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변증진단학주제: 1.팔강변증, 2.장부변증, 3.기혈진액 변증2025.01.201. 팔강변증 팔강변증은 표리, 한열, 허실, 음양의 4가지 변증으로 구성된다. 표리변증은 표증과 리증, 반표반리증으로 나뉘며, 한열변증은 한증과 열증으로, 허실변증은 허증과 실증으로, 음양변증은 음증과 양증으로 구분된다. 이를 통해 질병의 발생 부위, 성질, 정기의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2. 장부변증 장부변증은 심, 폐, 비, 간, 신 등 각 장부의 병증을 구분하여 진단한다. 예를 들어 심병에는 심기허증, 심양허증, 심혈허증, 심음허증, 심화항성증 등이 있고, 폐병에는 폐기허증, 폐음허증, 풍한속폐증, 풍열범폐증, 조삽범폐...2025.01.20
-
張景岳 傳忠錄 十問篇 - 한의학 문진의 기초2025.11.151. 문진(問診)의 순서와 중요성 문진은 한열, 땀, 머리와 몸, 대소변, 음식, 가슴, 귀, 목마름을 순차적으로 묻는 과정이다. 팔강변증과 위기영혈변증의 기본 요소이며, 변증을 잘못하면 치료 방향을 잃어 환자의 병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 문진을 통해 환자의 자각증상, 경과, 건강상태, 생활습관 등을 파악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기초를 마련한다. 2. 한열(寒熱)의 변별 한열은 단순히 한증과 열증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내외의 한열을 파악하여 병의 표리를 변별하는 것이다. 외감은 갑자기 나타나는 표증이고, 내상은 오래된 열로 표증...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