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슈퍼박테리아 보고서(VRSA,CRE,MRPA,VRE,MRAB,MRSA)
본 내용은
"
슈퍼박테리아 보고서(VRSA,CRE,MRPA,VRE,MRAB,MRS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6
문서 내 토픽
-
1. V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반코마이신에 내성이 있는 노란색을 띠는 공 모양의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감염증이다. 대부분 환경에 존재하며, 건강한 사람의 약 20%는 비강, 피부, 털에 이 균을 가지고 있다. 주로 VRSA 감염증 환자 또는 병원체 보유자와의 접촉, 오염된 의료기구 접촉, 환경을 통해 전파된다. 이는 균혈증, 피부 및 연조직 감염, 수술 부위 감염 등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한다.
-
2. 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중)카바페넴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장내세균속균종에 의한 감염증이다. 카바페넴 내성 기전중 하나인 카바페넴 분해효소의 유전자는 플라스미드 형태로 존재하고 다른 균주로의 수평적인 전파가 가능하여 확산의 원인이 된다. CRE는 장관 내에 살고 있지만, 감염원, 병원체 보유자와의 접촉, 오염된 기구 등을 통해 요로감염, 위장관염, 폐렴, 패혈증 등을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한다.
-
3. MRP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다제내성녹농균)카바페넴계, 미노글리 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녹농균으로 인한 감염증이다. 대부분 피오 사이아닌 색소 때문에 녹색 고름으로 보여 녹농균이라고 불린다. 녹농균은 상재균으로 자가 감염될 수 있으나, 대부분 감염원과 접촉한 사람의 손, 오염된 의료기구를 통해 전파되어 피부감염, 욕창, 폐렴, 균혈증, 수막염을 유발한다.
-
4. 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반코마이신을 포함한 Glycopeptide 항생제 내성을 보이는 장구균에 의한 감염이다. 장구균은 동그란 알 모양으로 위장관과 배뇨생식계에 있는 정상 상재균이지만, 면역이 약해지면 여러 질병을 일으킨다. 위장관계에 장구균을 보균한 환자, 오염된 의료기구를 통해 전파된다. 가장 흔한 감염 부위는 요로, 상처, 담즙관, 혈류이다.
-
5. MRAB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은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는 반투명한 진한 분홍색 알갱이 모양의 균이다. 주로 토양, 물속에 존재하며 건강인은 감염 위험이 적지만, 면역저하자, 당뇨 환자, 장기입원환자는 감염 위험성이 높다. 오염된 의료기구 접촉, 환경을 통해 전파되어 폐렴, 혈류감염, 창상감염을 일으킨다.
-
6.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는 메티실린 및 그 밖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황색포도알균으로 인한 감염증이다. 포도알균은 사람의 피부나 구강인후 점막 등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이지만. 침습적인 시술, 수술 등을 통해 감염을 유발하여 화농성 염증, 식중독, 피부연조직 감염, 카테터 관련 감염, 근골격계감염 등을 유발한다.
-
1. V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is a serious public health concern as it is a strain of Staphylococcus aureus that has developed resistance to vancomycin, a last-resort antibiotic used to treat severe bacterial infections. The emergence of VRSA is a result of the overuse and misuse of antibiotics, which has led to the evolution of these superbugs. VRSA infections can be difficult to treat and have high mortality rates, making it crucial to implement strict infection control measures and antibiotic stewardship programs to prevent the further spread of this pathogen. Additionally,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new antibiotics and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ies to combat VRSA and other drug-resistant bacteria.
-
2. 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중)CRE is a group of bacteria that have developed resistance to a class of antibiotics called carbapenems, which are often used as a last line of defense against severe bacterial infections. The rise of CRE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concern, as these bacteria can cause life-threatening infections and have limited treatment option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pread of CRE include the overuse of antibiotics, poor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nd the ability of these bacteria to spread rapidly between healthcare settings. Addressing the CRE crisis will require a multifaceted approach, including improved antibiotic stewardship, enhanced infection control measur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antibiotics and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ies. Continued research and collaboration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public health authorities, and the scientific community will be crucial in tackling this growing threat.
-
3. MRP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다제내성녹농균)MRPA, or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s a serious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that is difficult to treat due to its resistance to many commonly used antibiotics. This pathogen can cause a wide range of infections, including pneumonia, bloodstream infections, and surgical site infections, and is particularly problematic in healthcare settings where it can spread rapidly among vulnerable patient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ise of MRPA include the overuse of antibiotics, poor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nd the ability of Pseudomonas aeruginosa to develop resistance through various mechanisms. Addressing the MRPA challenge will require a comprehensive approach, including improved antibiotic stewardship, enhanced infection control measur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antibiotics and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ies. Continued research and collaboration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public health authorities, and the scientific community will be crucial in tackling this growing threat.
-
4. 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 or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concern as it is a strain of Enterococcus bacteria that has developed resistance to vancomycin, a commonly used antibiotic for treating severe bacterial infections. VRE infections can be difficult to treat and have high mortality rates, particularly in healthcare settings where these bacteria can spread rapidly among vulnerable patient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ise of VRE include the overuse of antibiotics, poor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nd the ability of Enterococci to acquire resistance genes. Addressing the VRE challenge will require a multifaceted approach, including improved antibiotic stewardship, enhanced infection control measur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antibiotics and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ies. Continued research and collaboration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public health authorities, and the scientific community will be crucial in tackling this growing threat.
-
5. MRAB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or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is a serious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that is difficult to treat due to its resistance to many commonly used antibiotics. This pathogen can cause a wide range of infections, including pneumonia, bloodstream infections, and surgical site infections, and is particularly problematic in healthcare settings where it can spread rapidly among vulnerable patient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ise of MRAB include the overuse of antibiotics, poor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nd the ability of Acinetobacter baumannii to develop resistance through various mechanisms. Addressing the MRAB challenge will require a comprehensive approach, including improved antibiotic stewardship, enhanced infection control measur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antibiotics and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ies. Continued research and collaboration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public health authorities, and the scientific community will be crucial in tackling this growing threat.
-
6.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 a serious public health concern as it is a strain of Staphylococcus aureus that has developed resistance to many commonly used antibiotics, including methicillin. MRSA infections can be difficult to treat and have high mortality rates, particularly in healthcare settings where these bacteria can spread rapidly among vulnerable patient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ise of MRSA include the overuse of antibiotics, poor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nd the a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to acquire resistance genes. Addressing the MRSA challenge will require a multifaceted approach, including improved antibiotic stewardship, enhanced infection control measur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antibiotics and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ies. Continued research and collaboration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public health authorities, and the scientific community will be crucial in tackling this growing threat.
-
간호학과 미생물학 과제_병원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감염균 종류와 치료방법 12페이지
병원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 종류와 감염관리 치료방법이름학과학번제출일자과목명교수명목 차Ⅰ.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종류31. 다제내성균의 정의31) 다제내성균의 사전적 정의32) 다제내성균의 발생원인3(1) 주요메커니즘3(2) 균의 항생제 내성을 갖는 유전적 특징3(3) 기본적인 기작 5가지32.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종류 4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42) VRE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43) 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54) MRAB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55) ...2025.01.29· 12페이지 -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미생물학 리포트- 9페이지
(미생물학 리포트)<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 >1.이 과제물은 내가 직접 연구하고 작성한 것이다.(o)2.인용한 모든 자료의 인용 표시를 바르게 하였다.(o)3.인용한 자료의 내용이나 표현을 왜곡하지 않았다.(o)4.정확한 출처 제시 없이 다른 사람의 글이나 아이디어를 가져오지 않았다.(o)5.과제물 작성 중 도표나 데이터를 조작하지 않았다.(o)6.과제물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거나 구매하여 제출하지 않았다.(o)7.이 과제에 실질적으로 참여하지 않은 사람을 공동 제출자로 명기하지 않았다.(o)8.이 과제물과 동일한 내용을 다른 교과...2019.04.27· 9페이지 -
항생제 내성균 정리 (약리학) 6페이지
임상약리학 보고서- 세균감염치료제 및항생제 내성균 -이름학과학번강의명담당교수제출일Ⅰ. 항생제1. 페니실린 (penicillin)페니실린은 처음으로 대량 생산된 항생물질이다.진균에서 분리되었고, 발견 즉시 감염으로부터 수천 명을 죽음으로 예방하는 약물이다.? 페니실린은 세포벽을 파괴하면서 세균을 죽인다.? 페니실린결합단백이라고 하는 페니실린 수용체로 세포벽을 약화시키고, 세포 내로 물이 들어가게 하여 미생물을 죽인다.? 폐렴, 뇌막염, 피부, 뼈, 관절염, 가스괴저, 탄저병 등의 치료에 적용된다.? 유해반응은 경미하기 때문에 가장 안...2020.02.25· 6페이지 -
기본간호학 다제내성균 레포트 8페이지
Ⅰ. 서론 1Ⅱ. 본론1. 문제점 분석 후 도출 12. 문제점에 대한 이유, 근거 13. 감염 관리 방법 : 의료인 측면 4Ⅲ. 결론 5? 참고문헌 6Ⅰ. 서론슈퍼 박테리아라고도 불리는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강력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병원체로, 최근 의료계의 중요한 화제 중의 하나이다. 다제내성균에는 VRSA, VRE, MRSA, MRPA, MRAB, CRE 가 대표적인데 이 6가지가 모두 강한 항생제에 내성을 지녔고, 해당균 검출 시에는 바로 보건당국에 보고해야 할 중대한 병균이다.다제내성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2019.10.22·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