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평가론: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평가
2025.01.19
1.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의 듣기 영역 문항을 분석하여 실용성과 활용도, 실제 구어 양상의 반영이 부족한 항목을 10개 찾아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담화 유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말차례 교대, 끼어들기, 맞장구 등 실제 대화에서의 구어 양상이 반영되지 않은 것이 주요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어를 사용하는 외국인 집단의 실제 상황을 반영하고 우리말 구어의 담화적 특징을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1.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
한국어 듣기 평가 ...
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