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웹 브라우저 중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파이어폭스 각각의 동작 방식과 구조 비교2025.05.081. 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윈도우95와 함께 사용하기 편리했으나 점유율이 하락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원을 중단했다. 보안 취약성과 느린 속도가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2. 크롬 크롬은 구글이 개발한 프리웨어 웹 브라우저로, 2008년 12월 11일에 정식 출시되었다. 웹킷 엔진을 사용하다가 블링크 엔진으로 변경했으며, 현재 가장 대중적인 브라우저로 약 63%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보안과 속도가 장점이지만 램 사용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3. 파이어폭스 파이어...2025.05.08
-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2025.01.111. HTTP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가 HTTP를 사용하여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내면, 서버는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합니다. 이러한 요청과 응답은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에서 사용되며, 웹 페이지의 로딩, 데이터 전송, 웹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등 다양한 웹 기반 서비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GET...2025.01.11
-
우리 주변(일상)에서 볼 수 있는 큐(3가지 이상)와 스택(3가지 이상)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5.141. 큐의 일상적인 예시 큐(Queue)는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활용되는 자료구조입니다. 큐의 가장 특징적인 원칙은 FIFO(First In, First Out)으로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구조를 가집니다. 이 특성 때문에 큐는 순서와 정렬이 중요한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대기열, 교통 체계, 컴퓨터 과학에서 사용되는 이벤트 루프 등이 큐의 원칙을 잘 보여주는 예시라 할 수 있습니다. 2. 스택의 일상적인 예시 스택(Stack)은 큐와는 대조적으로 LIFO (Last In, First Out) 원칙에 ...2025.05.14
-
다음 네트워크에서 노트북 컴퓨터에서 웹 서버로 통신을 하려고 합니다. DNS 처리 과정을 서술하시오.2025.01.151. DNS (Domain Name System)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은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을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입니다. 개별 IP주소를 모두 외울 수 없기 때문에 이 시스템을 활용합니다. 2. DNS 서버 종류 DNS 동작 과정에서는 기지국 DNS 서버, ROOT DNS 서버, 최상위 도메인 서버(TLD), 2차 도메인 서버, 최하위 서버 등 다양한 DNS 서버가 상호작용합니다. 3. DNS의 동작 방식 1) 웹 브라우저에 이동하고자 하는 홈페이...2025.01.15
-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동작과정 설명2025.04.281. 네트워크 구조 프레젠테이션에서는 학교 네트워크의 구조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학교 네트워크에는 여러 개의 AP(Access Point)가 있으며, 이 AP들은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스위치들은 게이트웨이 라우터와 연결되어 있고, 라우터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2. Wi-Fi 접속 과정 클라이언트(노트북)가 Wi-Fi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과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AP 리스트를 확인하고 연결할 AP를 선택합니다. 그 후 AP에 접속 요청 프레임을 ...2025.04.28
-
스택과 큐(선형큐, 원형큐)의 개념 및 연산 방법2025.01.241. 스택(Stack) 스택은 후입선출(LIFO)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자료구조입니다. 스택의 기본 연산은 푸시(push)와 팝(pop)이며, 탑(top) 포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이루어집니다. 스택은 메모리 관리, 함수 호출 관리, 표현식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2. 큐(Queue) 큐는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자료구조입니다. 큐의 기본 연산은 인큐(enqueue)와 디큐(dequeue)이며, 앞(front)과 뒤(rear) 두 개의 포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2025.01.24
-
자료구조 스택 배열로 구현한 소스 코드2025.05.051. 배열 스택 이 코드는 학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배열 기반 스택 구현을 보여줍니다. 스택의 기본 연산인 push, pop, peek, display 등이 구현되어 있습니다. 스택의 최대 크기는 100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학생 정보는 student_no, name, address 필드로 구성됩니다. 이 코드를 통해 배열을 이용한 스택 자료구조의 기본적인 동작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배열 스택 배열 스택은 데이터 구조의 한 종류로, 가장 최근에 추가된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내는 LIFO(Last-In-First-Out)...2025.05.05
-
방통대 컴퓨터과학과 jsp프로그래밍_기말_과제물형2025.01.251. JDK JDK는 Java Development Kit의 약자이며, ORACLE 사이트에서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JSP 프로그래밍을 위해서는 JRE만 설치하는 것은 부족하고 JDK를 설치해야 합니다. JDK에는 컴파일러와 디버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 JSP 처리 과정 JSP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라이언트 요청 -> JSP페이지-> 서블릿 클래스 -> 서블릿 ->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WAS/웹 컨테이너는 JSP에 대한 요청이 들어온 후 상응하는 서블릿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JSP페이지를 서블릿 ...2025.01.25
-
c로 배우는 쉬운 자료구조 개정3판 6단원 연습문제 풀이2025.01.171. 스택 스택은 데이터가 한 쪽 끝에서만 삽입되고 삭제되는 후입선출(LIFO) 구조의 자료구조입니다. 오른쪽 큐 RQ에서 데이터가 하나씩 중간에 있는 스택 MS를 거치거나 바로 왼쪽 큐 LQ로 입력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성할 수 있는 스택 수는 2, 3, 4, 6, 7, 8, 5, 9, 2, 1, 10입니다. 2. 원형 큐 원형 큐는 배열의 처음과 끝이 연결되어 있는 큐 구조입니다. 현재 상태에서 front=0, rear=2이며 front에서는 삭제, rear에서는 삽입이 일어나는 경우, 'AB2번 x1FCDE'의 순서로 ...2025.01.17
-
OSI 7계층 모델의 주요개념과 계층별 기능 분석2025.04.271. OSI 7계층 모델 OSI 7계층 모델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컴퓨터 네트워킹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 계층을 나누어 설명한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등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IP 프로토콜 IP 프로토콜은 3계층 네트워크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로, TCP/IP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IP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