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스포츠와 윤리2025.01.111. 목적론적 윤리(공리주의) 목적론적 윤리는 인간이 추구해야 할 근본적인 목적이 존재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윤리나 도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궁극적인 목적은 넓은 의미로는 행복을, 좁은 의미로는 쾌락을 의미합니다. 인간 행위의 옳고 그름을 행위의 결과나 목적 달성 여부로 판단하며, 감각적 경험에 대한 신뢰를 토대로 목적의 성취와 일의 효용성을 강조합니다. 2. 의무론적 윤리 의무론적 윤리는 인간이면 도덕적 원리를 마땅히 지켜야 한다고 봅니다. 행위의 결과와 상관없이 행위 자체의 옳고 그름과 행위자의 의도 및 동기로 판단하...2025.01.11
-
중세 서양윤리(철학) 학자 및 사상 정리2025.01.161.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론 아우구스티누스는 행복의 의미를 '원하는 것 혹은 사랑하는 것을 실제로 소유하고 있는 상태'로 정의했다. 그에 따르면 참된 행복(지복)은 인간이 사랑하고 인간에게 가장 좋은 것, 즉 '최고선'을 실제로 소유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는 기독교의 신과의 인격적 만남의 관계 그 자체이다. 따라서 행복이란 신과 하나 되는 것이다. 2.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에 대한 인식 아우구스티누스는 이성을 두 가지로 구분했다. 하나는 감각 세계에 대한 지식을 얻는 열등한 이성이고, 다른 하나는 예지 세계에 대한 지혜를 얻는 우월한...2025.01.16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행복론, 덕론2025.11.181.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실재의 본질과 원리를 탐구하는 분야로, 자연학 이후 사물을 존재하게 하는 근본원리를 연구한다. 플라톤의 이데아론에서 출발하여 형상이 물질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목적론적이며, 신은 순수한 형상으로 불변한다는 낙관적이고 목적론적 사상을 제시한다. 2. 행복론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인간의 고유한 기능이 덕에 따라 탁월하게 발휘되는 영혼의 활동'으로 정의한다. 인간의 기능을 찾아내면 그 기능 안에서 최상의 좋음을 도출할 수 있으며, 완전성과 자족성 등의 조건을 만족할 때 행복이라 한다. 실천적 이...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