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거기반실무 모델(lowa, jhebp, ARCC, ACE Star), 근거기반간호, 근거기반실무 단계_관련 논문 정리
본 내용은
"
근거기반실무 모델(lowa, jhebp, ARCC, ACE Star), 근거기반간호, 근거기반실무 단계_관련 논문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25
문서 내 토픽
-
1. 근거기반간호근거기반간호 담당교수 : 1 Chapter 1. 근거기반간호 (1 장 3,4) 근거기반실무의 발전과정 및 현황 근거기반실무의 단계 2 근거기반간호 Chapter 2. 근거기반실무 모델 (2 장 ) 질적환자관리 증진을 위한 Iowa 근거기반실무 모델 JHEBP 모델 : 간호사와 보건의료전문가를 위한 Johns Hopkins 근거기반실무 모델 ARCC 모델 : 긴밀한 협동을 통한 연구와 임상실무 발전 모델 지식 변형에 대한 ACE Star 모델 최신근거기반간호 목차 Chapter 3. (4-1) IOWA 근거 기반 실무 Johns Hopkins 근거기반실무 모델 ( JHNEBP ) 긴밀한 협동을 통한 연구와 임상실무 발전 ( ARCC) 근거기반실무 확산을 위한 변화 이론 3 근거기반총론 근거기반간호 목차 논문 소개 : ' 범이론적 모형에 기반한 근거기반실무 활성화 프로그램의 개발 '
-
2. 근거기반실무 단계4 Quiz.1 근거기반실무 단계 중 P I CO 에서 I 가 뜻하는 것은 ? 근거기반간호 수행을 위한 모델 및 배경 이론 근거기반간호 – 사전 질문 P C I O 5 Quiz.1 근거기반실무 단계 중 P I CO 에서 I 가 뜻하는 것은 ? 근거기반간호 수행을 위한 모델 및 배경 이론 근거기반간호 – 사전 질문 I 정답 :
-
3. 근거기반실무의 발전과정 및 현황6 (1) 영국 ① Archie Cochrane(1909~1988)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random reflections on health services ' 저자 현시대 근거기반 의학 사상의 창시자로 여겨짐 근거기반 실무의 발전과정 및 현황 1. 국외 근거기반실무 1992, 영국 옥스포트 Center 설립 1993, 비영리국제기구 Cochrane Collaboration 발전 현재 Cochrane 명칭 변경 , 활동 중 보건의료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제시 의료인이 보건의료에 대해 근거기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움 Archie Cochrane(1909~1988) CHAPTER 1 근거기반간호 영국 이후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Corticosteroid 치료는 미숙아 사망의 odds 를 50% - 30% 로 감소시키는 것 으로 나타남 . (Melnyk Fineout-Overholt, 2011) 4 저체중 미숙아 사망 고위험 산모 Corticosteroid Therapy 의사결정 하지 못함 → 체계적 문헌고찰과 갱신 필요성 CHAPTER 1 근거기반간호 근거기반 실무의 발전과정 및 현황
-
4. 근거기반실무 모델19 CHAPTER 2 근거기반실무모델 근거기반 실무의 단계 1. 질적환자관리 증진을 위한 IOWA 근거기반실무 모델 20 CHAPTER 2 근거기반실무모델 근거기반 실무의 단계 1. 질적환자관리 증진을 위한 IOWA 근거기반실무 모델 근거기반실무시작은 임상에서의 문제제기 임상질문을 촉발하는 요인 ① 문제중심 촉발요인 : 현재 실무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 ② 지식중심 촉발요인 : 현재 실무표준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 근거기반실무과정에서 다룰 수 있는 중요한 임상질문 규명 ① 빈도 , 위험도 , 비용이 높은 주제들이 높은 우선순위 ② 기관의 추진 계획 , 의료보험단체 등 기관의 요구도 반영 높은 임상질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른 촉발요인을 추가 검토 관심주제인 임상질문이 조직에서 우선순위가 높은가 판단
-
5. 근거기반실무 활성화 프로그램64 근거기반간호 – 관련 논문 범이론적 모형에 기반한 근거기반실무 활성화 프로그램의 개발 65 근거기반간호 – 관련 논문 범이론적 모형에 기반한 근거기반실무 활성화 프로그램의 개발 근거기반실무 (Evidence-Based Practice, EBP) 란 ?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과학적 지식체에 대한 비판적 탐색과 근거의 실무적용이라는 관점에서 보건의료 영역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진다 환자를 위한 임상적 의사결정시에 최선의 근거와 임상가의 경험 그리고 환자의 선호도를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1. 연구의 필요성
-
1. 근거기반간호근거기반간호는 간호실무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는 최선의 근거를 활용하여 환자 개인의 선호도와 임상적 상황을 고려하여 간호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근거기반간호는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향상시키고, 환자 결과를 개선하며, 간호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간호사들이 근거를 찾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또한 조직 차원에서 근거기반간호를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간호사들의 실무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근거기반실무 단계근거기반실무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첫째, 임상 질문을 명확히 정의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둘째, 관련 문헌을 검색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최선의 근거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셋째, 찾은 근거를 환자의 선호도와 임상적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단계입니다. 넷째, 실무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단계입니다. 이를 통해 실무 개선을 지속적으로 이루어나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계를 체계적으로 거치면 근거기반실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3. 근거기반실무의 발전과정 및 현황근거기반실무는 1970년대 초반 의학 분야에서 시작되어 점차 다른 보건의료 분야로 확산되었습니다. 간호 분야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근거기반실무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많은 국가와 의료기관에서 근거기반실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실무 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 적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역량 강화, 조직 차원의 지원, 정책적 기반 마련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연구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 근거기반실무가 간호 분야에서 더욱 발전하고 확산되기를 기대합니다.
-
4. 근거기반실무 모델근거기반실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모델이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근거기반실무 모델로는 Stetler 모델, Iowa 모델, Johns Hopkins 모델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들은 근거기반실무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한 활동을 안내합니다. 예를 들어 Stetler 모델은 문제 확인, 내부 및 외부 자료 수집, 자료 평가, 자료 활용, 실행, 평가 등의 단계로 구성됩니다. 이처럼 모델은 근거기반실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간호사들은 이러한 모델을 활용하여 근거기반실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5. 근거기반실무 활성화 프로그램근거기반실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첫째,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이 근거를 찾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둘째, 조직 차원에서 근거기반실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근거기반실무 전담 부서 운영, 근거기반실무 전문가 양성, 근거기반실무 활동에 대한 보상 체계 마련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셋째, 근거기반실무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정부와 관련 기관에서 근거기반실무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러한 다각도의 노력을 통해 근거기반실무가 간호 현장에 더욱 확산되고 정착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