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컴퓨터과학과 jsp프로그래밍_기말_과제물형
본 내용은
"
방통대 컴퓨터과학과 jsp프로그래밍_기말_과제물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3
문서 내 토픽
  • 1. JDK
    JDK는 Java Development Kit의 약자이며, ORACLE 사이트에서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JSP 프로그래밍을 위해서는 JRE만 설치하는 것은 부족하고 JDK를 설치해야 합니다. JDK에는 컴파일러와 디버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2. JSP 처리 과정
    JSP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라이언트 요청 -> JSP페이지-> 서블릿 클래스 -> 서블릿 ->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WAS/웹 컨테이너는 JSP에 대한 요청이 들어온 후 상응하는 서블릿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JSP페이지를 서블릿 자바 소스파일로 변환하고, 변환된 소스파일을 컴파일 하여 서블릿을 생성한 후에 생성된 서블릿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합니다.
  • 3. JSP 페이지의 사용 영역
    JSP 페이지의 사용 영역(Scope)에는 page 영역, request 영역, session 영역, application 영역이 있습니다. page 영역은 한 개 JSP페이지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영역이며, request 영역은 웹 브라우저의 요청 한번을 영역으로 합니다. session 영역은 웹 브라우저가 살아있는 동안의 범위를 나타내며, application 영역은 웹 어플리케이션이 살아 있는 동안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 4. Cookie
    Cookie는 웹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크기의 텍스트 데이터로서 '이름=값' 쌍으로 구성됩니다. 쿠키는 웹 브라우저가 보관하고 있는 데이터로서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함께 전송됩니다. 쿠키 값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같은 이름의 쿠키를 새로 생성하여 response객체를 이용해서 전송해 주면 됩니다. 생성된 쿠키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setMaxAge() 메서드를 0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 5. 자바빈 클래스
    자바빈은 JSP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한번 만들어 놓으면 다른 프로그램에서 재사용 할 수 있고, 코드가 깔끔해지는 등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바빈 클래스 설계 시 getter 메서드와 setter 메서드를 정의해야 하며, getter 메서드는 파라미터가 없는 메서드여야 하고 해당 속성의 데이터 타입과 일치하는 리턴 타입을 가져야 합니다. 또한 setter 메서드는 해당 속성과 데이터 타입이 일치하는 파라미터를 한 개 가져야 합니다.
  • 6. JSTL
    태그를 사용하여 조건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조건식에는 true나 false를 리턴하는 조건식이 올 수 있으며, 표현식이나 표현언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형태의 표현 언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7. 웹 프로그래밍 기본
    웹 브라우저는 GET방식과 POST방식 중 한 가지를 이용해서 파라미터를 전송합니다. GET은 요청 URL에 전송할 데이터를 붙여서 전송하는 방식이고, POST는 데이터 영역을 이용해서 파라미터를 전송합니다. 태그는 텍스트 입력 창, 체크박스, 전송 버튼 등을 만드는데 사용하며, 입력 폼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로그인'버튼을 누르면 login.jsp로 입력 값을 전송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JDK
    JDK(Java Development Kit)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입니다. JDK에는 자바 컴파일러, 자바 가상 머신, 자바 API 라이브러리 등이 포함되어 있어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JDK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핵심 구성 요소로, 개발자들이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따라서 JDK는 자바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JSP 처리 과정
    JSP(Java Server Pages)는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기술로, 서버 측에서 실행되어 HTML, XML, 자바스크립트 등의 정적 콘텐츠와 동적 콘텐츠를 결합하여 최종 웹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JSP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클라이언트가 JSP 페이지를 요청하면 웹 서버가 이를 받아 JSP 엔진에 전달합니다. 2) JSP 엔진은 JSP 페이지를 자바 서블릿 코드로 변환합니다. 3) 변환된 서블릿 코드가 컴파일되어 실행 가능한 클래스 파일이 생성됩니다. 4) 생성된 클래스 파일이 실행되어 동적 콘텐츠가 생성되고, 이를 HTML 형태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합니다. 이러한 JSP 처리 과정을 통해 개발자는 자바 코드와 HTML을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동적 웹 페이지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3. JSP 페이지의 사용 영역
    JSP 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사용 영역이 존재합니다. 1) 페이지 영역(Page Scope): 현재 JSP 페이지 내에서만 유효한 영역입니다. 2) 요청 영역(Request Scope): 현재 요청에 대해서만 유효한 영역입니다. 3) 세션 영역(Session Scope): 사용자의 세션 동안 유효한 영역입니다. 4) 애플리케이션 영역(Application Scope): 웹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유효한 영역입니다. 이러한 사용 영역을 적절히 활용하면 JSP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영역은 현재 페이지에서만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하고, 세션 영역은 사용자 세션 동안 유지해야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JSP 페이지의 사용 영역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Cookie
    Cookie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상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쿠키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합니다. 웹 브라우저는 이 쿠키를 저장하고, 이후 동일한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쿠키를 함께 전송합니다. 이를 통해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 정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쿠키는 사용자 인증, 장바구니 기능, 개인화된 콘텐츠 제공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그러나 쿠키에는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개발자는 쿠키 사용 시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쿠키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자바빈 클래스
    자바빈 클래스는 자바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자바빈 클래스는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는 메서드를 포함하는 자바 클래스로,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됩니다. 자바빈 클래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기본 생성자를 가져야 합니다. 2) 모든 멤버 변수는 private으로 선언되어야 합니다. 3) 멤버 변수에 대한 getter와 setter 메서드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자바빈 클래스는 데이터 캡슐화, 재사용성, 유지보수성 등의 장점을 가집니다. 자바빈 클래스는 JSP, Servlet, EJB 등 다양한 자바 웹 기술에서 사용되며,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JSTL
    JSTL(Java Standard Tag Library)은 JSP 페이지에서 자바 코드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태그 라이브러리입니다. JSTL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제공합니다. 1) 제어문 태그: if, choose, forEach 등의 제어문 태그를 제공합니다. 2) 출력 태그: 변수 값을 출력하는 태그를 제공합니다. 3) 데이터베이스 태그: SQL 쿼리를 실행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태그를 제공합니다. 4) XML 태그: XML 문서를 처리하는 태그를 제공합니다. JSTL을 사용하면 JSP 페이지에서 자바 코드를 줄일 수 있어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됩니다. 또한 JSTL은 표준화된 태그 라이브러리이므로 다양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JSTL은 JSP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웹 프로그래밍 기본
    웹 프로그래밍의 기본은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HTTP 프로토콜, HTML, CSS, JavaScript 등의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입니다.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서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서버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합니다. HTTP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규정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HTML, CSS, JavaScript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로, 웹 페이지의 구조, 스타일, 동작을 정의합니다. 이러한 기본 기술들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웹 프로그래밍의 기본이 됩니다. 또한 서버 측 기술인 JSP, Servlet, Spring 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웹 프로그래밍의 기본을 잘 이해하고 실습하는 것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수적입니다.
  • 8. 웹 프로그래밍 기본
    웹 프로그래밍의 기본은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HTTP 프로토콜, HTML, CSS, JavaScript 등의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입니다.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서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서버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합니다. HTTP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규정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HTML, CSS, JavaScript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로, 웹 페이지의 구조, 스타일, 동작을 정의합니다. 이러한 기본 기술들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웹 프로그래밍의 기본이 됩니다. 또한 서버 측 기술인 JSP, Servlet, Spring 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웹 프로그래밍의 기본을 잘 이해하고 실습하는 것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