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8개
-
피부의 정상균 무리는 신체에 대체로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피부장벽을 지켜주는 미생물 집단으로써2025.01.201. 정상균 무리의 종류 상재균 무리(resident flora)와 일과성 균무리(transient flora)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상재균은 인체에 상시 존재하는 미생물로 병원성이 나타나지 않는 세균이며, 일과성 균무리는 일시적으로 정착하는 병원성이 낮거나 잠재적인 세균 무리입니다. 2. 피부 정상균 무리의 역할 피부 정상균 무리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비타민과 아미노산 합성, 자극과 염증 억제, 자아면역 활성화, 병원성 세균 대응 등의 역할을 합니다. 3. 피부 정상균 무리의 중요성 피부 정상균 ...2025.01.20
-
손씻기, 손위생2025.01.141. 손씻기 손씻기는 병원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환자와 의료인의 감염예방을 위해 중요합니다. 피부에는 그람양성구균이 주로 존재하는 지속적 상재균과 그람음성간균이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상재균이 있습니다. 손을 씻어야 하는 경우는 피부, 기도, 점막 등의 인체 방어기전에 손상을 주는 처치 전후, 면역기전이 저하된 환자와 접촉 전후, 감염질환이 있는 환자와 접촉 후 등입니다. 손씻기 방법에는 베이슨법, 스와브법, 스크럽법, 러빙법 등이 있습니다. 2. 피부 소독제 피부 소독제에는 일반 비누, 알코올, 요오드 화합물...2025.01.14
-
미생물학 실습 균 배양 실험 보고서2025.01.121. 그람 염색 그람 염색은 세균을 분류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감별 염색법입니다. 그람 양성균은 crystal violet으로 청색 또는 보라색으로 염색되고, 그람 음성균은 safranin으로 분홍 또는 붉은색으로 염색됩니다. 이 실험에서는 그람 염색 기술을 익히고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을 구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2. 미생물 배양 이 실험에서는 인체 부위에서 미생물을 채취하여 배지에 배양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미생물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3. Escherichia coli Escherichia...2025.01.12
-
휴대용 무좀 치료기 비교 분석2025.01.141. 무좀 치료기 무좀은 피부사상균이 발 피부의 각질층에 감염을 일으켜 발생하는 표재성 곰팡이 질환입니다. 두 가지 휴대용 무좀 치료기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첫 번째 기기는 레이저를 이용해 무좀균을 살균하며, 흑운모 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 상재균 향균을 활성화합니다. 두 번째 기기는 악성 발톱 무좀 치료를 위해 살균 촉진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두 기기 모두 기존 치료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발명되었으며, 휴대성과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1. 무좀 치료기 무좀은 매우 흔한 피부 질환으로, 발가락 사이나...2025.01.14
-
S. epidermidis와 E. cloacae의 감염, 경로 및 치료, 관리2025.01.061.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주로 피부와 점막에 존재하는 상재균입니다. 이 균은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의료기기 삽입 환자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감염 경로는 주로 피부나 점막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항생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관리를 위해서는 철저한 손 위생과 의료기기 관리가 중요합니다. 2. Enterobacter cloacae Enterobacter cloa...2025.01.06
-
Diarrhea d/t C.difficile 성인간호학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2025.01.241. Clostridium difficile 감염에 의한 설사 Clostridium difficile은 정상 성인의 2~5%에서 대장에 나타나는 정상 상재균이다. 항생제 투여로 인해 장관의 정상균이 억제되고 C.difficile 균이 증식하면서 내는 독소가 장염‧설사를 유발한다. 감염에 의해 설사를 하는 경우 1인실 혹은 코호트 격리 입원치료를 하여야 한다. 대변 또는 대변으로 오염된 표면, 기구 또는 장치에 의해 전파되는 접촉주의 감염이다. 2. 소세포폐암(small cell lung cancer, SCLC) 소세포폐암은 폐암 환...2025.01.24
-
의료기관에서의 감염관리교육2025.05.091. 손위생 손위생에는 손씻기, 물없이 적용하는 손소독, 수술 전 손소독 등이 포함됩니다. 손씻기는 일반비누와 물을 이용하여 손을 씻는 것이며, 물없이 적용하는 손소독은 피부소독제를 이용하여 미생물을 감소시키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외과적 손위생은 수술이나 시술 전 피부소독제를 이용한 손씻기나 물없이 적용하는 손소독을 통해 피부 상재균을 감소시키고 일시적 오염균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2. 표준주의 표준주의는 의료기관에서 모든 미생물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모든 의료행위와 모든 환자에게 적용됩니다. 이는 환자...2025.05.09
-
세균 감염 사례 보고서(대장균)2025.01.131. 대장균의 개요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미생물로서, 그 이름 그대로 인간 몸의 장기인 대장(大腸, large intestine)과 관련된 세균입니다. 라틴어 학명인 Escherichia coli는 흔히 이콜라이라고 불린다는데, 여기서 coli는 '대장'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명칭은 주로 배가 아픈 경험과 관련돼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는데요. 하지만 모든 대장균이 우리에게 해로운 미생물은 아닙니다. 일부 대장균 종류는 오히려 우리 몸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미생물이기도 합니다. 2. 대장균의 특성 대장균은 사람이나 ...2025.01.13
-
슈퍼박테리아 보고서(VRSA,CRE,MRPA,VRE,MRAB,MRSA)2025.04.271. V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반코마이신에 내성이 있는 노란색을 띠는 공 모양의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감염증이다. 대부분 환경에 존재하며, 건강한 사람의 약 20%는 비강, 피부, 털에 이 균을 가지고 있다. 주로 VRSA 감염증 환자 또는 병원체 보유자와의 접촉, 오염된 의료기구 접촉, 환경을 통해 전파된다. 이는 균혈증, 피부 및 연조직 감염, 수술 부위 감염 등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한다. 2. CRE (Carbapenem-Resistant...2025.04.27
-
칸디다 알비칸스의 병태생리2025.01.111. 칸디다 알비칸스의 특징 칸디다균은 가장 흔한 진균 감염증의 원인균으로, 현재 약 190여 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칸디다 알비칸스는 점막의 정상균무리일 때는 효모형이지만 조직에 침투할 때는 가성균사와 균사를 형성한다. 효모형은 37℃ 혈청에서 배양할 때 발아관을 생성한다. 2. 칸디다 알비칸스의 서식처와 감염경로 칸디다 알비칸스는 피부, 점막 그리고 소화기계의 정상균무리이며, 성인 감염은 일어나지 않는다. 3. 칸디다 알비칸스의 병원성 칸디다 알비칸스는 사람에게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이지만, 인체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감염을 일...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