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위궤양 치료를 위한 항궤양제 약물 정리2025.01.031. 위궤양 정의 및 원인 위궤양은 위장 또는 십이지장의 점막의 부분적인 짓무름으로, 궤양과 관련된 통증은 위산에 노출된 표면의 자극 때문에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와 Helicobacter pylori 균이 있습니다. 2. 항궤양제 약물 종류 및 작용기전 현재 사용 중인 항궤양제 약물로는 H2 히스타민 길항제와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s)가 있습니다. H2 길항제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고, PPIs는 양성자 펌프를 억제하여 위산 분비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합니다. 또한 PPIs는 NSAID로...2025.01.03
-
2022 약리 총정리 REPORT2025.04.301. 부교감신경 작용제 부교감신경 작용제인 bethanechol(Urecholine)과 마이토닌정은 소변 정체(방광을 완전히 비우지 못함)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들은 콜린 수용체를 직접 자극하여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킵니다. 하지만 부교감신경 작용으로 인해 타액 분비 증가, 발한, 복부 경련, 저혈압 등의 유해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로 또는 장 폐색이 의심되는 환자나 천식 환자에게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2. 항콜린성 약물 항콜린성 약물인 atropine(Atro-pen, Atropain, Atropisol)은 항콜린에스테라아...2025.04.30
-
약리학 약물정리2025.05.111. 통증 메커니즘 통증은 외부의 자극에 의해 감각신경의 말단에서 척수를 통해 중추신경계로 전도된다. 감각신경의 말단은 열, 물리적 및 화학적 자극에 의해 Na+ 및 Ca²+등이 세포 내로 유입되면, 탈분극 되어 활동전위가 발생되어 통증을 대뇌피질에 전달함으로써 통증을 느끼게 한다. 피부의 통증은 기계적 자극으로 일어나나, 근육이나 내장기관은 지각 신경이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자극에는 무감각하다. 2. 진통약 분류 진통약은 마약성과 비마약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마약성 진통약이란 모든 통증을 완화 또는 소실시키는 약물로...2025.05.11
-
항고혈압, 심부전 약물정리2025.01.051. 항고혈압제 고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을 때에는 약을 늘리는 것 보다 다른 종류의 추가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중추성 알파 작동제, 알파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 등이 있으며 각각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이 설명되어 있다. 2. 심부전 약물 심부전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는 심근수축약물,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베타차단제, 알도스테론 저해제, 이뇨제 등이 있다. 각 약물의 작용 기전과 사용법, 부작용 등이 설명되어 있다. 1. 항고혈압제 항고혈압제는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심혈관 질환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2025.01.05
-
약물 작용기전2025.05.151. 항생제 약물 작용기전 항생제 약물의 작용기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는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베타락타마제에 대응하는 항생제와 광범위 항생제가 개발되었습니다.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는 페니실린보다 베타락타마제에 더 안정적이며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에 효과적입니다. 카바페넴계 항생제는 다른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세균을 치료할 수 있는 광범위 항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글리코펩타이드계 항생제는 세균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작용하며, 반코마이신과 테코플라닌이 대표적입니다. 퀴놀론계 항...2025.05.15
-
PPI 제제 간호2025.01.221. PPI 작용 기전 PPI는 프로톤 펌프의 작용을 억제하는 효소인 H+/K+-ATPase를 선택적으로 억제합니다. PPI는 H+/K+-ATPase에 결합하여 효소의 활성화를 방해하고, 이로 인해 위산 분비가 저하됩니다. 프로톤 펌프의 억제로 인해 수소 이온(H+)의 분비가 감소하면서, 위산의 생성이 저하되고 위산의 산도가 낮아집니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역류성 식도염과 같은 위산 관련 질환의 증상이 완화되며, 식도의 염증이 감소합니다. 2. PPI 제제의 작용 PPI 제제는 위산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위벽에 있는 세포에...2025.01.22
-
항암제, 화학요법, 세포주기, 알킬화제, 항대사물질(대사길항제)2025.05.021. 약물의 정의 약은 각종 질환으로 인해 느끼는 통증을 줄여주기 위해 치료를 목적으로 투여되는 물질로, 잘못 사용하게 되면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2. 항암제 항암제는 종양 성장 또는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약물로,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구분하지 않는다. 암의 치료 방법에는 수술, 방사성 요법, 화학요법이 있다. 3. 화학요법 화학요법은 정상세포보다 많은 암세포를 죽이고 궁극적으로 모든 암세포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확산 종양에서 1차 치료로 사용되며, 수술 및 방사선 조사 후에 잔류하는 전이된 암세포를 제거하기 위...2025.05.02
-
[약리학] 약리학 총론 정리 [핵심 약리학, 은학사, 교과서 정리, 핵심정리, 요약]2025.05.101. 제제명 제제명은 일반명이라고도 하며, 각국의 권위 있는 공정서에 수록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을 말한다. 2. 임신범주 임신 중 약물 사용에 대한 5가지 범주로 구분되며, A, B, C, D, X 범주로 나뉜다. 태아에 대한 위험성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3. 약리작용의 종류 약리작용은 흥분작용과 억제작용, 직접작용과 간접작용, 전신작용과 국소작용, 일반작용과 선택작용, 주작용과 부작용 등으로 구분된다. 4. 약리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약물의 용량, 연령, 성별, 종족, 체질, 질병, 약물의 연용효과, 약물의 병용효과, 위...2025.05.10
-
인체 계통별 약물군의 약물의 작용기전, 종류와 작용(효능), 부작용투여 시 주의사항(A+ 보장)2025.01.101. 자율신경계 약물 자율신경계 약물에는 아드레날린 작용제가 있습니다. 아드레날린 작용제는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투쟁 또는 도피 반응의 증상들을 유도하며, 저혈압과 쇼크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작용기전에 따라 직접, 간접, 혼합 작용제로 구분됩니다. 직접 작용제는 α, β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교감신경 흥분과 부신수질 호르몬 분비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며, 간접 작용제는 신경의 소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방출을 증가시키거나 연접공간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차단하여 효과를 나타냅니다. 혼합 작용제는 α, β 수용체의 직접 흥분과 신경...2025.01.10
-
뇌전증 치료제와 아편유사 및 비아편유사 진통제2025.01.061. 뇌전증 치료제 뇌전증 치료에는 전통적 뇌전증약과 새로운 뇌전증약이 사용됩니다. 전통적 뇌전증약에는 phenytoin, valproic acid, phenobarbital 등이 있으며, 이들은 나트륨 통로 차단, GABA 수용체 작용 등의 기전으로 발작을 억제합니다. 새로운 뇌전증약에는 oxcarbazepine, levetiracetam, topiramate 등이 있으며, 이들은 유사한 기전과 더불어 AMPA 수용체 길항, 칼륨 통로 작용 등의 다양한 기전으로 작용합니다. 뇌전증 환자는 발작 유형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여 ...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