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이상심리학 해리성정체장애 사례분석2025.05.061. 빌리 밀리건 빌리 밀리건은 1977년 오하이오 Columbus에서 3명의 여성에 대한 연쇄 납치와 강간으로 체포되었다가 다중인격장애(Multiple Personality Disorder-1994년 이후 로 해리성 정체장애DID라 바뀜.)라는 이유로 무죄가 되어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던 사람이다. 그는 미국 역사에서 다중인격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중요한 범죄에서 무죄로 판결된 첫 번째 사람이다. 빌리 밀리건은 어렸을 때의 상처로 인해 24개의 다중인격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2. 빌리의 성장배경 빌리에게는 각각 두 살 터울의 형...2025.05.06
-
이상심리학 신체형장애와 해리장애2025.05.061. 신체형 장애 신체형 장애는 심리적인 장애가 신체적인 형태를 취한 것으로 생리적인 기초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전환장애, 신체화 장애, 동통 장애, 신체기형 장애, 건강염려증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장애들은 불안이 기저에 깔린 핵심적인 요인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관찰 가능한 행동을 토대로 분류되고 있다. 2. 해리 장애 해리 장애는 의식, 기억, 정체감이 붕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리성 건망증, 해리성 둔주, 이인화 장애, 해리성 정체장애(다중인격장애)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장애들은 대부분 어린 시절...2025.05.06
-
영화 아이덴티티 간호과정 A+ (진단3, 계획7)2025.01.291. 해리성 정체성 장애 말콤 리버스의 정신의학적 진단은 '해리성 정체성 장애'이다. 말콤에게는 11개의 각기 구별되는 인격이 존재하고 있었고,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실제로 6명을 살해한 연쇄 살인마로 사형 위기에 처해 있었다. DSM-5에 따르면 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진단기준은 둘 또는 그 이상의 각기 구별되는 정체성의 붕괴, 일상적인 사건이나 개인 정보의 회상에 반복적 공백, 그리고 이로 인한 사회적/직업적 기능의 손상 등이다. 2. 말콤 리버스의 인격 구조 영화에서 말콤 리버스는 11개의 각기 다른 인격을 가지고 있었다. 모텔...2025.01.29
-
해리성 정체성 장애에 대한 이해와 간호2025.01.031. 해리성 정체성 장애 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한 사람이 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성격을 가지며 한 번에 한 성격이 그 사람의 행동을 지배하는 질환입니다. 이들 각각의 성격은 서로 모순되고 때에 따라서는 전혀 반대되는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기억상실, 이인증, 외부현실에 대한 감각손실 등이 나타나며, 지남력 장애, 혼동 및 방황 등이 동반되는 여러 형태의 기억장애가 특징적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주로 어린 시절 심각한 학대와 폭력을 겪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에게서 발생합니다. 1. 해리성 정체성 장애 해리성 정체성 ...2025.01.03
-
사이코 - 노먼 베이츠 역 심리분석2025.01.221. 영화 '싸이코'의 줄거리 영화 '싸이코'의 줄거리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인공 마리온이 고객의 돈을 횡령하고 도망가다가 베이츠 모텔에 숙박하게 되고, 그곳에서 노먼 베이츠에 의해 살해당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2. 해리 장애와 노먼 노먼 베이츠가 해리성 정체성장애를 앓고 있다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 사람 안에 서로 다른 정체성과 성격을 지닌 여러 인격이 존재하며, 상황에 따라 다른 인격이 의식으로 나타나는 것을 보여줍니다. 3. DSM-5 진단기준 해리장애, 해리성 정체성장애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DSM-5...2025.01.22
-
정신간호학 아이덴티티 간호과정2025.05.081. 해리성 장애 해리성 장애는 의식, 기억, 정체성 또는 환경의 지각에서 평소 통합된 기능이 단절되는 상태이다. 정신사회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가족역동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며, 건망증적 행동, 이인증, 외부 현실에 대한 감각 손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해리성 기억상실, 해리성 둔주, 해리성 정체감장애, 이인성 장애 등의 유형이 있으며, 간호중재로는 안전하고 무비판적 환경 제공, 기억력 회복 촉진, 약물치료, 예술치료 등이 있다. 2. 해리성 정체감 장애 해리성 정체감 장애는 한 사람이 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인격을 가지며 ...2025.05.08
-
정신간호학 23아이덴티티 간호과정2025.05.041.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대상자는 6년 전 버스 사고 이후 기억이 나지 않으며, 자신이 여러 개의 자아를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다. 플레처 박사 외에 다른 사람들은 대상자가 같은 사람이라고 말하지만, 대상자는 자신의 자아가 여러 개라고 생각하고 있다. 대상자는 어린 시절 어머니에게 지속적으로 학대를 당한 경험이 있으며, 목소리의 억양, 필기체, 행동 방식, 신체적 특성이 서로 다른 인격체의 모습을 보인다. 대상자는 해리성 정체감 장애로 인해 정신과 의사와 주기적인 면담을 받고 있다. 2. 해리장애 대상자는 해리성 정체감 장...2025.05.04
-
이중인격2025.01.151. 이중인격(프라이멀 피어) 윌리엄 딜의 1993년 미국 스릴러 소설 '프라이멀 피어'는 살인 혐의로 기소된 제단 소년 Aaron Stampler와 그를 변호하는 변호사 Martin Vail에 대한 이야기이다. 1996년 영화로 각색되었으며, 에드워드 노튼의 데뷔작으로 유명하다. 이 작품은 이중인격이라는 소재를 처음 본격적으로 다룬 스릴러로, 반전 영화 중에서도 손꼽히는 고전에 속한다. 2.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이중인격장애는 두 가지의 인격, 즉 원래의 1차적 인격과 병적인...2025.01.15
-
정신간호학 조별과제 영화치료(영화 속 의사소통 분석 보고서)2025.01.161. 해리성 정체감 장애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는 동일한 사람에게 두 개 이상의 정체성이 번갈아 나타나 지배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그 사람은 일상적인 사건이나 중요한 개인 정보를 기억할 수 없다. 해리 정체성 장애는 대체로 아동기에 극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에게 발생한다. 미국과, 캐나다, 유럽에서 이 장애가 있는 사람의 약 90%는 어린 시절에 심한 학대를 당했거나(육체적, 성적, 또는 감정적으로) 방치되었다. 해리성 정체감 장애 환자들이 가지는 다중 인격의 수는 평균 5...2025.01.16
-
정신간호학, 82년생 김지영, 비치료적 의사소통 분석을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재구성2025.01.021. 해리성 정체감 장애 해리성 정체감 장애는 한 사람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인격을 갖는 것을 말한다. 주로 아동기 외상과 연관되어 있으며, 여성에게 잘 발병한다. 증상으로는 다중 인격의 존재, 인격 간 변화, 기억 상실 등이 있다. 치료는 정신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한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에서는 주인공 김지영이 해리성 정체감 장애를 겪는 모습이 잘 표현되어 있다. 2. 비치료적 의사소통 분석과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재구성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분석하여 비치료적 의사소통 방식을 확인하고, 이를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으로 ...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