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U 중환자실 다빈도 약물 종류, 작용기전, 적응증, 용법용량, 부작용 및 주의사항
본 내용은
"
ICU 중환자실 다빈도 약물 종류, 작용기전, 적응증, 용법용량, 부작용 및 주의사항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7
문서 내 토픽
  • 1. Electrolyte 교정
    NaCI 40mEq/20ml (Sodium chloride)는 혈장 Tonicity의 유지에 필요한 주요 전해질로, 혈장량 유지와 전해질 균형과 세포막 안정을 증진시킵니다. 정상범위(135~145mEq/L)를 유지하며 저나트륨혈증의 치료와 Fluid loss로 인한 hydration & replacement에 사용됩니다. 투여 전·후 Serum electrolyte Monitoring이 필요하며, 빠른 시간 내의 급속 보충 시 뇌부종의 위험이 있습니다. KCL-20 20mEq/20ml(Potassium chloride)는 세포내액의 주요 전해질로서 정상수치는 3.5~5mEq/L를 유지하며, Hypokalemia의 예방과 교정, Cardiac glycosides로 인한 심부정맥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3% CaCl2 60mg/20ml (Calcium chloride)는 Adrenergie agonist와 Cardiac stimulant로 Cardiac output을 강화시키며, Hyperkalemia 교정 및 마그네슘 중독의 해독, 저칼슘혈증성 테타니, 수혈 시 저칼슘혈증의 예방에 사용됩니다. Magnesium sulfate 50% 10g/20ml, 10% 2g/20ml는 신경근육 전달을 차단하여 경련을 예방하거나 조절하고, 장간 내 물을 끌어들이거나 내용물을 이동, 증진시켜 변비를 완화시킵니다. Sodium bicarbonate(NaHCO3) 8.4% 20mEq/20ml는 Metabollc acidosis, hyperkalemia, Phenobarbital 과량 투여 시, Cardiac arrest 시 순환부전으로 Acidosis가 생기는 경우 등에 사용됩니다.
  • 2.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
    Dopamine (Adrenergic agonist)은 도파민성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장 혈류를 증가시키고, 중등도 용량에서는 β1-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작용하여 심장 수축력과 심박출량을 증가시킵니다. 고용량에서는 α-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작용하여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Dobutamine (Adrenergic agonist)은 심장의 β1 수용체에 작용하여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며, 전부하와 후부하를 감소시켜 심근의 산소 균형과 심박출량을 증진시킵니다. Epinephrine 1mg/1ml (Adrenergic agonist)은 아드레날린성 α, β1, β2 수용체를 자극하여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며, 심정지 환자의 치료, 기관지 천식, 아나필락시스 쇼크 등에 사용됩니다. Norpin 20mg/20ml (Adrenergic agonist)은 α, β1 수용체를 자극하여 강력한 혈관수축과 심근 촉진 효과를 나타내며, 패혈성 쇼크 환자의 혈압 상승제로 사용됩니다.
  • 3. 심혈관계 작용 약물
    Digoxin은 심근막의 나트륨/칼륨 펌프를 억제하여 세포 내 나트륨을 증가시키고 칼륨을 감소시킴으로써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박동수를 감소시킵니다. 울혈성 심부전, 심방세동, 심방조동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Nitroglycerin은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켜 전부하를 감소시키고 심근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므로, 급성 협심증, 협심증 예방, 수술 전후 고혈압 등에 사용됩니다. 항부정맥제로는 Lidocaine, Labesin, Amiodarone, Diltiazem 등이 있으며, 각각 다른 작용기전으로 부정맥 치료에 사용됩니다.
  • 4. 진통 및 진정제
    Opioids인 Morphine, Fentanyl, Meperidine은 진통 효과와 진정 효과를 나타내며, 중증 통증 관리와 진정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Benzodiazepine 계열의 Midazolam, Lorazepam, Diazepam 등은 진정과 기억상실 작용이 있어 중환자실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Haloperidol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을 통해 진정 효과와 항정신병 효과를 나타내며, 불안정한 환자의 진정에 사용됩니다. 신경근 차단제인 Vecaron, Barbiturates, Etomidate, Fresofol 등은 근이완 및 마취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5. 항고혈압제
    이뇨제인 Lasix와 Aldactone은 각각 나트륨/염소의 재흡수 억제와 알도스테론 길항 작용을 통해 혈압을 낮춥니다. β1 선택성 차단제인 Tenormin과 Concor, α-차단제인 Prazocin, α/β-차단제인 Dilatrend와 Labesin은 교감신경 차단을 통해 혈압을 낮춥니다. 칼슘길항제인 Perdipine, Nimodipine, Isoptin은 혈관 확장을 통해 혈압을 낮추며, ACE 억제제와 ARB는 레닌-앤지오텐신-알도스테론 계를 억제하여 혈압을 낮춥니다. 혈관확장제인 Hydralazine과 Nitropress는 직접적인 혈관 확장 작용으로 혈압을 낮춥니다.
  • 6. 기타 약물
    Atropine은 항콜린 작용을 통해 심박출량 증가, 분비물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bradycardia 치료에 사용됩니다. 마취제인 Thiopental sodium, Etomidate, Fresofol은 중추신경계 억제를 통해 마취 효과를 나타냅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Electrolyte 교정
    Electrolyte 교정은 체내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전해질 불균형은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전해질 교정을 위해서는 환자의 상태와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의사의 전문적인 판단과 처방이 필요하며, 환자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중요합니다. 또한 전해질 교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인 관리를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활성을 조절하여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심혈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등 다양한 기관에 영향을 미치므로 처방 시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병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간 상호작용과 부작용 발생 가능성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은 적절히 사용될 경우 질병 치료와 증상 관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부적절한 사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전문적인 처방과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합니다.
  • 3. 심혈관계 작용 약물
    심혈관계 작용 약물은 심장과 혈관 기능을 조절하여 다양한 심혈관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물은 혈압, 심박동수, 혈관 수축 등을 조절함으로써 심장 부담을 줄이고 혈액 순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혈관계 약물은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아 처방 시 환자의 기저 질환, 병력, 병용 약물 등을 면밀히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장기적인 복용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환자의 순응도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심혈관계 작용 약물은 적절히 사용될 경우 심혈관 질환 관리에 큰 도움이 되지만, 부적절한 사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전문적인 처방과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적입니다.
  • 4. 진통 및 진정제
    진통 및 진정제는 통증과 불안감을 완화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통증 인지와 정서적 반응을 조절합니다. 그러나 진통 및 진정제는 중독성과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아 처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환자의 병력, 기저 질환, 병용 약물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해야 하며, 장기 복용 시 의존성 발생에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진통 및 진정제 사용 시 운전이나 기계 조작 등 위험한 활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러한 약물은 적절히 사용될 경우 통증과 불안감 관리에 큰 도움이 되지만, 부적절한 사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전문적인 처방과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합니다.
  • 5. 항고혈압제
    항고혈압제는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혈압을 낮추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약물은 작용 기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병력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항고혈압제 사용 시 저혈압, 어지러움, 피로감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장기 복용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환자의 순응도와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항고혈압제는 적절히 사용될 경우 고혈압 관리에 큰 도움이 되지만, 부적절한 사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전문적인 처방과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적입니다.
  • 6. 기타 약물
    기타 약물에는 다양한 종류의 약물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각각의 작용 기전과 적응증에 따라 처방되며, 환자의 상태와 병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기타 약물 사용 시에도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간 상호작용에 유의해야 하며, 장기 복용이 필요한 경우 환자의 순응도와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기타 약물은 적절히 사용될 경우 다양한 질병 치료와 증상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부적절한 사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전문적인 처방과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