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87개
-
AKA(Alcoholic ketoacidosis) 교육(응급실 실제 컨퍼런스 자료 및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2025.05.091. AKA(Alcoholic ketoacidosis) AKA(Alcoholic ketoacidosis)는 알코올 소비로 인해 발생하는 케톤산증을 말한다. 당뇨병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케톤산증은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이라고 한다. AKA는 음주, 금식, 당뇨-췌장-인슐린 생성 부족으로 인해 체내 지방산이 축적되어 대사성 산증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2. AKA의 원인 AKA의 주요 원인은 포도당 섭취 저하, 체내 당원 고갈, 체내 축적된 지방이 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지방분해의 부산물인 케톤이 혈액 속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다. ...2025.05.09
-
응급실 ER case study - rhabdomyolysis2025.05.071. 횡문근융해증 횡문근융해증은 골격근 섬유의 빠른 파괴 이후 근육세포에서 나오는 잠재적 독성물질이 전신으로 순환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전신적인 내과적 상황을 의미한다. 보통 근육 손상 이후 혈청 크레아틴 활성효소(creatine kinase, CK)가 정상 상한치의 10배 이상 상승을 보이며, 미오글로빈이 소변에 다량 나오면서 어두운 차 또는 콜라색 소변을 동반할 수 있다. 횡문근융해증의 원인은 크게 외상성과 비외상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치료는 신부전 예방을 위한 수액 공급과 전해질 교정이 중요하다. 2. 근육손상과 통증 장기간...2025.05.07
-
지속적 신기능 대체요법(CRRT)2025.01.041. 지속적 신기능 대체요법(CRRT) 지속적 신기능 대체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은 저하된 신장 기능을 장기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체외 순환 혈액 정화 요법을 말합니다. 중증 외상 환자 및 집중 치료 대상 외과 환자의 경우 1차적 혹은 2차적으로 신장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환자의 치료에 매우 중요한 방법입니다. CRRT는 일반적인 투석(Hemodialysis)과 달리 24시간 내내 신장기능을 지속적으로 대체하여 전해질 불균형, 체액, 산-염기 불균형 등을 교...2025.01.04
-
성인간호학_급성 췌장염_사례보고서case study_간호진단(복부 팽만과 관련된 급성 통증,반복적인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2025.01.141. 급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은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지 못한 췌장효소가 췌장 안에서 활성화되어 췌장세포의 자가소화를 유발하는 급성 염증상태입니다. 급성 췌장염은 잠재적으로 췌장의 부종, 괴사, 출혈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치명적인 염증 과정입니다. 급성 췌장염의 주요 증상은 극심하고 지속적인 상복부 통증, 반복적인 구토, 복부 팽만 등이며, 원인 요인들이 제거되면 증상이 사라집니다. 급성 췌장염의 주요 원인으로는 알코올 섭취, 담석, 고지방혈증, 외상 등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혈청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검사와 복부 CT 검사가 ...2025.01.14
-
수액의 종류2025.05.051. 수액제제 수액제제를 통해 수분부족, 전해질 불균형 등 다양한 정맥주입 용액을 통해 교정될 수 있다. 식사를 하지 못하거나, 금식을 유지하는 환자들에게는 수액요법은 필수적이며, 주입속도와 주입할 용액이 정맥 선택에 영향을 미치므로 많은 수액을 주입해야하거나 고장액이나 자극적인 용액은 작은 혈관을 손상시키므로 큰 정맥을 선택하여 주입하도록 한다. 2. 수액의 목적 수액의 목적은 체액량의 유지(volume replacement), 결핍되거나 부족한 전해질이나 수분의 보충(Deficit Replacement), 매일 필요한 생리적 요...2025.05.05
-
약리학 제 11장 비뇨 생식기계 약물2025.01.171. 이뇨제 이뇨제는 소변량과 소변 배출 빈도를 증가시키는 약물입니다. Thiazide 이뇨제는 먼쪽곱슬세관의 수송체계를 억제하여 칼슘 재흡수를 촉진하고 칼륨 손실을 유발합니다. Loop 이뇨제는 콩팥세관고리 오름다리에서 공동수송을 억제하여 칼슘 배설을 증가시킵니다. 이뇨제 사용 시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고칼슘혈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2.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 치료제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 치료제는 저나트륨혈증, 고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고칼륨혈증, 산증, 알칼리증 등의 ...2025.01.17
-
당뇨 간호과정 및 교육안 22p - 전해질 불균형, 비말관, 지식 부족, 감염 위험2025.05.091.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전해질 검사에는 나트륨, 칼륨, 염소, 중탄산염 4가지의 전해질 검사와 삼투압을 대변하는 삼투압검사, 측정된 양이온과 음이온의 차이를 보는 음이온차 검사가 있다. 이러한 전해질 검사를 통해 전해질 농도를 측정하면 전해질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을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해질 불균형의 정도를 파악하여 진해질의 농도를 교정하는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1.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전해질 불균형은 건강에 매우 위험한 상태입니다. 전해질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들의 균형이 깨지면 심...2025.05.09
-
3장 전해질과 호흡기계검사 자료조사2025.05.011. 전해질(electrolytes) 전해질은 수분에 녹아 전하를 띠는 물질로, 체액에 존재하는 모든 이온을 말한다. 체액에서 전해질로 측정되는 중요한 이온은 양이온 나트륨, 칼륨, 음이온 염소와 중탄산염이며, 이들은 항상성을 유지하여 체내 삼투압 농도, 수분 상태 및 pH의 수준을 알 수 있다. 전해질 농도 검사는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하는 각종 질병의 감별진단 및 전해질 불균형의 교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2. 동맥혈 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 ABGA) 동맥혈 가스분석은 산소화(oxygena...2025.05.01
-
ICU 중환자실 다빈도 약물 종류, 작용기전, 적응증, 용법용량, 부작용 및 주의사항2025.05.091. Electrolyte 교정 NaCI 40mEq/20ml (Sodium chloride)는 혈장 Tonicity의 유지에 필요한 주요 전해질로, 혈장량 유지와 전해질 균형과 세포막 안정을 증진시킵니다. 정상범위(135~145mEq/L)를 유지하며 저나트륨혈증의 치료와 Fluid loss로 인한 hydration & replacement에 사용됩니다. 투여 전·후 Serum electrolyte Monitoring이 필요하며, 빠른 시간 내의 급속 보충 시 뇌부종의 위험이 있습니다. KCL-20 20mEq/20ml(Potassiu...2025.05.09
-
당뇨병성케톤산증/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간호과정/체액부족2025.05.011. 당뇨병성케톤산증 당뇨병성케톤산증은 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 합병증으로, 고혈당, 대사성 산증, 전해질 불균형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 증례에서는 고혈당(654mg/dl), 대사성 산증(pH 7.04, HCO3- 16mmol/L), 전해질 불균형(Na 126mEq/L, K 6.5mEq/L) 등의 증상이 관찰되었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수분 섭취 및 배설량 측정, 혈당 검사, 의식 상태 사정, 탈수 증상 확인, 구강 간호, 전해질 검사 및 교정, 수액 및 인슐린 투여 등의 중재를 수행하였다. 또한 당뇨병성케톤...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