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27개
-
니체 계보학과 근대철학2025.05.011. 니체의 문제 설정 니체의 문제 설정은 기존 철학자들이 던지는 질문 방식과 다르다. 그는 '아름다움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에스더의 어떤 것이 아름다운가'와 같이 역으로 질문하여 아름다움의 기준이 되는 힘과 의지를 찾아낸다. 이처럼 니체는 진리, 도덕, 인간 등 당연하게 여겨지는 관념의 혈통과 계보를 추적하여 그 근원을 밝히는 계보학적 방식으로 문제를 제기한다. 2. 힘에의 의지 니체의 핵심 개념인 '힘에의 의지'는 의지가 힘에 작용하고 힘과 함께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의지가 힘을 복종시키려 하고, 자신의 현재를...2025.05.01
-
열린사회와 그 적들2025.05.101. 열린사회와 그 적들 칼 포퍼는 '열린사회'야말로 인류가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사회라고 주장하고, 자신이 말하는 열린사회를 전체주의의 대립개념인 개인주의 사회이자 부분적인 개혁을 시도하는 점진주의적 사회라고 정의했다. 또, 역사주의로 불리는 전체론, 역사적 법칙론, 유토피아주의를 열린사회의 최대의 적으로 규정하고 플라톤, G.헤겔, K.마르크스 등을 '닫힌사회'로 이끈 '열린사회의 적들'이라고 혹독하게 비판했다. 2. 민주주의 민주주의란 그리스어(語)의 'demokratia'에 근원을 두고 있는데, 'demo(국민)'와 'k...2025.05.10
-
한국의 능력주의 서평2025.01.221. 능력주의 이 책에서는 여러 학자들의 이론과 함께 능력주의를 비판하며 능력주의가 만연한 한국 사회를 진단하고 있다. 능력주의가 나쁜 이유는 사람들로 하여금 불평등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조차 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능력주의는 불평등을 당연시함으로써 불평등을 재생산한다.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은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지배 집단은 피지배집단의 자발적 '동의' 과정을 거치며, 이데올로기가 인식의 틀로 작동함으로써 착취와 불평등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2. 불평등 능력주의는 불평등을 당연시함으로써 불평등을...2025.01.22
-
동서양고전의 이해2025.01.251. 연암 박지원의 작문 이론 연암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다. 그는 연암집에서 글을 잘 짓는 이를 '소단적치인(騷壇赤幟引)'이라 비유하며, 간결하고 명료한 문체, 논리적 사고, 독자 중심의 태도를 강조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가치를 지닌다. 2. 롤스의 정의론 존 롤스(John Rawls)의 '정의론'은 사회 정의와 개인의 자유, 평등 등을 논의하며, 제1원칙(평등한 자유의 ...2025.01.25
-
비판적 창의적 교육이 엘리트를 위한 교육인지 논의2025.01.021. 비판적 창의적 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비판적 창의적 교육은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며, 자신의 생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교육 방법입니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며,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더욱 자신감 있게 표현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비판적 창의적 교육은 학생들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갖추게 하여 민주주의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비판적 창의적 교육이 엘리트를 위한 교육이 아...2025.01.02
-
언론의 중립성 상실과 비판적 사고의 필요성2025.01.121. 언론중재법 개정 최근 언론중재법 개정을 둘러싸고 여당과 야당의 대립이 있었고, 언론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언론중재법은 언론의 자유와 공적 책임을 동시에 고려하여 만들어진 법이지만, 언론은 이를 규제하는 법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국민들은 언론중재법 개정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며 압도적으로 찬성하고 있다. 2. 인터넷 신문의 문제점 인터넷 신문은 과장된 기사 제목과 내용, 허위 과장 광고, 관련 없는 사진 오용 등의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뉴스 소비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받아들이게 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3. 기...2025.01.12
-
현대 민주주의의 이해_브이 포 벤데타 영화를 감상하고 전체주의와 수업 시간에 배운 민주주의(자유, 평화)의 내용에 관해 본인의 생각을 3매 분량으로 정리하시오.2025.01.191. 전체주의 영화 '브이 포 벤데타'에서 영국정부가 자행하는 전체주의적 정치행태는 공동체, 국가, 이념을 개인보다 우위에 두면서 개인을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사상이다. 이러한 전체주의는 베르사이유 체제의 붕괴 이후 1929년 경 미국에서 시작된 경제 공황의 영향이 전 세계에 미치게 되자, 독일·이탈리아·일본 등은 식민지도 적고 실업자 대책도 없었으므로 최후 수단을 사용되면서 경제 공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출현되었다. 2. 민주주의 민주주의는 자유와 평등을 기본요소로 하고 있다. 즉, 인간은 자유롭지 못...2025.01.19
-
민주평화론2025.01.121. 민주평화론의 주요 내용 및 성격 민주평화론은 전쟁과 민주주의에 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경험적 발견을 제시한다. 주요 내용은 1816년부터 1991년 사이 1,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양국간 전쟁 353건 중 민주주의국가간 전쟁은 0건이라는 것이다. 이는 민주주의 국가가 본질적으로 평화적인 것은 아니며, 민주주의 국가와 비민주주의 국가간의 전쟁에서는 민주주의 국가가 오히려 개전국인 경우가 많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2. 민주평화론의 이론적 설명 민주평화론은 규범적 모델과 구조적 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 규범적 모델은 민주...2025.01.12
-
누가 민주주의를 두려워하는가2025.01.241.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민주주의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민주주의는 당시 사회적 변화와 개인들의 선택과 행동으로 발전하고 진화했다.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는 시민들이 의회에서 직접 토론하고 투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고, 시민들의 평등과 참여를 강조했다. 고대 로마의 민주주의는 대표자를 선출하는 공화주의 형태를 지녔으며, 다양한 주민들을 포용하고 다양성을 존중했다. 그러나 이 시대의 민주주의에는 제한된 시민권, 권리의 불균형, 제한적인 투표 방식, 민주주의 개념의 제한성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2. 공화주의 전통 공화주의에서는 덕성,...2025.01.24
-
신자유주의와 복지국가의 후퇴2025.04.291. 신자유주의의 등장 1970년대의 물가상승과 오일쇼크를 계기로 신자유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신자유주의자들은 '작은 정부'를 추구하며 영국의 대처정부와 미국의 레이건 정부에서 주요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2. 복지국가의 형성과 위기 복지국가는 노동자와 시민계급의 요구를 반영하여 형성되었으며, 사회민주주의 이념을 기반으로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한 재정난과 인플레이션으로 복지국가가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3. 신자유주의의 개념과 주장 신자유주의는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개인과 민간,...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