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입춤의 정의와 다양한 입춤을 대상으로 비교분석2025.01.101. 입춤의 정의 입춤은 다른 말로는 즉흥무, 수건춤, 굿거리춤 등이라고 부른다. 즉흥무나 허튼춤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입춤의 춤사위가 순서가 특별히 정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감정을 표출하는 미적 의식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굿거리춤이나 수건춤과 같은 이름으로 불리는 이유는 굿거리 장단에 맞춰서 춤을 추거나 수건을 사용해서 춤을 추기 때문에 붙었다. 2. 서울·경기 지역의 입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입춤은 한성준류의 강선영 입춤, 김덕순 계열의 김숙자 입춤, 김인호 계열의 이동안 수건춤이 있다. 한성준류의 강선영 입춤은 굿거리...2025.01.10
-
유아국악교육 활동계획안_'유치원에서' 활동계획안2025.01.221. 유아국악교육 활동계획안 이 활동계획안은 유아들이 유치원(어린이집)에서 하는 다양한 놀이 활동을 노래로 표현하고, 굿거리장단을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유아들은 자유놀이 영역에서 좋아하는 놀이를 이야기하고, 노래를 듣고 부르면서 장단을 치는 활동을 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유치원(어린이집)에서의 경험을 노래로 표현하는 즐거움을 갖게 되고, 굿거리장단을 익히게 됩니다. 1. 유아국악교육 활동계획안 유아국악교육 활동계획안은 유아들에게 우리나라의 전통음악과 문화를 소개하고 이해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2025.01.22
-
민속무용 ) 민속무용에 관련된 공연(현장공연)을 보고 감상문 제출2025.05.161. 민속무용 민속무용은 민중의 풍속과 관련하여 만들어진 춤으로, 왕족이나 귀족이 즐겼던 궁중무용과는 달리 피지배계층이 주체가 되어 추고 감상하는 무용이다. 각 나라나 지역에 따라 독특한 개성을 표출하며, 지역의 날씨, 지형, 문화 등의 차이가 반영된다. 민간사회를 통해 전승되어 오며, 일상의 소소한 재미나 희노애락의 정서, 종교의식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또한 지배 계층과 왕권에 대한 저항 의식을 바탕으로 비판과 해학의 정서가 느껴지기도 한다. 2. 진도북춤 진도북춤은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전해지는 민속무용으로, 양손에 채를 쥐...2025.05.16
-
사물놀이 앉은반 영남농악과 진주삼천포농악의 비교2025.04.261. 진주 삼천포 농악의 유래와 전승 진주 삼천포 농악은 12차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레굿과 걸립굿 등의 가락을 재구성 및 정립한 것이다. 현재 연행되는 12차 굿은 진주의 농악 황일백과 삼천포농악의 문백윤 두 사람이 지역의 전통을 하나의 문화재로 통합해서 농악12차 단일 연행물로 재구성한 것이다. 진주 삼천포 농악의 전승은 진주와 삼천포 지역 각각 다른 농악이 전승되다가 이패라는 유랑에인집단이 활동하면서 진주지역에 민속놀이가 새로운 양식으로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2. 앉은반 영남농악 경상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농악을 통틀어서 영남농...2025.04.26
-
전래동화 뮤지컬 '금도끼 은도끼' 공연 후원 제안서2025.04.251. 전래동화 뮤지컬 '금도끼 은도끼' 전래동화 <금도끼 은도끼>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뮤지컬로 제작하였습니다. 이 공연은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로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없게 된 많은 이들에게 깊이 있는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출연진, 협찬사, 봉사자 모두 재능 기부와 현물 기부의 형태로 참여하였으며, 수익금 일부는 초록우산 어린이 재단, 유니세프 등에 전달될 예정입니다. 2. PMC 프로덕션 1992년 전문기획극단 '환 퍼포먼스'로 출범한 PMC 프로덕션은 논버벌 뮤지컬 난타, 대장금 등을 제작했...2025.04.25
-
시나위에 관한 음악교육2025.05.121. 시나위의 정의 시나위는 남도 지역의 민속 기악 합주라고 한다. 심방곡이라고도 불리며, 남도 지역의 무속 음악에 유래한 민속 기악 합주곡이다. '심방곡(心方曲)'이란 뜻은 무가의 뜻을 담고 있는 노랫말을 말한다. 무속 음악에 영혼을 달래기 위하여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특히 기악 독주의 형식으로 연주 한 산조를 여러 악기와 더불어 연주하는 것인데 살풀이의 춤 반주에도 사용된다. 2. 시나위의 유래 시나위는 한강 이남과 태백산맥 서쪽 지방의 무속음악에서 유래하였다. 민속 기악 합주곡은 육자배기 토리를 바탕으로 하고 각종 악기가...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