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분자소재공학실험_ 이온교환에 의한 칼슘알지네이트 섬유의 제조
본 내용은
"
고분자소재공학실험_ 이온교환에 의한 칼슘알지네이트 섬유의 제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03
문서 내 토픽
-
1. 알긴산알긴산은 갈조류의 세포막과 세포막 간의 물질을 구성하는 물질로, 갈조류의 세포벽에 함유된 다당류 산이다. 알긴이라고도 불리며, 섬유질 과립 분말형태이다. Guluronic acid(G)와 Mannuronic acid(M)로 이루어져 있는 직쇄의 공중합체이다. 수용성인 알긴산 나트륨의 형태로 주로 이용된다. 주로 직물을 염색할 때 풀로 사용되거나 마요네즈, 잼, 아이스크림, 마가린 등의 점성도를 높일 때 사용되며, 크림이나 로션, 알약의 재료로도 쓰인다. 종이의 제조에도 활용된다.
-
2. 칼슘알지네이트 섬유 제조이번 실험에서는 이온교환에 의해 칼슘알지네이트 섬유를 제조해보았다. 수용성이지만 칼슘 같은 금속이온과 강하게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 금속염과 알긴산 사이에 가교결합을 형성하여 하이드로젤화가 되는 알긴산이 포함된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을 이용하여 가교를 진행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알긴산의 나트륨염 수용액을 염화칼슘용액으로 습식 방사하여 쉽게 섬유화될 수 있다. 즉 글루론산(G) 블록의 카르복실기가 금속 2가 양이온과 만나 이온결합 및 가교를 형성하여 젤이 제조되며, 달걀이 모아져있는 형태여서 egg-box 라고 불린다.
-
3. 실험 조건이번 실험의 조건은 sodium alginate 2, 4wt%에서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었고, 응고욕 CaCl2(가교시키는 용액)의 농도는 0.1, 0.5, 1wt% 중에서 두 가지를 선택하여 진행하였다. 우리 조는 0.1, 1wt%를 선택하였고, 습식방사뿐만 아니라 건식방사도 함께 진행하여 비교하였다.
-
4. 실험 과정sodium alginate 2wt% 용액을 제조하고, 응고욕 CaCl2 0.1, 1wt%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주사기에 sodium alginate 용액을 넣고 응고욕에 섬유형태와 방울형태로 방사하였다. 방사 후 에탄올 처리를 하고 건조하였다. 이를 통해 수분율과 팽윤도를 측정하고 결과를 해석하였다.
-
5. 실험 결과 및 해석실험 결과, 응고욕의 농도가 진한 1wt%가 0.1wt%에 비해 가교가 더 많이 형성되어 생성되는 섬유의 농도도 증가하였고, 잘 부서지지 않았으며 무게도 더 무거웠다. 또한 가교가 촘촘하게 형성될수록 흡수율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분율과 팽윤도 측정 결과, 응고욕의 농도가 높을수록 가교결합이 많이 형성되어 흡수율이 낮게 나타났다.
-
6. 오차 원인실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원인으로는 Mechanical stirrer 사용 시 교반기에 여러 조의 용액이 묻으면서 농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었고, 섬유 걸러내기 위해 사용한 채에서 제대로 걸러지지 않은 섬유들이 다른 조에 섞일 수 있었으며, 주사기 내에서 농도가 섞일 수 있었다.
-
1. 주제2: 칼슘알지네이트 섬유 제조칼슘알지네이트 섬유는 알긴산과 칼슘 이온의 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천연 섬유 소재입니다. 이 섬유는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항균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의료, 화장품, 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칼슘알지네이트 섬유 제조 과정에서는 알긴산 용액에 칼슘 이온을 첨가하여 겔화 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방사하여 섬유를 형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섬유의 강도, 신도, 표면 특성 등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칼슘알지네이트 섬유는 천연 소재로 환경 친화적이며,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지속 가능한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2. 주제4: 실험 과정실험 과정은 실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로 구성됩니다. 실험 과정을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은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실험 과정에는 원료 물질의 준비, 반응 조건 설정, 반응 진행, 생성물 분리 및 정제, 분석 등이 포함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와 실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험 절차를 세밀히 계획하고, 실험 기구와 장비를 정확히 사용하며, 실험 과정을 철저히 기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실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신속히 파악하고 해결하는 능력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실험 결과의 신뢰성과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오차 원인실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는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입니다. 오차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실험 기구 및 장비의 정밀도 부족, 실험 조건의 불균일성, 실험자의 숙련도 부족, 외부 환경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칼슘알지네이트 섬유 제조 실험에서는 알긴산 용액의 농도 편차, 칼슘 이온 첨가 과정의 불균일성, 섬유 형성 과정의 온도 변화 등이 오차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차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실험 설계 및 수행 과정에서 이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반복 실험을 통해 오차 범위를 확인하고, 통계적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