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비행역학 Required Power Curve(필요 동력 커브) 산출2025.04.271. 필요추력(Thrust Required) 항공기가 주어진 고도에서 비행을 하는데 필요한 추력을 필요추력(Thrust Required)이라 하고, 항공기에 장착한 추진기관으로부터 비행에 이용할 수 있는 추력을 이용추력(Thrust Available)이라 한다. 등속수평비행에서 필요추력은 항력과 같다. 필요추력은 유해항력(Parasite Drag)과 유도항력(Induced Drag)을 감당하는 추력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필요동력(Power Required) 항공기의 동력은 비행속도(V)와 추력(T)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2025.04.27
-
항공기 역추력 장치 레포트2025.01.231. 항공기 역추력 장치 항공기 엔진 역추력 장치단위가 보통 몇십에서 몇백톤으로 떨어지는 무거운 항공기들의 착륙속도는 약 소형기는 100노트, 중소형기는 130노트, 중형기는 135노트, 대형기는 140노트, 초대형기는 145노트 정도입니다. 1노트는 약 1.8km/h이기 때문에 적어도 약 185km/h로 착륙하는 것입니다. 무겁고 착륙속도도 빠른 항공기들을 활주로에서 제동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만으로는 감당하기 힘들 것입니다. 그래서 항공기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 방법이 사용됩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이고 ...2025.01.23
-
고온고압 증기를 이용한 기관 만들기 열역학2025.05.101. 백트레인(Vactrain) 백트레인은 아진공 상태의 튜브 내에서 자기부상열차의 원리로 운행되는 18세기에 최초로 고안된 열차의 한 종류이다. 현대의 대표적인 백트레인 중에는 일론 머스크와 SpaceX가 공개한 하이퍼루프(Hyperloop)가 있다. 백트레인은 초전도체를 활용하여 자기부상을 실현하며 전자기 상호작용을 활용하여 추진력을 얻는다. 2. 에어 캐스터(Air Caster) 에어 캐스터는 공기막(Air Film)을 활용하여 중량물을 이동시켜주는 도구이다. 에어 캐스터 모듈에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모듈 내의 튜브가 부풀어 오...2025.05.10
-
[선박유체실험] 프로펠러 단독성능(POW) 계측 실험 보고서2025.01.271. 프로펠러 단독성능 계측(POW) 실험 프로펠러 단독시험(Propeller Open Water test, POW)은 자항시험 등의 해석을 위해 예인수조에서 프로펠러 단독의 추진 성능을 균일 유동장에서 모형 프로펠러를 가지고 결정하는 시험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프로펠러를 단독으로 시험하며, 자유수면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프로펠러 축의 수몰 깊이를 직경 D의 2.0배 정도로 유지합니다. 실험에 사용될 프로펠러는 실선의 프로펠러와의 기하학적, 운동학적, 역학적 상사를 만족해야 합니다. 2. 프로펠러 단독성능 실험 목적 프로펠러 단독성...2025.01.27
-
영화 2001 space odyssey에 나타난 로켓공학 기술2025.01.051. 외계생명체 탐사 이 영화는 외계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다루고 있다. 우리는 항상 외계생명체의 존재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고 연구해야 하며, 그에 대한 준비를 위해 우주 비행에 필요한 더 많은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2. 인공지능 시스템의 부작용 이 영화는 인공지능 시스템이 낳을 수 있는 부작용을 보여준다. 신기술에 대한 윤리적, 철학적 의식이 부족하면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윤리적인 기술 발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3. 핵분열 추력기 기술 영화 속 우주선은 핵분열 추력기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핵분열...2025.01.05
-
[가스터빈] 애프터버닝을 가지는 항공기 터보제트엔진 설계2025.04.271. 터보제트 엔진 설계 터보제트 엔진의 설계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애프터버닝 기능을 가진 터보제트 엔진의 설계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관련 이론과 수학적 모델링, 그리고 MATLAB 코드를 통한 결과 분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애프터버닝 기능 터보제트 엔진에 애프터버닝 기능을 추가하여 추력 증가를 도모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애프터버닝 시스템의 작동 원리와 설계 고려사항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3. 가스터빈 사이클 분석 터보제트 엔진의 가스터빈 사이클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압축기, 연소기, 터빈 등 주요 구성요소...2025.04.27
-
[로켓공학] SRM 고체추진기 설계2025.01.051. 고체로켓모터(SRM) 설계 이 보고서는 고도 100km에 도달하기 위한 고체로켓모터(SRM)의 설계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초기 설계 조건으로 페이로드 질량, 추진제 특성, 연소실 조건 등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진제 설계, 실제 추력 계산, 노즐 설계, 모터 케이스 설계 등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인 설계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설계 결과에 따르면 이 고체로켓모터는 고도 104.1km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항력, 지구 자전 효과 등의 요인은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실제 값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2025.01.05
-
항공역학 고양력 장치, 고항력 장치의 종류 및 작동원리2025.05.081. 고양력 장치 비행기의 이착륙 시 낮은 속도에서 큰 양력이 필요하다. 고양력 장치는 비행기 날개에 장착되어 이착륙 시 양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로, 날개 앞부분의 슬롯이나 뒷부분의 플랩 등이 있다. 앞전 플랩에는 슬롯&슬랫, 크루거 클랩, 드루프 플랩이 있으며, 뒷전 플랩에는 단순 플랩, 스플릿 플랩, 슬롯 플랩이 있다. 플랩을 펼친 채 착륙할 경우 예기치 못한 바람에 의해 더 많은 양력과 항력이 발생하여 기체가 롤링, 요잉, 피칭을 겪을 수 있다. 2. 고항력 장치 고항력 장치는 항공기의 착륙 시 단시간에 큰 항력을 발생시켜...2025.05.08
-
액체로켓엔진(LRE) 설계2025.01.051. 액체로켓엔진 설계 이 보고서는 고도 100km에 도달할 수 있는 액체로켓엔진을 설계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설계 요소로는 연소실 압력, 추진제 조건, 노즐 형상, 연소실 크기 등이 포함됩니다. 설계 과정을 통해 최적의 엔진 사양을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100km 고도 도달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습니다. 1. 액체로켓엔진 설계 액체로켓엔진 설계는 우주 개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액체로켓엔진은 고체로켓엔진에 비해 높은 추력과 효율성을 가지고 있어 대형 인공위성 및 우주선 발사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액체로켓...2025.01.05
-
비행역학 비행영역선도(Flight Envelope) 산출2025.04.271. 에너지 이론 비행기의 전체에너지는 고도인 위치 에너지(Potential Energy : PE)와 속도인 운동 에너지(Kinetic Energy : KE)의 합으로 구성된다. 비행기가 단위시간에 동력장치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전체 에너지의 변화량이 바로 이 비행기가 주어진 공간과 시간상에서 상승, 하강, 또는 가속이나 감속 등의 기동비행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2. 비잉여동력 선도 주어진 고도에서 어떤 비행기의 이용동력과 필요동력으로부터 잉여동력을 얻어 각 고도에서의 비잉여동력을 Figure 2와 같이 마하수에 대해 그릴 수...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