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실학자 이수광2025.01.201. 이수광 이수광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외교관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이칭으로 윤경, 지봉, 문간 등을 사용했다. 그는 5세부터 글을 읽을 줄 알았으며 13세에는 성인 수준의 학문을 연마하여 성균관에서 공부했다. 1585년 23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다. 이수광은 세 차례 북경을 방문하며 학문적 시야를 넓혔고, 특히 두 번째 방문 때는 안남 사신들과 교류하며 안남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가 편찬한 저서 '지봉유설'은 조선 최초의 백과사전으로, 서양 문물과 천주교 교리 등을 소개하며 당시 조선 사회에 큰 ...2025.01.20
-
우리나라 고조리서 연구2025.01.171. 고조리서의 역사적 배경 145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고조리서들을 중심으로 시대별 특징과 발간 배경을 분석하여 각 조리서가 작성된 시대적 맥락을 이해하고 저자들의 의도와 목적을 파악하였다. 대표적인 고조리서로는 '신가요록', '식료찬요', '수운잡방', '도문대작', '지봉유설' 등이 있다. 2. 고조리서의 내용 및 구성 고조리서에 수록된 다양한 음식의 조리법과 식재료를 분석하여 당시의 식문화와 생활상을 이해하였다. '신가요록'의 김치와 식혜, '식료찬요'의 식재료 활용법, '수운잡방'의 누룩과 김치, '도문대작'의 ...2025.01.17
-
조선 후기의 학문과 문화2025.05.061. 조선후기의 예술 조선후기의 그림분야에서는 진경산수화가 발달을 했는데요 우리나라의 산천을 사실적으로 표현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진경산수화 작품에는 정선의 그림인 인왕제색도가 있습니다. 조선후기에는 서민들 사이에서 민화도 크게 유행을 했는데요 민화는 작자 미상의 그림으로 서민들의 생활공간을 장식 하였습니다. 조선후기에는 풍속화도 발달을 하였는 데요 생활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한 풍속화 분야에는 김홍도와 신윤복이 크게 활약을 하였습니다.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는 김정희인데요 김정희는 추사체를 확립 하였습니다. 김정희는 금석학에도...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