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가정폭력범죄에서 반의사불벌죄 폐지 필요한가2025.05.141. 반의사불벌죄의 개념 반의사불벌죄(反意思不罰罪)란, 1953년 9월 18일 「형법」 제정 때 새롭게 만들어진 범죄유형으로, 피해자가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가 없어도 공소를 제기할 수 있으나, 처벌을 희망하지 아니하는 의사표시가 있거나 처벌을 희망하는 의사표시를 철회하였을 때에는 공소를 제기할 수 없고, 공소를 제기한 때에는 공소기각(公訴棄却)의 판결을 선고하여야 한다(형사소송법 제327조 6호). 2. 가정폭력의 현황 및 처벌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제1호에 따르면, 가정폭력이란 '부모, 배우자, 자녀,...2025.05.14
-
특별형법 정리2025.01.291. 교통사고 관련 법 개관 도로교통법, 교통사고처리특례법, 특정범죄가중처벌법 등 교통사고 관련 법규를 정리하였다. 도로교통법상 기본개념, 주요 범죄유형과 벌칙규정,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반의사불벌죄와 예외사유,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도주치사상 등을 설명하였다. 2. 도로교통법 기본개념 도로교통법상 '운전'의 개념, '도로'의 범위, 본래의 사용방법에 따른 운전 등 도로교통법의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하였다. 3. 도로교통법 주요 범죄유형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 음주측정거부, 사고 후 미조치, 무면허운전, 과실손괴 등 주요 범죄유형과 관련...2025.01.29
-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반대측 쟁점 정리2025.04.261.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처벌 반대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처벌은 표현의 자유에 어긋난다. 법의 원칙 목적의 정당성은 인정되지만,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 등의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특히 진실한 사실 적시는 행위반가치와 결과반가치가 인정되기 어려워 처벌이 부당하다. 또한 사실적시 명예훼손죄가 반의사불벌죄이고 위법성 조각사유인 형법 제310조가 불명확하여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킨다. 따라서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의 폐지 또는 일부 위헌 결정이 필요하다. 2. 표현의 자유와 명예보호의 조화 헌법 제21조가 선언하는 표현의...2025.04.26
-
자치입법권 중 조례제정과 관련한 '법률우위의 원칙'과 '법률유보의 원칙'2025.01.201.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입법권 우리나라는 지방자치제도를 통해 각 지역의 주민들이 직접민주주의 방식을 통한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헌법에서도 이러한 지방자치제도를 인정하고 있으며, 헌법 제117조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법령의 범위 안에서 지방자치에 관한 규정인 조례를 제정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치입법권은 헌법에 따라 부여되는 지방자치제도의 핵심이자 본질적 내용을 구성하고 있으며, 조례는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수행의 근거와 기준이 되어 주요 정책을 형성하고 실현하는 수단으로 기능하게 됩니다. 2. 조...2025.01.20
-
데이트폭력 방지법 제정에 관한 찬반 의견2025.01.221. 데이트폭력 데이트폭력은 데이트 관계에 있는 미혼 남녀가 상호간 합의없이 한 사람이 일방적으로 상대방에게 해를 끼칠 의도를 가지고 행하는 신체적, 정서적, 언어적, 성적 폭력을 포괄적으로 지칭합니다. 데이트폭력은 관련 법적 규제가 없어 통상적인 폭력범죄로 처벌되고 있지만, 피해자와 가해자의 친밀한 관계로 인해 처벌의사 표시가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트폭력 방지법 제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2. 데이트폭력 방지법 제정 필요성 데이트폭력 방지법 제정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현행법상 폭행죄와 협...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