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24개
-
뇌의 주요 기능과 질환 - 기억과 왜곡을 중심으로2025.01.021. 기억 기억은 뇌의 해마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장기기억, 단기기억, 작업기억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기억은 부호화, 경화, 재생 및 인출 과정을 거쳐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하면 기억 관련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2. 기억 왜곡 기억 왜곡은 기억 형성 및 저장 과정이 아닌 재생 및 인출 과정에서 발생한다. 불안정한 상태의 신경세포에 새로운 정보가 심어지면서 기존 기억이 변형되는 재통합 과정이 기억 왜곡의 원인이 된다. 3. 기억 관련 질환 치매, 우울증, PTSD 등 다양한 기억 관련 질환이 존재한다. 치매의 ...2025.01.02
-
기억의 과정2025.01.021. 부호화와 인출 성공적인 기억을 위해서는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정보를 의미있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리수준이론에 따르면 의미적 처리가 비의미적 처리보다 더 우수한 기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정교화를 통해 목표 정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결고리를 만들면 기억에 도움이 된다. 부호화 특수성 원리에 따르면 인출 단계에서 인출 단서와 맥락이 중요하다. 기억술 등의 방법을 통해 정보를 기존 지식과 연결하고 조직화하면 기억을 증진시킬 수 있다. 2. 망각과 기억의 왜곡 망각의 이론으로는 쇠잔, 간섭, 인출실패 등이 있다. 기억상실증은...2025.01.02
-
정신병리-기억의 장애2025.11.151. 기억의 정의 및 유형 기억은 외부자극을 정보화시켜 등록, 저장, 파기하고 필요할 때 회상하여 인출하는 기능이다. 기간에 따라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으로 구분되며, 부호화 방식에 따라 시각적 부호화와 의미적 부호화로 나뉜다. 자서전적 기억은 자신과 관련된 사건에 대한 기억이며, 섬광기억은 특별한 형태의 자서전적 기억이다.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으로 분류되며, 외현기억(선언기억)은 해마가 담당하고 암묵기억(절차기억)은 변연계, 편도체, 소뇌가 담당한다. 2. 기억항진 기억항진은 병적으로 상세히 기억하는 현상으로, 조증, 편집증...2025.11.15
-
인지심리학 오기억에 관하여 A+리포트2025.01.171. 오기억의 특징과 원인 기억은 '구성적이며 재구성적 과정'이기 때문에 경험한 사실에 대한 기억도 부정확할 수 있다. Gerrie, Garry와 Loftus는 오기억이 인지적 요인, 사회적 요인, 그리고 이 두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기억은 주로 사후 정보나 오정보에 의해 발생하며, Fuzzy Trace Theory(FTT)에서는 verbatim과 gist 추적의 상호작용으로 오기억이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2. 오기억 연구 사례 DRM 패러다임, 어린 시절 오기억 연구, 디즈니랜드 광고를 통한 벅스 ...2025.01.17
-
엘리자베스 로프터스의 가짜 기억 실험2025.11.151. 가짜 기억 이식 실험 엘리자베스 로프터스는 기억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혁신적인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교통 신호등 색상, 수염 유무 등에 대한 암시적 질문을 통해 피실험자들이 실제와 다른 기억을 형성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신호등이 빨간색이었음에도 노란색이라고 기억하게 하고, 복면을 한 남자를 수염이 있다고 기억하게 한 결과는 기억이 얼마나 쉽게 왜곡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2. 기억의 본질과 신뢰성 플라톤은 기억이 완벽하게 보존되는 절대적 형태라고 믿었고, 프로이트는 꿈과 현실이 뒤섞인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로프터...2025.11.15
-
목격자 기억의 특징 및 증언의 정확성 문제에 대해 논하시오2025.01.131. 목격자 기억의 특징 기억은 단순히 인출하는 것이 아니라 재조직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목격자의 증언도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않는다. 기억의 재응고화, 자기 참조 효과, 지목 후 피드백 효과, 출처 기억상실, 오정보 효과 등 다양한 기억 왜곡 현상으로 인해 목격자 증언의 정확성이 낮다. 2. 목격자 증언의 정확성 문제 목격자 증언은 오정보 효과, 출처 기억상실, 상상력 효과 등으로 인해 정확성이 낮다. 그러나 암시적 면담 방지, 용의자 배열 개선, 목격자 증언의 한계에 대한 교육 등의 조치를 통해 목격자 증언의 정확성을 높일 수 ...2025.01.13
-
[인지심리학] 목격자의 증언에만 근거하여 기소된 사람을 여러분이 변호한다고 가정할 경우, 배심원들에게 목격자 증언의 취약성을 설명하시오.2025.01.231. 목격자 증언의 실효성 목격자 증언은 사건의 진위를 밝히기 위한 중요한 단서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물적 증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목격자의 진술은 범행 당시의 상황을 설명하고, 피고인의 범행 가담 여부를 판단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목격자 증언이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증언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목격자 증언의 취약성 목격자 증언의 가장 큰 취약성 중 하나는 인간의 기억이 쉽게 왜곡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억은 개인의 경험과 주관적인 해석이 개입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목격자가 사...2025.01.23
-
케네스 루오프 논문 비평: 한국 박물관의 역사 서술 방식2025.11.111. 역사의 해석과 박물관의 역할 E.H. 카의 이론에 따르면 역사는 과거 사건의 단순 기록이 아니라 역사가의 선택과 해석의 결과이다. 박물관도 마찬가지로 전시 주제 선택, 공간 배치, 분위기 설정 등 모든 과정에 기획자의 주관이 반영된다. 따라서 특정 사회가 자주 만드는 박물관의 유형은 그 사회의 역사 기억과 가치관을 충실히 반영하며, 박물관은 단순한 과거 물건의 나열이 아니라 기획자의 가치관을 표현하는 장소이다. 2. 한국인의 역사 기억의 특징 한국 박물관에 나타나는 역사 기억은 두 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째, 타자에 의한 희생...2025.11.11
-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재연 화면의 장단점2025.01.261.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광고는 소비자와 기업 간의 소통을 매개하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정보 전달, 설득, 기억 및 연상, 사회적 상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 전달 기능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설득 기능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한다. 또한 기억 및 연상 기능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며, 사회적 상징 기능으로 소비자의 정체성 표현을 돕는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통해 광고는 단순한 판매 도구가 아닌, 소비자와의 관계 형성과 브랜드 가치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재연 화면의 긍정적인...2025.01.26
-
역사 창작물의 역사 왜곡의 경계 (미디어 콘텐츠)2025.05.111. 역사 창작물과 역사 왜곡 문제 역사 창작물은 역사의 반영 정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즉 시대적 배경, 실존 인물/단체, 실제 사건 등의 반영 여부가 기준이 된다. 시대적 배경만을 차용한 창작물은 대다수가 역사 왜곡 문제의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시대적 맥락을 벗어난 설정들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된다. 실존 인물/단체 또는 실제 사건까지 반영한 창작물, 즉 팩션 창작물은 역사 왜곡 논란의 중심에 있다. 실존 인물의 지나친 희화화나 역사적 사실의 왜곡이 문제가 된다. 2. 창작자와 수용자의 자세 수용자는 역사 왜곡의 경계가 절...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