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그리스어 기초 - 현재 능동태 직설법과 헬라어의 역사2025.01.031. 현재 능동태 직설법 현재 능동태 직설법은 헬라어 문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많은 문학 작품과 문서에서 사용됩니다. 이러한 형태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헬라어 문법과 문학을 공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1,848개의 헬라어 동사 중 주로 사용되는 것은 ω동사이므로 ω동사의 변화를 잘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ω동사의 현재 능동태 직설법의 변화를 숙지하면, 헬라어 문장 속에서 수천 개의 동사의 품사와 시제를 식별하고,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 마스터키를 소유하게 될 것입니다. 2. 현재 능동태 직설...2025.01.03
-
코이네 그리스어의 역사와 현재 능동태 직설법2025.01.021. 헬라어의 역사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원시 그리스어를 시작으로 하여 인류의 언어 중 가장 긴 역사를 가진 언어입니다. 시대적으로는 에라스무스를 기점으로 고대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로 나뉩니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헬레니즘 시대와 고대 로마 시기에 사용되었던 고대 그리스어로, 기독교의 신약 성서도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였습니다. 2. 현재 능동태 직설법 헬라어 동사는 시제, 태, 법, 인칭, 수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는데, 이를 동사의 변화 또는 활용이라고 합니다. 현재 능동태 직설법은 현재어간 + 연결모음 + 제1시제 ...2025.01.02
-
유대교에서 칠십인 역(LXX)의 기원과 가치, 신약성경과의 상관관계2025.05.111. 칠십인 역(LXX)의 기원 주전 2세기의 아리스테아스의 편지에 따르면 구전으로 전해지던 히브리어 성경이 코이네(고대 그리스의 공통어) 성경으로 만들어졌다. 이집트에서 팔레스타인의 72명의 학자들에 의해 거의 70일간 진행된 번역작업으로 탄생되었으며, 그 이름은 숫자 70의 라틴어에서 셉투아진타(Septuaginta)에서 명명되었다. 2. 칠십인 역(LXX)의 가치 칠십인 역은 초기 교회에서 라틴어, 아르메니아어, 콥트어, 이디오피아어 등의 언어로 구약성경을 번역할 때 그 바탕이 되었다. 히브리어 및 아람어에서 번역된 부분은 구...2025.05.11
-
하나님께 영광을 올린다는 것은 무엇인가?2025.01.031. 주기도문의 올바른 이해 주기도문에서 '하늘에 계시는 우리 아버지'라는 표현은 예수님이 사용하신 '파테르'(헬라어) '아바'(헬라어)라는 단어로, 삼위일체 하나님의 호칭을 우리에게도 사용하게 해주셨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고, 그 감격으로 기도를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름이 거룩 여김을 받으시오며'에서 우리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그분의 이름을 거룩하게 하는 방법은 하나님이 누구인지 명확히 알고 이해하며 깨달아 그분의 은혜를 즐기는 것이다. 이것이 곧 우리가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는 것이다. 1. 주기도문...2025.01.03
-
선지서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2025.01.041. 성경 해석학 성경 해석학은 '성경'과 '해석학'이라는 두 단어의 합성어입니다. 성경은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이 인간의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인간의 언어로 기록된 책입니다. 해석학이란 영어로 'Hermeneutics'이며, '번역하다', '설명하다'는 뜻의 헬라어 'hermeneuo'에서 파생된 말입니다. 성경 해석에는 저자, 독자, 신학이라는 세 가지 기준이 중요합니다. 이 세 가지는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2. 선지서 해석의 요소 선지서를 해석할 때에는 역사적 배경, 문화적 배경, 문학적 요소, 선지서의 정경으로서의...2025.01.04
-
성경연구법(모세오경)(확 뚫리는 성경의 맥)2025.01.141. 모세오경의 명칭과 내용 모세오경은 구약 성경의 첫 번째 그룹으로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이 다섯 권의 책을 '모세오경'이라고 부른다. 모세오경은 원래 하나의 책이었으나 모세가 기록할 당시에는 성경을 기록하는 재료가 양피지로 된 두루마리였으며 용량의 한계로 하나의 두루마리에 다 기록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것을 다섯 개의 두루마리로 나누어서 기록되었고 희랍사람들은 이것을 '오경'(Pentateuch, 다섯 권의 책들)이라고 불렀으며 유대인들은 이것을 '토라'(Torah, 율법)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이런...2025.01.14
-
추수감사주일 맥추감사주일 설교 요한복음 1장 16절-17절, 은혜 위에 은혜2025.01.271. 율법과 은혜의 대조 본문에서 요한은 예수님을 통해 받은 은혜를 '율법'과 대조하고 있습니다. 율법은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 주신 명령으로, 인간에게 하나님의 기준을 알려주고 죄를 깨닫게 하지만, 우리는 연약하고 부족하여 율법을 지킬 수 없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율법을 넘어 은혜를 통해 우리의 죄 문제를 해결하시고, 우리를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셨습니다. '은혜 위에 은혜'는 예수님을 통해 우리가 율법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하나님과 관계를 맺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2. 은혜의 의미 - 카리스 '은혜'라는 단어는 헬라어로 ...2025.01.27
-
시편개요2025.01.141. 시편의 명칭 시편의 히브리 명칭은 "세페르 테힐림(찬양들의 책)" 또는 "테힐림(찬양들)"이다. 신약에서는 "비블로 프살몬: 시편의 책"이라고 한다. 헬라어로는 "프살테리온(현악기, 노래들의 수집)"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체로 "프살모이"로 되어 있다. 라틴어로는 "리베르 프살모룸(Liber Psalmorum)"으로 번역되었고, 이에서 영어 명칭 "Psalms"가 유래했다. 2. 시편의 저자 유대인 전통에 따르면 다윗이 10명의 장로들의 협조를 받아 시편을 기록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다윗이 기존의 시들을 수집한 것으로 이...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