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5개
-
요양병원 dressing list, 드레싱 리스트 한글 파일2025.01.291. Simple Dressing 단순 드레싱 처치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측 3번째 발가락, coccyx 부위, P-care, T-tube 등의 부위에 대한 드레싱 방법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2. Sore Dressing 욕창 드레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coccyx 부위, Rt. back 부위 등의 욕창 관리를 위한 드레싱 방법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베타딘 사용을 자제하고 아쿠아셀, 듀오덤, 테가덤 필름 등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3. PICC 관리 PICC 라인 관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2025.01.29
-
욕창 관리 간호2025.05.061. 욕창 간호 욕창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주로 뼈 돌출부)에 압력 혹은 마찰과 응전력이 결합한 압력이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인한 허혈성 조직괴사로 생기는 피부나 하부 조직의 손상상태를 말한다. 욕창 발생 위험요인이 있는 대상자를 사정하여 욕창 예방 간호를 제공하고, 욕창 발생 시 단계별 지침에 따른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욕창의 치유효과를 최대화하고 합병증을 최소화한다. 2. 욕창 위험 평가 욕창발생 고위험군 : Braden Scale 12점 이하, 욕창발생 위험군 : Braden Scale 13...2025.05.06
-
상처소독과 드레싱재료의 이해2025.05.101. 상처의 종류 상처의 종류에는 찰과상, 열상, 절상, 자상, 관통상, 결출상, 욕창, 화상 등이 있다. 각 상처 유형에 따라 특징과 치료 방법이 다르다. 2. 드레싱의 목적과 종류 드레싱의 목적은 상처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것이다. 드레싱의 종류에는 흡수 드레싱, 충진 드레싱, 커버 드레싱 등이 있다. 각 드레싱 유형은 상처의 깊이와 삼출물 정도에 따라 선택된다. 3. 드레싱 재료의 종류와 특성 드레싱 재료에는 거즈, 필름, 폼, 하이드로콜로이드, 하이드로겔, 알지네이트, 하이드로파이버 등이 있다. 각 재...2025.05.10
-
기본간호학 문제만들기 과제2025.01.201. 관장 35세 여성 환자에게 복부 수술을 앞두고 글리세린 관장이 처방되었다. 관장 수행을 위한 간호로는 좌측 심스체위를 취해주고, 관장액은 500~1000cc 주입하며, 주사기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삽입 길이는 약 7.5~10cm 정도가 적절하다. 2. 단순도뇨 48세 여성 환자가 요의가 느껴져 소변을 보고 난 후 잔뇨감이 있어 불편하다고 호소하여 단순도뇨를 시행하려 한다. 이때 간호사는 배횡와위를 취해주고,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 후 장갑을 낀 상태에서 삽입하며, 여성의 경우 5~8cm 정도 삽입한다. 3. 비위관 삽입 40세...2025.01.20
-
피부통합성, 욕창 설명 및 피부손상 간호과정(간호중재 7개+이론적 근거)2025.05.081. 피부통합성 피부통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장발달, 기동성과 부동, 영양 상태, 습기, 정신상태, 당뇨병 등이 있다. 피부 손상이 발생하면 염증기, 증식기, 성숙기의 상처치유 과정을 거치게 되며, 출혈, 감염, 열개와 적출, 누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2. 욕창 욕창은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조직의 손상으로, 외부 압력, 마찰, 전단력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욕창은 1단계부터 4단계까지 단계가 있으며, 욕창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습기, 영양, 악액질, 감염, 연령, 부동 등이 있다...2025.05.08
-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관) 종류2025.01.291. Central Venous Catheter의 종류 Central Venous Catheter(중심정맥관)은 심장으로 들어가는 대정맥(쇄골하 정맥, 경정맥, 대퇴 정맥 등)에 삽입되는 카테터로, 혈역학적 측정, 다량의 급속 혈액주입, 말초 정맥 카테터 사용이 어렵거나 장기간 사용이 필요한 경우, 고농도 정맥 주사약 투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Central Venous Catheter의 종류에는 단기간(3-10일) 사용하는 Short-term, 중기간(5-28일) 사용하는 Midline catheter와 PICC, 장기간(6...2025.01.29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단순도뇨2025.05.091. 단순도뇨(Nelaton catheterization) 단순도뇨는 환자가 소변을 보지 못할 때 방광을 비우기 위해, 검사를 위해 무균적으로 소변을 채취하기 위해, 잔뇨량을 측정하기 위해, 무뇨인지 핍뇨인지 확인하기 위해, 실금으로 인한 수술부위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한다. 준비물품으로는 드레싱 세트, 도뇨관, 검체물 용기, 소변 받을 용기 등이 필요하다. 무균술을 지키며 도뇨관을 삽입하고 소변을 배출하며, 필요 시 검사물을 채취한다. 소변 배출 후에는 도뇨관을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1. 단순도뇨(Nelaton cathete...2025.05.09
-
Suture set 준비 및 간호 (단순봉합)2025.01.221. Suture (단순봉합) Suture set를 무균법의 원칙에 따라 개봉하고, 세트 속에 소독솜, gauze, needle, syringe, 소공포, nylon을 무균적으로 넣습니다. 주사기 포장을 뜯어서 주사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suture set에 넣습니다. 소독기구에 닿은 손은 더 이상 멸균상태가 아님을 명심하고, 각 부위는 닦을 때마다 새로운 소독솜을 사용합니다. 2. Suture의 목적 Suture의 목적은 지혈을 하기 위함, 기능상의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함, 조직 간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서 빠르게 치유되도록...2025.01.22
-
A+ 성인간호학 골절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2, 간호과정2)2025.01.151. 경골과 비골 골절 이번 CASE STUDY를 통해 골절에 관한 정의, 약물, 진단, 간호과정 등을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케이스를 작성하며 이론으로만 공부하여 이해되지 않았던 내용들이 이해되었고, 환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하면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생각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또한 경골과 비골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적절한 치료와 간호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골절의 정의 골절이란 뼈가 부러진 상태를 말하며, 대부분의 골절은 낙상, 자동차 사고 등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발생하지만, 종양이...2025.01.15
-
중심정맥관 관리(C-line,Chemo port,히크만 카테터)2025.01.161. 중심정맥관 적응증 정맥내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항암제 주입, 고영양 수액제 주입, 잦은 채혈검사, 수혈, 말초혈관 사용이 어려운 환자의 치료, 백혈병이나 조혈모세포(골수)이식 환자의 조혈모세포 주입을 위한 정맥로 확보를 위해 사용한다. 2. 중심정맥관 위치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 경정맥(Jugular vein), 대퇴정맥(Femoral vein)을 통하여 삽입되면 끝은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e)이나 우심방(Rt. atrium) 및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e)에 위치한다. 3....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