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7개
-
세균 배양배지의 분류, 형태, 사용법2025.11.151. 세균 배양배지의 농도별 분류 세균 배양배지는 농도를 기준으로 고체 배지, 반고체 배지, 액체 배지로 분류된다. 고체 배지는 1.5-2.0% 농도의 한천을 포함하며 세균 격리와 집락 특성 결정에 유용하다. 반고체 배지는 0.5% 이하의 한천 농도로 미세산소균 배양과 세균 운동성 측정에 사용된다. 액체 배지는 겔 성분이 없으며 유기체 번식, 발효 연구, 설탕 발효 테스트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된다. 2. 선택적 및 농축적 배지 선택적 배지는 특정 억제제(항생제, 염료, 화학물질)를 첨가하여 원하지 않는 세균을 억제하고 병원균을 선...2025.11.15
-
감염미생물과 간호: 미생물학 기초 및 병원균 규정2025.11.121. 미생물학의 정의 및 범위 미생물학은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매우 작은 생물군인 미생물(원충, 진균, 세균, 리케차, 클라미다아, 바이러스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감염병과 질병을 예방하고 미생물의 생태와 생리를 인류 복지를 위해 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간과 동물에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을 병원미생물이라 하며, 이를 연구하는 학문을 병원미생물학 또는 임상미생물학이라 한다. 2. 미생물학의 역사적 발전 중세에는 역병이 신이 내린 벌이나 오염된 공기로 인해 전파된다고 믿었다. 레벤후크가 현미경을 개발하여 최초로 미생물을 관...2025.11.12
-
식품미생물학 실험 결과보고서 - 우유로부터 미생물의 분리2025.05.121. 우유 미생물 분리 이번 실험은 여러 가지 선택배지를 이용해 우유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고, 이들의 배양적, 생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실험 결과, 상한 우유 샘플에서 NA 배지와 MRS 배지에서 균 colony가 관찰되었으며, MacConkey 배지에서는 균이 자라지 않아 그람음성균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한 우유에는 포자 형성 그람양성 간균, 유산균, Micrococcus, 효모, 곰팡이 등이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멸균 우유에서는 모든 배지에서 균 colony가 관찰되지 않았다. 1. 우유 미생물 분리 ...2025.05.12
-
감염관리와 미생물학(대장균) 레포트2025.05.161. 대장균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1885년 Theodor Escherich에 의해 보고된 후, 그 이름을 따서 Escherichia coli 라고 부르며, 초기에는 Bacterium coli 라고 하였다. 대장균은 통성호기균으로 건강인의 장관내 정상세균총을 구성하는 세균의 일종으로 요로계 감염, 창상감염, 폐렴, 뇌막염, 폐혈증을 일으키는 인체 병원균 중 다양한 장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흔히 분리되는 균이다. 2. 장병원성 대장균 장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coli, EPEC)은 주로...2025.05.16
-
경기 서해안에서 분리한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특성 연구2025.05.121. 비브리오 패혈증균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호염성, 운동성, 그람음성 간균으로, 해양 환경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세균입니다. 국내에서는 1982년 첫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가 보고되었고, 최근 5년 동안 전국적으로 50건 내외의 발생이 나타나며, 치사율이 최소 21.4%에서 최대 52.2%로 높게 나타나 보건위생상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2. 항생제 내성 최근 의료계와 농·축·수산업계의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하여 항생제 내성 균주가 환경으로 유입되어 식품 등을 통해 인체에 직접 전달되거나 인체 병원균에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전달하는...2025.05.12
-
[식품미생물학및실험] Quartering(사분법)에 의한 세균배양, 순수분리 실험 보고서 레포트2025.01.171. Quartering(사분법)에 의한 세균배양·순수분리 이 실험의 목적은 검체 중에 들어있는 세균을 순수 분리하고, 계대 배양하여 집락의 특성을 익히는 것입니다. 백금이를 이용하여 균을 채취한 후 평판배지 위에 균을 4번 획선 접종함으로써 균을 단일 colony로 취할 수 있습니다. 계대 배양은 세포를 동물로부터 떼어내어 배양접시나 시험관에서 배양하는 것을 말합니다. 집락은 1개의 세균 세포가 분열 증식하여 눈으로 볼 수 있는 하나의 균 집단을 형성한 것입니다. 2. 슈도모나스 슈도모나스는 감마 프로테오박테리아의 한 종류입니다....2025.01.17
-
TECAN을 이용한 DNA quality check와 전기영동을 통한 대장균의 병원성 유형 확인2025.01.121. DNA 추출 및 정제 세포로부터 DNA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포 내 DNA가 세포 밖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세포벽 및 세포막을 분해시켜야 한다. DNA 추출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지며, sample의 세포막을 제거하는 단계인 Lysis, DNA 구조를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인 Washing, 불순물이 필터링된 DNA 샘플만을 tube에서 용출해내는 단계인 Elution이 있다. 2. DNA quality check 추출한 DNA는 DNA quality check를 해주고, Nucleic acid quantific...2025.01.12
-
대장균 배양, 형질전환, Plasmid DNA 분리, DNA 전기영동 실험 보고서2025.01.121. 대장균(E.coli) 대장균(E.coli)은 그람음성 간균으로, 포자를 생성하지 않으며 1-2 microns x 30-30 micron 크기의 박테리아입니다. 섭씨 37도에서 잘 자라며, 정상적인 인간의 장에 존재하여 건강에 유익합니다. 하지만 배설물과 함께 나와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배지 배지는 미생물이나 세포를 성장시키는데 사용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배지는 액체 영양배지나 LB배지이며, 이를 Agar와 섞어 고체배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LB배지는 tryptone, yeast extrac...2025.01.12
-
[A+ 보장!] 연세대 의대 의예과 1학년 General Biology 실험 레포트 Plasmid DNA mini-preparation and gel electrophoresis2025.01.141. 대장균 대장균은 인간을 비롯한 동물의 대장과 소장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의 일종이다. 대장균은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며 오히려 영양분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과정에서 인간에게 도움을 준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식중독이나 콜레라를 유발하는 병원균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장균은 산소의 농도나 온도의 변화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받지 않으며 다양한 물질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 빠르게 번식하고 쉽게 죽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대장균은 생명공학이나 유전체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생물이다. 2. 플라스미드 DNA 추출...2025.01.14
-
미생물 배양 및 세균검사, 박테리아의 동정2025.01.041. 미생물 배양 및 세균검사 이번 실험에서는 미생물 실험의 기초인 멸균과 소독의 개념을 이해하고 배양배지를 만들어 식품위생검사를 위한 균의 접종 및 배양방법을 익혔습니다. 또한 미생물을 그람 염색하여 염색된 세균의 표본을 관찰한 후 동정된 균의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였습니다. 2. 박테리아의 동정 실험 결과 대장균인 E.coli가 나선균이며 동시에 그람 음성균이라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그람염색을 통해 자주색을 띠는 그람양성균인 Bacillus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그람염색의 원리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