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81개
-
외국어로서 한국어 어휘 교육론 - 한국어 어휘의 의미 관계2025.01.221. 한국어 어휘의 의미 관계 한국어교육에서 어휘의 종류에는 이해 어휘와 표현 어휘, 일차 어휘와 이차 어휘, 기초 어휘와 기본 어휘, 일반의 학습 어휘와 특수 목적의 어휘 등이 있다. 한국어교육에서는 어휘의 형태와 소리뿐만 아니라 의미, 즉 내용을 구성하는 의미에 대한 교육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물론 개인 학습자의 문화권과 언어 의식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강의에서는 다의어와 응결성 장치를 예시로 들어 한국어 어휘의 의미 관계를 요약하였다. 1. 한국...2025.01.2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 개론 - 어휘 교수법 정리2025.05.051. 한국어 어휘 교육의 필요성과 유의점 한국어 어휘 교육의 필요성은 문법 없이는 의미 전달이 거의 되지 않지만, 어휘가 없으면 의미 전달이 전혀 되지 않는다는 점, 언어 교육의 시작이자 마지막이 어휘 교육이라는 점,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휘 학습이 가장 큰 부담이라는 점, 어휘가 언어 기술 중 하나이며 의사소통에 필요하다는 점, 어휘 학습을 통해 목표어 문화 이해와 새로운 개념 형성에 도움을 준다는 점 등이다. 유의점으로는 대조적 관점 고려, 문법 범주와 관련된 어휘 표현 및 학습자의 목표 어휘 변별 필요, 어휘 학습 전략 활용, ...2025.05.05
-
원형 이론(prototype theory)을 한국어 어휘 교육에 활용할 때의 장단점2025.04.281. 원형 이론(prototype theory) 원형 이론은 자연 범주가 원의 모양으로 계층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낱말의 의미는 의미망으로 저장되며, 해당 망구조 안에서 한 고리인 개별적인 낱말은 원형을 중심으로 하여 저장되고 이해됩니다. 원형의 정의는 그 범주를 대표할 수 있는 가장 전형적이고도 적절한, 그리고 이상적이고 좋은 보기를 의미합니다. 또한 원형의 범주는 '중심'과 '주변'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중심성의 지표는 적형성, 전형성, 질입니다. 2. 한국어 어휘의 특징 한국어는 첨가어로...2025.04.28
-
원형 이론(prototype theory)을 한국어 어휘 교육에 활용할 때의 장단점2025.01.181. 원형이론 원형이론(prototype theory)은 1970년대에 인지심리학자 엘리노어 로쉬(Eleanor Rosch)의 카테고리 구조에 대한 심리언어학적 연구에서 비롯되었으며, 인간이 개념을 이해하고 범주화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어떤 사례를 범주화할 때 범주 표상과 비교하여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고 주장하는 이론으로, 개념이 원형에 의해 표상된다고 가정합니다. 사람들이 어휘를 사용할 때 보다 원형적인 보기를 발견하고, 원형을 통해서 그 의미를 이해한다는 것입니다.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교육 외국어 의사소통에...2025.01.18
-
[한국어교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 1차, 2차 토론합본2025.01.171. 어휘 습득의 측면 어휘는 습득적 측면에서 이해어휘와 표현어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해어휘는 학습자가 직접 사용하지 못해도 그 의미 용법을 수동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표현어휘는 말하거나 글을 지을 때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때 표현어휘에 치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한국어 교육의 최종적인 목표가 현지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기 때문입니다. 우선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표현어휘 위주로 학습자의 학습 흥미와 의지를 이끌고, 이후 이해어휘를 확장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2025.01.17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 - 파생어의 개념, 유형 및 어휘의미 추측능력 향상을 위한 파생어휘의 교수 절차2025.05.061. 파생어의 개념 파생어란 어근에 파생 접사가 붙어서 생긴 단어이다. 의미적으로는 어근이 중심이 되고, 접사는 어근의 앞뒤에 붙어 특별한 뜻을 더하게 된다. 접사의 성격에 따라 어근의 품사가 바뀌는 파생어도 있다. 2. 파생어의 유형 파생어는 어근에 접사가 붙는 위치에 따라 접두 파생어와 접미 파생어로 나눌 수 있다. 접두 파생어는 어근의 앞에 접사가 붙은 파생어로, 품사가 바뀌는 기능은 없다. 접미 파생어는 어근의 뒤에 접사가 붙는 파생어로, 어휘적 의미만 더하는 파생어, 뜻을 더하며 품사도 바뀌는 파생어, 품사만 바뀌는 파생어...2025.05.0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론 ) 3주 학습 내용인 한국어 어휘의 의미를 요약 정리2025.01.241. 한국어 어휘의 의미관계 한국어 어휘의 의미 관계는 단어들이 서로 연결되고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의미장은 특정한 의미를 중심으로 관련된 단어들이 모여 하나의 집합을 이루는 것이며, 어휘장은 그 의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이 각각 다른 세부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공통된 의미 요소를 공유하는 집합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감정'이라는 의미장에는 '기쁨', '슬픔', '분노', '사랑' 등이 포함되며, '기쁨'이라는 어휘장은 '행복', '즐거움', '환희', '만족'과 같은 단어들로 구성된다. 2. 동의관계와 반의관계 동의관계...2025.01.24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한국어 동의어와 반어의 목록한국어교육에서 효과적으로 교수2025.01.111. 한국어 동의어와 반의어 목록 작성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동의어와 반의어의 교수-학습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동의어는 '음운적으로 서로 다른 단어가 동일하거나 매우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며, 반의어는 '서로 반대되거나 대립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동의어와 반의어를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2. 한국어교육에서 동의어와 반의어 교수-학습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초급과 중급 수준의 외국인 학습자들...2025.01.11
-
K-Pop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구상2025.05.101. K-Pop 교육 선정과 이유 필자는 BTS의 노래 'Not Today'를 선정하였다. 이 노래는 강렬한 비트와 안무, 격렬한 퍼포먼스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으며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노래 제목은 '반지의 제왕' 주인공 아라곤에서 따왔으며, 가사 중 '날아갈 수 없음 뛰어'는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연설에서 인용되었다. 노래 가사에는 '들다', '걷다', '뛰다', '멈추다' 등의 어휘가 포함되어 있다. 2. 어휘 수업 지도 수업 지도 방법은 다음과 같다. 듣기 전 단계에서는 가사와 관련된 사진이나 자료를 토대로 학습...2025.05.10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론 - '쓰다'를 초급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2025.04.261. '쓰다'의 사전적 의미 교육 초급 학습자들은 아직 한국어 수준이 높지 않기 때문에 '쓰다'의 사전적 의미를 교육하되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것들을 구성해서 설명해주는 것이 좋다. '쓰다'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단순히 글을 쓰다(write)가 아닌 다양한 의미가 있다는 것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2. 화용적 의미에 대한 교육 대개 어휘의 사전적인 의미보다 화용적인 의미를 잘 활용해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이어나갈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쓰다'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화용적인 측면의 교육도 필요하다. 학습자들에게 화용적 의미...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