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59개
-
수출입공고2025.01.211. 수출입공고의 의의 수출입공고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공고하는 수출입 승인대상물품의 수량, 금액, 규격 및 수출지역과 수입지역 등의 한정, 물품의 수출 또는 수입의 제한, 절차 등을 정하여 공고하는 것으로서, 수출입품목관리를 위한 기본 공고를 의미한다. 수출입공고는 수출입절차에서 제일 먼저 검토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이다. 2. 수출입공고의 표시방법 수출입공고에서 수출입허용품목과 수출입금지품목을 표시하는 데에는 Positive List System과 Negative List System이 있다. Positive List System...2025.01.21
-
수출입승인과 수출입통관2025.01.291. 수출입승인 우리나라의 수출입품목관리 체계는 negative list system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수출입승인이 필요 없다. 다만, 대외무역법의 수출입공고 등에서 수출입제한 또는 승인 혹은 수출입금지 품목으로 명기되어 있는 품목의 수출입은 수출입승인이 필요하다. 수출입승인을 지식경제부로부터 위임받은 기관은 관련 법규를 충족하고 있는지를 검토한 후 승인해 준다. 2. 수출통관 수출통관 절차는 수출하고자 하는 물품을 세관에 신고하고 세관에서는 신고된 내용에 따라 수출금지품 혹은 수출입공고 등에 위반되는 품목인지를 검사하여 이상이...2025.01.29
-
수출입물품관리2025.01.201. 수출입공고 수출입공고는 개별적인 수출 · 수입물품에 대한 수출 · 수입의 제한 여부에 관한 종합계획으로서 관세 또는 외환의 조작에 의한 수출입규제방식이 간접적인 규제방식인 데 반하여, 이는 수출 · 수입에 관한 직접적인 규제방식의 하나이다. 수출입에 관한 직접규제방식으로 물품의 수출입에 관한 자동승인품목, 제한승인품목 또는 금지품목 등의 구분, 제한승인품목의 품목별 수량 · 금액 · 규격 또는 지역 등의 제한, 무역의 지속적인 증대 또는 통상정책상의 필요에 의하여 대통령이 정하는 물품의 수출입에 관한 사항, 물품의 수출입에 관...2025.01.20
-
[무역법규] 수출입공고, 통합공고, 별도공고, 수출입물품관리2025.01.271. 수출입공고 수출입공고는 대외무역법에 따라 지식경제부장관이 개별적인 수출입물품에 대한 제한 및 절차 등을 규정하는 고시입니다. 수출입공고는 positive list system과 negative list system 두 가지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는 1967년 negative list system으로 전환하였습니다. 2. 통합공고 통합공고는 개별법에서 수출입을 제한하고 있는 사항을 지식경제부에서 통합하여 공고하는 것을 말합니다. 통합공고상의 규제는 환경보호, 국민건강 및 안전보호, 사회질서 유지, 문화재보호, 규격...2025.01.27
-
수출입통관의 개념과 종류2025.01.191. 수출입통관의 개념 통관(customs clearance)은 세관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하며, 국가 간 화물 이동 시 각국의 규제 내용을 세관을 통해 실현하는 제도이다. 관세법상 통관은 수출, 수입 및 반송을 포함하며, 징세와 더불어 관세법상 중요한 기능을 한다. 상품이 국가 간 이동할 때 수출국과 수입국에서 각각 통관 과정을 거치며, 이때 수출입국의 법률이 강제로 적용된다. 통관 과정에서 관세 및 내국소비세 부과·징수와 수출입 관련 법령 준수 여부 확인이 가장 중요하다. 2. 수출입통관의 종류 통관은 화물의 이동 경로에 따라 수...2025.01.19
-
(무역법규) 대외무역법에 있어, 수출입 품목관리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61. 대외무역법에서의 수출입 품목관리 대외무역법은 다른 나라, 다른 나라 기업과의 무역을 진흥하되 공정한 거래 질서를 확립해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하고 통상을 확대해서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제정된 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무역자유를 원칙으로 하므로 무역면허가 없는 사람도 누구나 자유롭게 수출입을 할 수 있다. 다만, 수입과 수출이 금지되는 또는 제한되는 품목을 정해 두고 있다. 대외무역법에서는 수출입품목 관리제도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모든 수출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법률이며, 이외에도 거래 품목에 따라 식품위생법이나 외...2025.01.26
-
대외무역법에 있어, 수출입 품목관리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81. 수출입품목의 관리체계 수출입품목에 대한 관리는 수출입공고, 전략물자·기술수출입통합공고, 통합공고 등의 체계로 이루어진다. 수출입공고는 수출입이 제한되는 품목을 지정하고, 전략물자·기술수출입통합공고는 국가안보를 위해 수출이 제한되는 전략물자를 지정한다. 통합공고는 개별법에 의해 수출입이 제한되는 품목을 종합적으로 공고한다. 2. 수출입공고의 표시방법 우리나라는 1967년 GATT 가입 이후 수출입공고 표시방법을 'Positive List System'에서 'Negative List System'으로 개편하였다. 'Negative...2025.01.28
-
수출입 통관절차2025.01.221. 통관의 개요 물품의 국제 간 이동에는 국가마다 여러 가지 규제를 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규제 내용을 세관이란 관문을 통하여 실효성을 확보하고 있다. 통관은 수출입하고자 하는 물품이 관세법상의 제반절차, 즉 세관에 수출 · 수입 · 반송의 신고를 하고 법령규제사항을 세관에서 확인 후 신고 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수출 · 수입 · 반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관의 기능으로는 수출입관련 법령의 실효성 확보와 재정수입의 확보가 있다. 2. 수출통관절차 수출통관이란 수출신고를 받은 세관장이 수출신고사항을 확인하여, 일정한 요건을 갖...2025.01.22
-
우리나라의 수출입 필요성과 방안2025.01.031. 무역의 정의와 특징 무역은 재화와 서비스의 자발적인 교환을 의미하며, 국가 간 거래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무역은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이 어렵고, 통화제도와 환율 문제가 발생하며, 해상운송과 관련된 제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2. 수출입의 경제적 효과 수출은 산업구조 고도화, 외화 획득, 원자재 확보, 고용 창출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며, 수입은 수출용 원자재 조달, 국내 기업의 경쟁력 제고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다만 수입 확대는 국내 유치산업 보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우리나라의 수출입 필요성...2025.01.03
-
수출입통관 관련서류2025.01.181.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란 수출국 소재의 수입국영사 또는 수출지의 상업회의소가 해당물품이 해당국에서 생산, 제조 또는 가공되었다는 증명서이다. 원산지란 당해물품의 견부 또는 2개국 이상이 제조하는 경우 당해물품의 본길적인 특성을 최종적으로 부여한 국가를 의미한다. 원산지증명서의 사용목적은 특정국가나 지역으로부터 수입을 금지 또는 제한하기 위한 정책적 목적, 호혜통상협정이 체결된 국가 간의 수입물품에 대한 협정세율의 적용을 통한 관세의 감면혜택의 부여목적, 선진국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특혜...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