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3개
-
[무역관련지표] 교역조건(순교역조건, 총교역조건, 소득교역조건)2025.01.281. 교역조건 교역조건(terms of trade)이란 한 국가의 수입상품에 대한 수출상품의 교환비율로서, 한 국가의 수출상품 한 단위가 외국의 수입상품 몇 단위와 교환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교환비율을 의미한다. 교역조건은 무역대상의 상대가격으로서, 무역이익의 지표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무역이익이 교역당사국에 어떻게 배분되는가를 나타낸다. 2. 순교역조건 순교역조건은 수출입가격변화율을 통해 무역이익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품교역조건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순교역조건은 수입상품가격에 대한 수출상품가격의 비율, 즉 수입상품의 가격지수에...2025.01.28
-
교역조건의 종류(유형)2025.04.281. 상품교역조건 상품교역조건은 수출상품가격과 수입상품가격과의 비율로서 기준년도와 비교해서 일정량의 수출에 의하여 얻어지는 수입량의 변동을 순전히 가격면에서 파악한 것이다. 상품교역조건의 개선은 수입가격에 비해 수출가격의 상승률이 더 크기 때문에 일정량의 수출로써 전보다 더 많은 양의 수입이 가능하게 되어 무역이익이 증대되었음을 의미하며, 교역조건의 악화는 반대의 경우로 무역이익의 감소를 뜻한다. 2. 총교역조건 총교역조건은 한 나라의 수입수량과 수출수량과의 교환비율, 즉 기준년도에 대한 비교년도의 수출입량을 서로 비교하는 것으로서...2025.04.28
-
교역조건2025.04.281. 교역조건의 개념 교역조건은 수출상품의 종합적인 물가지수를 수입상품의 종합적인 물가지수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교역조건은 수출상품 1단위와 교환할 수 있는 수입상품의 수량, 즉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교환비율을 나타낸다. 교역조건이 개선되면 수출상품 1단위와 교환될 수 있는 수입품의 양이 증가하고, 교역조건이 악화되면 수입품의 양이 감소한다. 2. 교역조건의 경제적 의미 교역조건은 수출과 수입의 수량적 변화비율 또는 가격 변화비율을 통해 국가의 실질소득 변화를 나타내므로, 국민경제 향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된다. 교...2025.04.28
-
교역조건의 개념 및 측정지표2025.01.231. 교역조건의 개념 교역조건(terms of trade)이란 국가 간에 상품이 어떤 교환비율로 교역되고 있는가를 말하는 것으로서 재화와 재화간의 국제교환비율을 의미하며 교환되는 두 상품의 국제가격비율로 표시된다. 실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교역재화는 종류가 다양하며 이들의 가격차이도 크기 때문에 한 나라의 교역조건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2. 순상품교역조건 순상품교역조건(NBTT: net barter terms of trade)은 수출상품가격과 수입상품가격과의 비율로 측정된다. 순상품교역조건이 개선되면 수출가격이 수입가격에 비해 ...2025.01.23
-
무역관련 통계지표(무역의존도, 1인당 무역액, 무역결합도, 특화계수, 교역조건지수, 수입자유화율, 외화가득률)2025.01.181. 무역의존도 무역의존도는 한 나라의 국민경제가 무역에 어느 정도 의존하고 있는가를 보여 준다. 이는 국민총생산 또는 국민소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무역의존도가 높을수록 일국의 경제가 무역에 많이 의존하고 있으므로, 무역은 국민경제발전에 공헌도를 명확히 하고 있다. 한편 그 나라 경제가 외국의 경제상황에 쉽게 영향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다. 2. 1인당 무역액 1인당 무역액은 국민총생산이나 국민소득에 대한 무역의존도에 인구가 고려되지 않았는데, 인구를 고려하여 산출하는 지표이다. 1인당 무역액이 타국과 비교하여 상대...2025.01.18
-
Marshall의 오퍼곡선2025.01.181. 상호수요설 J. S Mill의 상호수요설에 의하면 상대국의 상품에 대한 수요의 강도를 자국이 공급하려는 상품의 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국제교환에 있어서 상대국 상품에 대한 수요가 강하면 많은 양의 자국 상품을 제공하려 할 것이며, 반대로 수요가 약하면 적은 양의 자국 상품을 제공하려 할 것이다. 2. 오퍼곡선 A. Marshall은 J. S Mill의 상호수요설의 배후에 있는 이러한 관계 - 즉 교역조건이 변동할 때 각국은 얼마만큼의 수출과 수입을 하려고 하는가? - 를 곡선으로 도식화하였으며 이를 "오퍼곡선"(offer...2025.01.18
-
Mill의 상호수요설(상호수요이론)2025.01.181. Mill의 상호수요설(상호수요이론) David Ricardo의 이론은 양국이 무역을 행함으로써 얻게 되는 무역이익의 총량이 얼마인가를 밝혔으나 이 무역이익이 양국 간에 어떻게 배분되는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무역이익의 배분을 밝히기 위해서는 무역에 의해 두 상품의 국제교환비율(교역조건)이 어떻게 결정되는가를 알아야 한다. J. S Mill은 수요조건을 처음으로 무역이론에 도입하여 국제교환비율이 어떻게 결정되며 이에 따라 무역이익이 무역당사국에 어떻게 배분되는가를 밝힘으로써 David Ricardo이론의 결함을 보완하였다...2025.01.18
-
[고전무역이론] 상호수요이론2025.04.281. 상호수요의 개념과 교역조건 존 스튜어트 밀은 일국이 자국의 수출상품을 제공하려는 의도는 그와 교환으로 얻을 수 있는 수입상품의 양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즉, 일국이 수출하고자 하는 수출상품과 교환하고자 하는 수입상품과의 교환비울에 따라 변한다고 보았다. 밀에 의하면 양국 간에 실제로 교환되는 두 상품의 비율은 양국이 갖는 상대국 상품에 대한 각각의 수요가 정확하게 일치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고 하였다. 이것이 소위 밀의 상호수요균등의 이론이다. 2. 교역조건의 결정 밀은 상호수요의 개념과 균형교역조건의 결정과정을 설명하였다. ...2025.04.28
-
밀의 상호수요설(상호수요이론)2025.01.271. 상호수요설 밀의 상호수요설(상호수요이론)은 리카도의 비교우위이론을 보완하여 무역이익의 배분비율을 규명하였다. 밀은 무역상품의 교환비율(교역조건)이 자국 상품에 대한 외국의 수요와 외국상품에 대한 자국의 수요가 상호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고 보았다. 수요의 크기와 탄력성에 따라 교역조건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무역이익의 배분비율이 결정된다. 2. 교환비율의 중요성 밀은 무역상품의 교환비율(교역조건)이 생산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수요의 탄력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는 국내교환비율과 국제교환비율을 구분하여,...2025.01.27
-
[무역이론] 상호수요설2025.01.221. 상호수요설 밀(J. S. Mill)은 리카르도가 규명하지 못한 교역상품의 국제교환비율(교역조건)과 교역당사국에 대한 무역이익의 배분비율을 밝혔다. 그는 두 교역상품의 국제교환비율은 비교생산비의 상한가 하한, 즉 두 교역당사국의 국내교환비율 사이에서 교역상품에 대한 양국의 수요가 일치하는 점에서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상호수요에 의해 결정된 교역조건에 의해 교역당사국의 이득배분이 이루어진다고 밝혔다. 상대국 상품에 대한 자국의 수요의 탄력성이 크면 자국의 교역조건이 불리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서는 교역조건이 자국에 유리하...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