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3개
-
폐동맥고혈압성 심장질환(폐성심)의 개념 정리2025.01.031. 폐동맥고혈압성 심장질환(폐성심) 폐동맥고혈압성 심장질환(pulmonary hypertensive heart disease)은 폐성심이라고도 한다. 폐나 흉곽의 1차원적인 원인에 의한 폐순환장애 때문에 우심에 지속적인 부하가 걸려 야기된 우심실의 비대 및 확장을 보이는 질환이다. 폐성심은 폐동맥고혈압이 발달하는 속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폐고혈압 폐고혈압은 폐기종, 만성 기관지염 등의 질환을 오래 앓게 되면 폐혈관이 파열되거나 산소주머니가 파괴되어 산소가 혈액으로 정상적인 공급이 되지 않으므로 혈액의 산...2025.01.03
-
신생아 심혈관계 질환2025.05.051. ASD (심방중격결손) 심방중격결손은 두 심방 사이에 비정상적인 개구가 있는 것으로, 산화된 혈액이 우심으로 흐르게 되어 우심방과 우심실이 비대해지게 됩니다. 하지만 단순 ASD의 경우 심부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증상으로는 무증상, 울혈심부전, 폐혈류 증가로 인한 폐색성 폐혈관질환, 색전 형성 위험 등이 있으며, 치료로는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2. VSD (심실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은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에 비정상적인 개구가 있는 것으로, 좌심실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결손부위를 통해 폐동맥으로 혈액이 유입...2025.05.05
-
성인간호학 A+ 받은 케이스스터디 삼첨판 역류증2025.05.081. 삼첨판 역류증 삼천판(Tricuspid valve)은 심장에서 오른쪽 심방과 심실 사이의 구멍을 여닫는 판막으로, 혈액이 우심방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삼첨판 역류증(Tricuspid regurgitation)은 매번 우심실이 수축할 때 삼첨판을 통해 혈액이 거꾸로 우심방 쪽으로 새어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우심실 비대, 폐질환, 심장 좌측 장애, 폐동맥판 협착 등이 있다. 임상증상으로는 목 부위의 박동, 우측 상단 복부의 불편감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심초음파, 심장 MRI, 심전도 등...2025.05.08
-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 (Hypoplastic right heart syndrome)에 대한 이론적 고찰2025.01.171.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은 오른쪽 심장의 발달이 미숙한 상태로, 폐동맥판막의 폐쇄증이나 부재, 작은 우심실, 작은 삼첨판, 우심실 형성부전, 삼첨판의 형성 부전 또는 폐쇄 등의 특징이 있다. 이 중 가장 큰 문제는 폐동맥판막 폐쇄증이다. 심실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이 실패하며 심실 근육 구조가 미흡해지고, 심장이 혈액을 폐로 보내기 위해 폐동맥판막을 밀어내는 데에도 문제가 생긴다. 우심방의 혈액 공급 양은 충분하지 못하고 이러한 이유로 폐로도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다. 또한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도 충분치 ...2025.01.17
-
다운증후군 환아의 심실중격결손 간호2025.05.141. 다운증후군 다운증후군(Trisomy 21)은 임신 전, 당시, 후의 비분리 또는 전좌에 의해 발생한다. 난자 또는 정자의 발달에서 과잉 염색체가 발현하여 모든 세포에서 21번째 염색체가 3개인 배아를 야기하고, 이것은 다운증후군의 특징적인 생김새와 선천적 결손을 야기한다. 다운증후군은 근긴장도 저하, 관절의 과굴곡과 느슨함, 단신, 작은 머리, 납작한 후두와 안면, 낮은 콧등과 작은 코, 사선의 안검열, 내안각췌피, Brushfield 반점, 낮게 위치한 귀, 비정상적 모양의 귀, 아치형의 구개, 작은 입, 혀 돌출 등의 증상...2025.05.14
-
성인간호학 심근증, 순환기계 보고서2025.04.28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좌측 제 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며, 크기는 약 12cm, 무게는 약 300g이다. 심장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 등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낭 속에 보호되어 있다. 심장 내부는 심장 중격을 중심으로 좌우 심장으로 나뉘고, 이는 다시 혈액이 유입되는 좌,우심방과 혈액을 유출시키는 좌,우심실의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의 자극 전도계는 심근을 흥분시키는 전기적 자극을 발생, 이 자극을 심장 전체에 전달하여 자율적으로 율동하고 수축하는 특수한 신경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2025.04.28
-
아동간호실습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질병고찰 HRHS 형성저하성우심증후군2025.01.171.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 (Hypoplastic right heart syndrome) 형성저하성 우심증후군은 오른쪽 심장의 발달이 미숙한 상태이다. 이러한 기형은 폐동맥판막의 폐쇄증이나 부재, 아주 작은 우심실, 작은 삼첨판, 우심실 형성부전, 삼첨판의 형성 부전 혹은 폐쇄 등이다. 이 중 가장 큰 문제는 폐동맥판막 폐쇄증이다. 심실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이 실패 하며 심실 근육 구조가 미흡해지고, 심장이 혈액을 폐로 보내기 위해 폐동맥판막을 밀어내는 데에도 문제가 생긴다. 우심방의 혈액 공급 양은 충분하지 못하고 이러한 이유로...2025.01.17
-
선천성 심질환 정리본2025.01.291. 심실중격 결손 심실중격 결손은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의 비정상적인 결손(구멍)이 있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심내막염, 폐혈관질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을 통해 울혈성 심부전을 방지하고 이뇨제, digitalis, 수분제한 등의 치료를 받습니다. 2. 심방중격 결손 심방 사이의 비정상적인 결손(구멍)이 있는 질환으로, 심내막염, 폐혈관질환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을 통해 울혈성 심부전을 방지하고 이뇨제, digitalis, 수분제한 등의 치료를 받습니다. 3. 팔로 4징후...2025.01.29
-
팔로네징후 사례 보고서2025.01.091. 팔로네징후(tetralogy of Fallot) 팔로네징후(tetralogy of Fallot: TOF)는 전체 선천심장병의 약 10%를 차지하며, 폐혈류 감소를 가져오는 가장 대표적인 심장병입니다. 4가지 주 병변을 특징으로 하며, 심실중격결손(VSD), 폐동맥판협착(PS), 대동맥우위, 우심실 비대를 포함합니다. 폐동맥판협착의 정도가 예후에 가장 중요한 요인입니다. 2. 병태생리와 원인 폐동맥의 협착, 심실중격결손의 크기, 폐순환과 체순환 저항에 따라 혈액학적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심실중격결손이 크고 폐동맥판협착이 ...2025.01.09
-
A+ 받은 아동간호학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환아 Case study2025.05.091.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은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심실사이막)에 비정상적인 개구부가 생긴 것을 의미하며, 선천성 심질환 중 가장 흔한 기형이다. 크기는 바늘구멍만 한 크기부터 중격이 아예 없어지는 경우까지 다양하다. 흔히 폐동맥 협착, 대혈관 전위 등의 다른 결손과 함께 동반되며, 60~80% 정도는 자연 폐쇄된다. 좌심실의 압력이 높고 폐순환보다 체순환의 높은 저항으로 인해 좌심실의 혈액은 결손을 통해 우심실을 거...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