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통계학] 척도 4개를 이용하여 각 척도별 해당되는 설문항목을 만드시오.
본 내용은
"
[경영통계학] 척도 4개를 이용하여 각 척도별 해당되는 설문항목을 만드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22
문서 내 토픽
  • 1. 명목척도
    명목척도는 데이터를 단순히 분류하거나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숫자나 이름이 특정한 순서를 가지지 않는다. 즉, 데이터 간의 순서나 크기를 비교할 수 없다. 명목척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각 범주가 상호 배타적이고 포괄적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성별은 남성과 여성으로 나뉘며, 이는 단순히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혈액형 또한 A형, B형, AB형, O형으로 구분되며, 이들 간에는 순서나 크기의 차이가 없다. 국적 역시 한국, 미국, 일본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그룹으로 나누는 것이다.
  • 2. 서열척도
    서열척도는 데이터 간의 순서를 매길 수 있는 척도로, 크기나 순위의 비교가 가능하지만, 간격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서열척도의 중요한 특징은 순위 간의 차이가 반드시 일정하지 않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교육 수준은 초등학교 졸업, 중학교 졸업,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으로 나뉘며, 이는 명확한 순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와 중학교 사이의 간격이 고등학교와 대학교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지 않다. 선호도 조사는 '매우 싫음, 싫음, 보통, 좋음, 매우 좋음'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선호도의 순서를 나타내지만 각 항목 간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다.
  • 3. 등간척도
    등간척도는 데이터 간의 간격이 동일한 척도로,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하다. 등간척도의 중요한 특징은 절대적인 0점이 없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온도는 섭씨와 화씨로 측정되며, 각 단위 간의 차이가 동일하다. 즉, 20도에서 30도로 상승하는 것과 30도에서 40도로 상승하는 것이 같은 간격을 가진다. 그러나 온도는 절대적인 0점을 가지지 않는다. 지능지수(IQ)도 등간척도로 측정되며, 100과 110의 차이와 110과 120의 차이는 동일한 간격을 나타낸다.
  • 4. 비율척도
    비율척도는 절대적인 0점을 가지며, 데이터 간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는 척도이다. 비율척도의 중요한 특징은 절대적인 0점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비율 계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길이는 미터나 센티미터로 측정되며, 0이 절대적인 값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2미터는 1미터의 두 배이다. 무게도 킬로그램이나 그램으로 측정되며, 0그램은 무게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나이도 비율척도로 볼 수 있으며, 0세는 태어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명목척도
    명목척도는 대상을 단순히 범주화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대상 간의 순서나 크기 관계를 나타내지 않으며, 단지 각 대상이 어떤 범주에 속하는지를 구분할 뿐입니다. 예를 들어 성별, 혈액형, 직업 등이 명목척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러한 척도는 통계 분석 시 빈도나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량을 활용할 수 있지만, 평균이나 표준편차와 같은 중심경향성 및 산포도 지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명목척도는 단순한 범주화에 유용하지만, 대상 간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른 척도가 필요합니다.
  • 2. 서열척도
    서열척도는 대상 간의 순서 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대상 간의 크기 차이를 정량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지만, 순위나 등급을 통해 상대적인 크기 관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점 등급, 선호도 순위, 직급 등이 서열척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서열척도는 명목척도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만, 대상 간의 정확한 크기 차이를 알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서열척도를 활용할 때에는 중앙값, 백분위수 등의 통계량이 유용하며, 평균이나 표준편차와 같은 지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 3. 등간척도
    등간척도는 대상 간의 크기 차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대상 간의 순서 관계뿐만 아니라 각 대상 간의 간격이 동일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도, 점수, 연령 등이 등간척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등간척도는 서열척도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며,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량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등간척도는 절대적인 영점이 없기 때문에 비율 관계를 나타낼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등간척도는 대상 간의 크기 차이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지만, 절대적인 크기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율척도가 필요합니다.
  • 4. 비율척도
    비율척도는 대상 간의 크기 차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절대적인 영점이 존재하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등간척도와 마찬가지로 대상 간의 순서 관계와 크기 차이를 모두 나타낼 수 있지만, 절대적인 영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상 간의 비율 관계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게, 길이, 시간 등이 비율척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비율척도는 다양한 통계 분석 기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등의 지표를 통해 대상 간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율척도는 대상 간의 관계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척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