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88개
-
사무엘상 2장 18-21절 - 사무엘의 성장과 한나의 신앙2025.11.121. 사무엘의 어린 시절 성장 사무엘은 어렸을 때부터 세마포 에봇을 입고 여호와 앞에서 섬겼습니다. 어머니 한나는 매년 제사를 드리러 올라갈 때마다 사무엘을 위해 작은 겉옷을 지어 입혔으며, 이는 자녀의 성장을 인식하고 믿음으로 대우하는 거룩한 부모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사무엘은 제사장의 정복인 에봇을 입음으로써 하나님 앞에서 제사장으로 자라가도록 격려받았습니다. 2. 한나의 서원과 하나님의 축복 한나는 자신이 기도로 얻은 아들 사무엘을 하나님께 바쳤습니다. 엘리 제사장은 한나 부부를 축복하여 사무엘을 대신할 후사를 주기를 기도했고...2025.11.12
-
에베소서 1장 1-2절: 성도의 정체성과 거룩함2025.11.141. 성도(Saint)의 의미와 정체성 성도는 단순히 교회에 다니는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구별되고 선택받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헬라어 '하기오스'는 구별되었다는 의미를 포함하며, 성도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특별히 부름받은 사람입니다. 현대 교회에서는 이러한 성도의 본래 의미가 상실되어 예수를 믿는 사람들이 세상 사람과 다를 바 없는 삶을 살고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2. 거룩함과 성결의 추구 성도가 되기 위한 필수 요소는 거룩함과 성결입니다. 성령의 도우심으로 죄로부터 멀어지려 노력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정결함을 받아...2025.11.14
-
데살로니가전서 1장 1-10절 설교2025.11.161. 데살로니가 교회의 영적 성장 바울이 데살로니가에 개척한 교회는 초기에 미성숙했으나, 디모데의 보고를 통해 성도들이 복음에 견고히 서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그들의 믿음, 사랑, 소망이 도처에 퍼져 마게도냐와 아가야의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었습니다. 성도들은 환난 속에서도 성령의 기쁨으로 말씀을 받아 우리와 주를 본받은 자가 되었으며, 우상을 버리고 살아계신 참된 하나님을 섬기게 되었습니다. 2. 신앙의 열매와 영적 인격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믿음의 역사, 사랑의 수고, 소망의 인내를 기억하며 감사합니다. 이들은 가식적인 ...2025.11.16
-
성경 말씀으로 다음세대를 양육하는 방법2025.11.161. 성경의 역할과 기능 디모데후서 3장 16-17절에 따르면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며,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하게 하고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한다. 성경은 단순한 윤리나 도덕 교과서가 아니라 예수님을 만나게 하는 것이 목적이며, 어려서부터 성경 말씀으로 무장한 아이들이 사단의 권세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주의 사람으로 자라날 수 있다. 2. 가정에서의 신앙 교육 믿음의 가정에서는 부모와 함께 하나님 말씀에 양육되는 자녀들로 살아가야 한다. 어릴 때부터 ...2025.11.16
-
나의 하나님을 만나는 기도의 삶2025.11.121. 솔로몬의 성전 기도 솔로몬이 여호와의 제단 앞에서 이스라엘의 온 회중 앞에 하늘을 향해 손을 펴고 기도합니다. 그는 하늘과 땅에 주와 같은 신이 없음을 고백하며, 하나님께서 온 마음으로 주의 앞에서 행하는 종들에게 언약을 지키시고 은혜를 베푸심을 감사합니다. 성전에서 기도할 때마다 주께서 들으시고 응답해 주실 것을 간구하는 내용입니다. 2. 개인적 신앙 경험의 중요성 부모의 신앙이나 다른 사람을 통해 전해진 하나님만으로는 부족하며, 자신이 직접 하나님을 만나고 인격적으로 관계를 맺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모태신앙으로 버틸 수 있...2025.11.12
-
야곱의 신앙 여정: 벧엘에서의 만남2025.11.131.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SDA)는 예수의 재림과 제칠일 안식일 준수를 강조하는 개신교 교단입니다. 1950년대 월터 마틴의 연구에 따르면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따른 보편적 기독교의 본질에서 일탈하지 않으며, 몬몬교나 여호와의 증인과 달리 폐쇄적 구원관을 주장하지 않습니다. 한국에서는 1965년부터 전국신학대학협의회에 정회원으로 참여해왔으며, 국제적으로도 미국 대통령 취임식 등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2. 야곱의 벧엘 경험과 영적 깨달음 창세기 28장에서 야곱은 도망 중 꿈에서...2025.11.13
-
그리스도교 사상과 문화 ) 내가 생각하는 고통과 영원2025.01.201. 그리스도교에서 고통의 의미 그리스도교에서 고통은 단순한 불행이나 처벌이 아니라, 신앙의 여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로 이해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십자가의 죽음은 고통의 절정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인류 구원의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그리스도교는 고통을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면서도, 이를 통한 영적인 성숙과 구원의 길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 고통을 통한 연대와 공감 그리스도교에서 고통을 통한 연대와 공감은 중요한 신학적 주제입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의 고난과 죽음을 통해 인간의 고통을 이해하고 공감하셨으며, ...2025.01.20
-
성경읽기의 의미와 기원, 기능2025.11.141. 성경의 기원 성경은 성령으로 감동된 사람들에 의해 1600년에 걸쳐 40여 명의 기록자들(왕, 군인, 학자, 목동, 농부, 어부, 의사, 세리 등)에 의해 기록되었습니다. 구약 39권과 신약 27권으로 총 66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제 저자는 하나님이십니다. 모든 단어, 문장, 점까지도 하나님께서 계시하셨으며, 성경은 하나의 흐름(그리스도, 교회, 몸, 왕국, 새 예루살렘)으로 전체가 이어져 있습니다. 2. 성경의 기능 성경은 주 예수님에 대하여 증언하는 것이며, 하나님을 생명으로 우리에게 나누어 주는 것입니다. 성경은 하...2025.11.14
-
시편 30편 주해: 질병에서 건지신 하나님을 찬양함2025.11.151. 하나님의 구원과 치유 시인은 죽음의 위협까지 이르렀던 심각한 질병으로부터 하나님의 구원을 경험했습니다. 하나님께 부르짖은 간구에 응답하신 하나님은 시인을 무덤의 수렁에서 끌어올리셨고, 이는 원수들이 기뻐하지 못하게 하는 하나님의 승리였습니다. 시인의 구원은 극적이었으며 하나님의 은혜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2. 하나님의 은혜와 진노 하나님의 진노는 잠깐이지만 은혜는 평생입니다. 하나님의 진노는 인간의 죄에 대한 반응이며 회개를 촉구하는 것이고, 회개 후에는 더 큰 은혜를 경험하게 됩니다. 저녁의 울음은 아침의 기쁨으로 ...2025.11.15
-
히브리서 12장 11-17절: 징계와 거룩한 삶2025.11.161. 하나님의 징계 하나님이 자녀들에게 징계를 주시는 이유는 하나님의 자녀임을 확신시키고, 구원받은 올바른 삶을 알려주며, 거룩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징계는 당시에는 슬퍼 보이지만 후에 의와 평강의 열매를 맺게 합니다. 징계를 받은 자들은 자신의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고, 피곤해진 육신을 바로잡으며, 가야할 길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2. 화평함과 거룩함의 추구 믿는 자는 모든 사람과 더불어 화평함과 거룩함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는 갈망하고 추구한다는 의미로, 구별된 삶을 살아야 함을 의미합니다. 과소비, 과식, 게으름, 지나친 치부,...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