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변증진단학주제: 1.팔강변증, 2.장부변증, 3.기혈진액 변증2025.01.201. 팔강변증 팔강변증은 표리, 한열, 허실, 음양의 4가지 변증으로 구성된다. 표리변증은 표증과 리증, 반표반리증으로 나뉘며, 한열변증은 한증과 열증으로, 허실변증은 허증과 실증으로, 음양변증은 음증과 양증으로 구분된다. 이를 통해 질병의 발생 부위, 성질, 정기의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2. 장부변증 장부변증은 심, 폐, 비, 간, 신 등 각 장부의 병증을 구분하여 진단한다. 예를 들어 심병에는 심기허증, 심양허증, 심혈허증, 심음허증, 심화항성증 등이 있고, 폐병에는 폐기허증, 폐음허증, 풍한속폐증, 풍열범폐증, 조삽범폐...2025.01.20
-
부인 산난과 변증의 변증 치료법2025.11.141. 태아 안태와 고태의 원리 부인문에서 태아를 편안하게 하고 견고하게 하며 길러줌에 있어 유래되는 사기를 관찰하고 태아의 손상이 기에 있는지 혈에 있는지를 분별해야 한다. 태아와 모친이 병을 받는 순서를 파악하고 방제의 군신좌사를 의당함에 맞추어야 한다. 임신 첫 달은 형체가 시작하고 2달째는 기름이 엉기기 시작하며 3개월에 정과 혈이 변화하여 태아가 되고 남녀가 구분된다. 2. 입덧(오조)의 발생 원인과 치료 입덧은 상화가 정혈로 변화하여 태아가 될 때 자궁의 더러운 것이 화기로 상충하며 위를 공격해 음식 손상이 생긴다. 음식이...2025.11.14
-
명나라 왕기의 역병과 학질 치료 사례집2025.11.131. 역병(疫病)의 진단과 치료 역병은 양감(兩感)을 겸하여 내상이 중증이고 외감이 경증인 질환이다. 환자가 약관 시기에 성관계 후 오한, 자한, 발열,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일 때, 보중익기탕 투여 후 섬어와 소변 증가가 나타난다. 치료 원칙은 보법과 하강법을 결합하여 사용하며, 청서익기탕에서 창출, 택사, 오미자를 제거하고 생지황, 황금, 석고를 가미하여 10여첩 복용하면 효과적이다. 2. 학질(瘧疾)의 변증론치 학질은 오랜 피로로 비를 손상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부유맥이면서 힘이 없고 완맥을 보인다. 환자의 형색이 창백...2025.11.13
-
비만과 부종에 대한 고찰2025.05.141. 비만의 한의학적 개념 『黃帝內經』에서는 비만을 비(肥), 비반(肥胖), 비인(肥人), 육인(肉人), 비귀인(肥貴人)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내경은 비만의 병인을 최초로 기재한 의서이며, '肥實人, 膏粱之疾也'라고 하여 비만과 음식섭취의 관계에 대해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유전적인 경우, 과식하거나, 기름지고 단 음식을 많이 먹는 것, 오래 누웠거나 오래 앉아 있고 노동을 적게하는 것, 외감습사 또는 내상칠정으로 인한 기체(氣滯), 담탁(痰濁), 수습(水濕), 어혈(瘀血)을 병인으로 제시하였다. 2. 비만과 부종의 관계 현재까...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