumor → Hot tumor'로 변환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음. 2. 암 면역반응 과정 암 면역반응은 암세포에서의 ...2025.05.11
-
신장이식에서의 면역억제요법의 최신지견2025.04.271. 생물학적 제제를 이용한 면역억제요법 신이식 분야에서 급성거부반응의 예방과 단기간의 이식편 생존율의 향상은 뚜렷한 성장을 보였으나, 이러한 성공은 장기간의 이식편 생존율 향상으로 연결되지 못했다.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단기간의 성공적인 성적에 큰 역할을 했던 칼시뉴린 억제제는 후기 이식신 기능 소실과 일반인구에 비해 신이식 환자의 높은 사망률과 관계가 있다. 이에 따라 신독성 약제와 심혈관 부작용을 유발하는 약제를 포함시키지 않는 새로운 면역억제 요법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생물학적제제들 즉 단클론 항체, 다클론 항체, 면역글로불...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