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아동의 우울증 문제2025.04.271. 아동 우울증 오늘날 아동의 우울증은 흔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울증이 없는 것은 아니다. 최근 아동들은 과거와 달리 수많은 스트레스 속에서 성장하고 있으며, 우울증을 앓는 아이도 나타나고 있다. 우울장애가 있는 아동은 우울하더라도 스스로 힘든 부분을 이야기하기 어려워하기 때문에 이 우울감이 신체적 증상, 비행, 공격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부모가 진단한 아동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0.86%였지만, 아동청소년이 스스로 보고한 우울증은 7.37%로 10배 차이가 났다. 이는 우리나라 부모들이 아동...2025.04.27
-
치료놀이의 4가지활동영역(구조화,간섭,도전,양육)을 각 10가지 이상씩 알아보기2025.01.151. 치료놀이의 발달 치료놀이(Theraplay)는 1967년 미국 시카고의 임상심리학자인 전버그(Jernberg)박사에 의해 창안되었으며 성인이 주도권을 가지면서 긍정적인 신체접촉을 통해 아동에게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치료 및 교육 방법이다. 전버그 모델의 많은 부분은 데스 로리어스(Des Lauriers, 1962)와 발달놀이치료의 창안자인 브로디(Brody, 1963)의 이론에서 적용된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으나 양육(nurture)에 강조를 둔다는 점에서 다르다. 주로 자폐아동 및 정신분열증 아동과 작업을 했던 데스 로리어...2025.01.15
-
아동의 놀이 활동 중 치료 놀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영역별 활동과 활용방법2025.01.191. 구조화 활동 구조화 활동은 명확한 규칙과 절차를 따르는 활동으로, 아동에게 예측 가능성과 안정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활동은 아동의 인지적 능력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구조화 활동에는 퍼즐 맞추기, 블록 쌓기, 보드게임, 색칠하기 책, 종이접기, 카드 게임, 레고 만들기, 요리 활동, 시간 맞추기 활동, 문제 해결 과제 등이 포함된다. 2. 도전 활동 도전 활동은 아동이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을 기르는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은 아동의 자존감을 높이고, 새로운 기술을 학습하는...2025.01.19
-
ADHD 아동의 치료 방법2025.05.101. ADHD 아동의 효과적 치료방향 ADHD 아동의 효과적인 치료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한 개입이며, 이를 위해 부모 양육 태도 개선, 사회성 기술 훈련, 자기지시적 훈련, 약물 개입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운동, 아동의 강점 및 흥미 발견 등의 추가적인 개입 방법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1. ADHD 아동의 효과적 치료방향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효과적 치료를 위해서는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첫째, 약물 치료와 더불어 행동 치료, 인지 치료 등 다양한 비약...2025.05.10
-
개별 아동복지실천과 집단 아동복지실천에 대한 비교2025.04.251. 개별 아동복지실천 개별 아동복지실천은 사회복지사가 아동의 문제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여 보다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개별화, 의도적 감정 표현, 통제된 정서적 관여, 수용, 비심판적 태도, 자기결정, 비밀보장 등이 개별 아동복지실천의 기본원칙이다. 2. 집단 아동복지실천 집단 아동복지 실천은 저하된 사회적 기능을 회복할 필요를 지닌 아동이나 현재의 사회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강화하고자 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Konopka의 집단지도실천 기본원칙에 따르면 각 아동의 개별화, 집단 특성 인식,...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