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체 계보학과 근대철학
본 내용은
"
니체 계보학과 근대철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3
문서 내 토픽
-
1. 니체의 문제 설정니체의 문제 설정은 기존 철학자들이 던지는 질문 방식과 다르다. 그는 '아름다움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에스더의 어떤 것이 아름다운가'와 같이 역으로 질문하여 아름다움의 기준이 되는 힘과 의지를 찾아낸다. 이처럼 니체는 진리, 도덕, 인간 등 당연하게 여겨지는 관념의 혈통과 계보를 추적하여 그 근원을 밝히는 계보학적 방식으로 문제를 제기한다.
-
2. 힘에의 의지니체의 핵심 개념인 '힘에의 의지'는 의지가 힘에 작용하고 힘과 함께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의지가 힘을 복종시키려 하고, 자신의 현재를 극복하려는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의지를 말한다. 니체는 이를 통해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고자 한다.
-
3. 계보학니체의 '계보학'은 어떤 대상이나 개념이 어떻게 생성되고 어디서 연유하는지를 질문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참, 거짓, 선, 악 등의 자명한 개념이 어떤 힘에의 의지에 의해 만들어졌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계보학의 과제이다. 계보학은 니체의 새로운 비판철학으로, 가치와 힘에의 의지의 철학이라 할 수 있다.
-
4. 반근대적 비판철학니체는 근대철학의 자명하고 확실한 출발점이었던 데카르트의 주체 개념을 해체한다. 그는 자명한 진리나 확실성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은 의지가 작동하는 가치만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근대철학의 문제 설정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비판한다. 니체의 반근대적 비판철학은 진리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기한다.
-
5. 계몽주의에 대한 비판니체는 칸트의 계몽주의적 이성이 결국 새로운 복종을 지휘하는 군주로 작용한다고 비판한다. 또한 민주주의의 이념인 자유, 평등, 박애 등이 현실에서 인간 삶을 병약하게 하는 방향으로 오용된다고 보았다. 니체는 이러한 계몽주의와 민주주의의 이념이 특정한 시대와 장소에서 인간의 왜곡된 욕망에서 시작되었음을 폭로한다.
-
1. 주제2: 힘에의 의지니체의 '힘에의 의지' 개념은 그의 철학 전체를 이해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그는 인간의 본성을 '힘에의 의지'로 파악하며, 이를 통해 기존의 도덕과 가치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힘에의 의지는 단순한 힘의 추구가 아니라 자기 실현과 자기 고양의 의지를 의미한다. 니체는 이를 통해 인간의 삶과 가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2. 주제4: 반근대적 비판철학니체의 철학은 근대 철학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을 포함하고 있다. 그는 근대 철학의 형이상학적 진리관과 도덕관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철학적 지평을 모색했다. 니체의 반근대적 비판철학은 기존의 철학적 전통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를 통해 새로운 철학적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근대철학 해체 - 프로이드, 니체 2페이지
근대철학의 해체 -프로이트, 니체1. 프로이트 : 정신분석학과 근대철학프로이트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개념은 ‘무의식’이다. 무의식은 사람의 정신 안에서 전혀 의식되지 않은 채 판단하는 영역을 말한다. 이 영역은 최면술에서의 ‘후최면 효과’나 히스테리환자를 치료한 ‘카타르시스 요법’을 통해 발견된다.그런데 프로이트는 꿈을 연구하면서 무의식이 최면술이나 히스테리 환자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심지어 농담이나 실수, 일상생활에서까지도 무의식의 징후를 찾아낸다.또한 무...2022.03.16· 2페이지 -
"[사회학과] 키워드 요약 및 분석 - 푸코, 계보학, 규율 3페이지
계보학푸코의 근원적인 질문들은 니체에서 발원한다고 볼 수 있다.‘어떻게 나는 내가 되었으며, 나는 왜 지금의 내가 된다는 것을 그토록 괴로워하는가’라는 푸코의 근원적 질문에서 니체의 영향력을 확인해 볼 수 있다.니체의 철학을 하는 방식은 계보학적이라고 할 수 있다. 계보학은 질문을 바꾸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철학의 질문은‘무엇인가?’였다. 즉, 보편적인 본질을 묻는 질문으로, ‘선이란 무엇인가?’혹은‘악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이 구체적인 예가 될 것이다. 하지만, 니체의 계보학 에서는 질문이‘어느 것인가? , 그리고‘누구인가?...2021.04.27· 3페이지 -
미셸 푸코 < 언어, 지식, 그리고 권력> 10페이지
미셸 푸코 < 언어, 지식, 그리고 권력>“이성에 대한 확신 위에 구축되어 온 서양 근대사상을 근저에서부터 뒤흔들어버리고, 전혀 새로운 시각으로 인간의 역사를 재구성한 프랑스의 철학자. “ 혹은 ” 19세기를 벗어났다는 점에서 가장 완전하고 유일한 20세기의 철학자“ 라고 불리는 미셸 푸코1. 생애2. 사상적 배경3. 교육사상4. 현대적 의의5. 결론1. 생애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는 1926년 프랑스 중서부 지역에 위치한 프와티에(Poitiers)에서 외과의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그 지...2025.03.13· 10페이지 -
철학_원서를 읽는 과정에서 자신이 논의하고 싶은 주제를 잡아 해당 문제에 대하여 저자가 주장하는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비판적 평가나 입장을 논증하시오. 6페이지
철학원서를 읽는 과정에서 자신이 논의하고 싶은 주제를 잡아 해당 문제에 대하여 저자가 주장하는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비판적 평가나 입장을 논증하시오.목 차1.서론2.본론1) 니체의 주장2) 자연의 인간화3) 인간의 자연화3.결론4.참고문헌1. 서론니체는 사물의 궁극적인 본질을 파악하려고 하는 전통형이상학의 시도들을 해체하고 있다. 그는 저서 곳곳에서 이성에 바탕을 둔 인간의 인식 능력에 대해서 강한 의문을 제기하며, 자연을 인간화하려고 하는 다양한 학문적인 시도들을 비판하였다.‘도덕의 계보학에서 코페르니쿠스 이...2023.08.03· 6페이지 -
[A+] 니체의 시선으로 읽는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 7페이지
REPORT“오늘날 우리가 하여금 ‘인간’을 혐오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왜냐하면 우리가 인간 때문에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두려운 것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가 인간에게서 더 두려워할 것이 없다는 사실, ‘길들여진 인간’, 어찌할 수 없을 정도로 평범하고 달갑지 않은 인간이 벌써 자신을 목표이자 정점으로, 역사의 의미로, ‘보다 높은’ 인간으로 느낄 줄 알게 되었다는 사실이 두려운 것이다.” 『도덕의 계보학』에서 니체는 패배주의에 길든, 무능력하고 병든 근현대인들을 채찍질한다. 니체...2024.06.23·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