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무역이론] 상호수요이론
본 내용은
"
[고전무역이론] 상호수요이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8
문서 내 토픽
  • 1. 상호수요의 개념과 교역조건
    존 스튜어트 밀은 일국이 자국의 수출상품을 제공하려는 의도는 그와 교환으로 얻을 수 있는 수입상품의 양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즉, 일국이 수출하고자 하는 수출상품과 교환하고자 하는 수입상품과의 교환비울에 따라 변한다고 보았다. 밀에 의하면 양국 간에 실제로 교환되는 두 상품의 비율은 양국이 갖는 상대국 상품에 대한 각각의 수요가 정확하게 일치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고 하였다. 이것이 소위 밀의 상호수요균등의 이론이다.
  • 2. 교역조건의 결정
    밀은 상호수요의 개념과 균형교역조건의 결정과정을 설명하였다. 양국이 동일한 노동을 투입하여 포르투갈에서는 포도주 10단위와 옷감 15단위를 생산할 수 있고, 영국에서는 포도주 10단위와 옷감 20단위를 생산할 수 있다고 가정했을 때, 두 재화가 실제로 양국 간에 교환되는 비율, 즉 교역조건(terms of trade)은 포도주 10단위 : 옷감 15단위와 포도주 10단위 : 옷감 20단위의 사이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3. 상호수요이론의 공헌과 비판
    밀의 상호수요이론이 갖는 중요한 의미는 국제무역에 있어서 균형교역조건, 즉 두 상품 간의 교환비율이 실제로 어떻게 결정되는가를 설명해 주고 그에 따라 각국에 귀속되는 무역이익이 얼마인가를 보여주는 데 있다. 이로써 리카도의 무역 이론이 갖는 미흡한 점이 보완된 것이다. 그러나 고전무역이론은 가치의 이원화라는 문제를 내 포함은 물론 노동가치설의 유용성에도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교역조건의 결정
    교역조건은 국가 간 상호수요와 공급 관계에 의해 결정됩니다. 각국의 상품에 대한 수요와 공급 탄력성, 그리고 교역 상대국의 상품에 대한 수요와 공급 탄력성이 교역조건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어느 국가의 수출품에 대한 수요가 비탄력적이고 수입품에 대한 수요가 탄력적이라면, 그 국가의 교역조건은 악화될 것입니다. 반대로 수출품에 대한 수요가 탄력적이고 수입품에 대한 수요가 비탄력적이라면 교역조건은 개선될 것입니다. 따라서 교역조건 결정에는 각국의 상품 수요와 공급 특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