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7개
-
쌍극접합트랜지스터(BJT)의 특성 및 제어 방법2025.11.181. 역포화전류(Reverse Saturation Current) 제어 역포화전류 I0는 pn 접합 주변에서의 전자-정공 생성(EHP)에 의해 결정되며, 매우 작은 값을 가진다. I0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의 빛을 주입하거나 소수캐리어를 주입시킬 수 있다. 이는 바이어스와 무관하게 EHP 발생률이 증가하면 I0가 증가한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2. 컬렉터 전류(IC) 제어 메커니즘 P-n-p 트랜지스터에서 VEB를 순방향, VCB를 역방향으로 인가하면 에미터에서 베이스로, 베이스에서 컬렉터로 정공이 주입되어 전류가...2025.11.18
-
실험 9. CE 회로의 특성 실험2025.05.111. CE 회로의 특성 실험을 통해 CE 회로의 IB와 Ic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해 β(dc)를 계산할 수 있었다. 또한 BJT의 특성 곡선을 구하고 β(dc)와 α(dc)의 관계식을 이해하고 유도할 수 있었다. 2. 공통 이미터 회로 공통 이미터 회로에서는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가 입력과 출력에서 공통 단자로 사용된다. 이 회로 구조에서 베이스가 입력 단자 역할을 하고 컬렉터가 출력 단자 역할을 수행한다. 직류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통해 흐르는 베이스 전류 IB를 결정하고, IB는...2025.05.11
-
울산대학교 전기전자실험 6.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특성2025.01.121. BJT 단자 검사 BJT의 단자를 구별하기 위해 다이오드의 저항과 임계전압을 이용한 검사를 수행했다. 양(+)단자와 음(-)단자를 연결하여 측정한 결과, 낮은 전압값을 가지는 단자가 컬렉터(C), 높은 전압값을 표시하는 단자가 이미터(E)임을 확인했다. 2. BJT 공통 Emitter(CE) 특성 공통 Emitter 회로에서 베이스 전류를 증가시키면 컬렉터 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다. 이를 통해 베이스 전류를 통해 이미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3. β 변화에 따른 BJT 특성 베이스 전류를 일정하게 ...2025.01.12
-
전자회로실험_A+레포트_BJT Common Emitter, Common Collector2025.01.131. NPN, PNP형 BJT 공통 이미터 증폭기 NPN, PNP형 BJT를 사용한 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회로 구성과 동작을 확인하였다. NPN형 BJT 공통 이미터 증폭기에서 동작점 전류는 IBQ 0.05 μA, ICQ 18.60 mA이고, VBEQ 1.960 V, VCEQ 12.98 V로 측정되었다. 전압이득 α는 0.99로 1에 가까운 값이 나왔다. 공통 이미터 증폭기는 부하저항이 높기 때문에 전류 증폭보다는 전압 증폭으로 사용한다. 2. NPN, PNP형 BJT 공통 컬렉터 증폭기 NPN, PNP형 BJT를 사용한 공통 컬렉...2025.01.13
-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 특성 실험2025.11.171.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 구조 및 동작원리 BJT는 2개의 p-n 접합으로 구성되며 p-n-p형 또는 n-p-n형으로 분류된다. 이미터, 베이스, 컬렉터 3개의 전극을 가지고 있다. 이미터-베이스 접합은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베이스-컬렉터 접합은 역방향 바이어스된다. 베이스 영역이 얇을수록 베이스 전류는 작아지고, 이미터에서 주입된 전자들이 베이스를 통과하여 컬렉터로 수집된다. 이 과정에서 전자와 정공의 이동으로 인해 세 개의 전류(IE, IB, IC)가 발생한다. 2. 트랜지스터 동작 영역(차단, 포화, 활성 영역) 차...2025.11.17
-
BJT 바이어스 회로 설계2025.04.301.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는 단일 또는 이중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험 9의 고정 바이어스보다 향상된 안정도를 제공한다. 이미터 저항에 트랜지스터의 beta를 곱한 값이 베이스 저항보다도 매우 크다면, 이미터 전류는 본질적으로 트랜지스터의 beta와 무관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히 설계된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에서 트랜지스터를 교환한다면, IC와 VCE의 변화는 미약할 것이다. 2.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는 베이스 저항 RB를 전압원 VCC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2025.04.30
-
실험 9. CE 회로의 특성 실험2025.05.111.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는 베이스 전류가 일정하게 고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컬렉터 전류값이 β값에 의존성이 크고 베이스 저항으로 값이 정해지므로 보통 스위칭 회로로써 사용됩니다. 2.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는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에 이미터 저항을 추가하여 안정도를 높인 회로입니다. 컬렉터 전류값에 이미터저항의 값이 크면 클수록 β값을 무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3.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는 컬렉터의 전류값이 컬렉터 저항에 의...2025.05.11
-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의 특성 및 제어2025.11.181. 역포화 전류(Reverse Saturation Current) 역포화 전류 I0는 pn 접합에서 전자와 정공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매우 작은 값입니다. 소수 캐리어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I0가 증가하며, 이는 접합 주변의 전자-정공 쌍(EHP) 생성률이 I0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의 빛을 주입하거나 소수 캐리어를 도입하여 I0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2. 컬렉터 전류(Collector Current) 제어 p-n-p 트랜지스터에서 VEB에 순방향 바이어스를 적용하고 VCB에 역방향 바이어스를 적용하면 에미...2025.11.18
-
BJT 이미터 및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실험2025.11.181.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는 고정 바이어스 회로에 이미터 쪽에 저항을 추가한 구조로, 베이스 입장에서 negative feedback을 발생시켜 동작점을 안정화시킨다. 베타 값 증가로 인한 컬렉터 전류 증가 시 이미터 전압이 상승하여 베이스 전류를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컬렉터 전류 변화를 억제한다. 회로방정식 분석 결과 RE >> RB/β 조건에서 IC가 베타 값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이는 동작점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2.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컬렉터 귀환 회로는 베이스 저항이 VCC에 직접...2025.11.18
-
실험 04_BJT 기본 특성 예비 보고서2025.04.271. BJT의 기본 동작 원리 BJT는 N형과 P형 반도체를 샌드위치 모양으로 접합한 구조로, 이미터, 베이스, 컬렉터라는 3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베이스 단자의 전류가 컬렉터 단자의 전류나 이미터 단자의 전류에서 증폭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증폭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BJT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살펴보고, 전류-전압 특성 및 동작 영역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다. 2. BJT의 동작 영역 BJT는 모형과 n형 반도체 3개를 결합하여 만든 소자로서, 그 구성에 따라서 npn형과 pnp형으로 나뉜다. npn형 BJT의 동...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