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개념과 특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2025.01.161.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흔치 않은 스트레스 사건을 압도적이라고 받아들이는 경우, 높은 각성과 불안, 우울을 생존반응(외상반응)으로 경험하게 된다. 대부분은 외상사건이 소거됨과 동시에 자연치유되고 회복되지만, 외상반응이 지속되는 경우에 이를 급성 스트레스장애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로 진단할 수 있다. 2. PTSD의 원인 PTSD의 원인으로는 1) 외상사건, 2) 신경생리학적 생존반응, 3) 기타 요인 등이 있다. 외상사건은 전쟁, 가정/사회의 폭력, 강간, 재난, 각종 사고 등의 Big T 외상과 대인관계 관련 Sma...2025.01.16
-
뇌 구조와 기능2025.05.051. 대뇌(cerebrum) 대뇌는 뇌의 가장 큰 부분으로,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와 합리적인 의사결정, 고차원 인지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대뇌피질은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등 4개의 주요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다양한 기능을 담당한다. 2. 간뇌(diencephalon) 간뇌는 시상, 시상하부, 송과체로 구성되어 있다. 시상은 감각 정보가 통과하는 길목이자 대뇌피질로 가는 모든 감각을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시상하부는 수면, 갈증, 식욕, 체온 조절 등 항상성 유지와 내분비/자율신경계 중추 역할을 한다....2025.05.05
-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연구 결과2025.01.041. 고전적 조건형성 고전적 조건형성은 동물이나 인간이 무조건적 자극과 조건적 자극 간의 연관성을 학습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신경생리학적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과정이 뇌 내의 생리적 변화와 관련이 있는지를 탐구하였습니다. 주요 발견으로는 해마와 같은 뇌 영역의 중요성,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역할, 그리고 학습 과정에서 신경회로망의 변화 등이 있습니다. 1. 고전적 조건형성 고전적 조건형성은 행동주의 심리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자극과 반응 사이의 연결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2025.01.04
-
학습심리학_고전적 조건 형성에 대한 신경 생리학적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발견들2025.01.151.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파블로프(Pavlov)가 동물을 대상으로 소개한 고전적 조건화 이론에 따르면, 일정한 조건자극이 형성되면 일정한 조건반응을 하는 것이 학습이다. 무조건 자극, 무조건 반응, 조건 자극, 조건반응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이 반복적으로 제시되면 조건반응이 형성된다. 하지만 무조건 자극 없이 조건 자극만 제시되면 조건반응이 사라지는 소거 현상이 나타난다. 2. 신경 생리학적 연구와 고전적 조건형성 신경과학 연구에 따르면, 무조건 반응과 조건반응을 일으키는 신경회로가 다르며, 간접 경로...2025.01.15
-
신경전달물질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2025.04.261.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 아세틸콜린은 근육 활동, 학습, 기억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근육 수축 명령을 전달하고, 알츠하이머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아세틸콜린이 분비되면 혈압 저하, 심장박동 억제, 골격근 수축 등의 생리작용이 나타납니다. 2. 도파민(Dopamine) 도파민은 운동, 학습, 주의, 정서 기능을 담당하며, 성욕과 식욕, 의욕, 성취감 등에 관여합니다. 도파민이 과다 분비되면 정신분열증이 생길 수 있고, 부족하면 파킨슨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2025.04.26
-
신경전달물질을 소개하고 이를 설명하시오2025.01.211. 뉴런의 구조와 기능 뉴런은 세포체로 둘러싸인 핵과 가장자리의 수상돌기 외부의 수초와 내부의 축색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경전달물질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몸의 기관이다. 세포체는 수상돌기와 축색 등과 같이 뉴런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부위이며, 수상돌기는 외부뉴런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고, 축색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도체의 역할을 담당한다. 종말단추는 합성되어진 신경전달물질을 소낭에 담아서 저장하며 활동전위의 도움을 얻어서 외부로 이를 방출하는 장소이다. 2. 시냅스의 구조와 기능 시냅스는 체내에서 신호를 보내는...2025.01.21
-
작업치료 뇌신경2025.05.011. 후각신경 후각신경(Olfactory nerve)은 감각신경으로 기능은 후각이며, 후각기능검사를 통해 양쪽 콧구멍으로 각각 냄새를 맡을 수 있는지 검사할 수 있다. 2. 시신경 시신경(Optic nerve)은 감각신경으로 기능은 시각이며, 시력검사, 시야검사, 안저검사 등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3. 눈돌림신경 눈돌림신경(Oculomotor nerve)은 운동신경으로 기능은 안구운동, 위눈꺼풀 올림, 동공수축, 고유감각이며, 대광반사와 외안근운동 검사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4. 도르래신경 도르래신경(Trochlear ner...2025.05.01
-
중추신경계통과 말초신경계통, 혈액과 면역생리, 심장혈관생리의 구조 및 기능 정리보고서2025.05.161. 중추신경계통의 발생 중추신경계통의 발생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배아 발생 초기에 외배엽과 신경판에 세포들이 위치하고, 이후 신경관이 형성되며, 전뇌, 중간뇌, 후뇌로 분리되고 최종적으로 대뇌, 사이뇌, 중간뇌, 소뇌, 다리뇌, 숨뇌, 척수 등 7개의 주된 부분이 형성됩니다. 대뇌는 다른 부위에 비해 빨리 자라서 출생 시 가장 크고 분명한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2. 대뇌의 구조와 기능 대뇌는 사고 과정과 복잡한 지적 기능을 담당합니다. 대뇌는 좌우 두 개의 반구로 구성되며, 겉질(회색질)과 속질(백색질)로 구분됩니다. 대뇌...2025.05.16
-
운동조절 이론과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를 위한 치료접근법2025.04.261. 운동조절 이론 운동조절 이론에는 반사이론, 수직계층이론, 시스템이론, 근육재교육 접근법, 신경촉진 접근법, 과제지향 접근법 등이 있다. 이러한 이론들은 운동조절 장애를 평가하고 치료하는 물리치료 접근법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반사이론은 특정 감각자극에 의해 운동반응이 발생한다고 보았고, 수직계층이론은 중추신경계가 수직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위중추가 하위중추를 조절한다고 보았다. 시스템이론은 신경계뿐만 아니라 근골격계와 환경요인이 운동조절에 상호작용한다고 설명한다. 2.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운동장애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운동...2025.04.26
-
신경전달물질의 기능2025.05.031. 신경전달물질의 개념 뇌세포는 복잡한 기능과 관계성으로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고 있다. 다양한 정보는 신경전달물질을 포함한 전기화학적 이온교환을 통해 시냅스를 거쳐 뉴런사이를 통과한다. 신경전달물질은 뉴런의 세포질에서 합성되어 시냅스 전 종말단추에 존재하고, 자극이 전달되면 시냅스 간격으로 유리되어 시냅스 후 수용체와 결합한다. 신경전달물질은 음식섭취나 약물복용 등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2. 신경전달물질의 분류와 기능 신경전달물질은 인간의 행동, 신체기능, 의식, 지식, 창의성, 기억, 감정 변화를 일으키며...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