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무역(국제무역)의 주체와 객체
문서 내 토픽
  • 1. 글로벌 무역의 주체
    글로벌 무역의 주체(subject)는 계속 반복적으로 무역사업을 영위하는 주체, 즉 무역 거래자를 말한다. 무역업은 국제간의 거래인 무역을 일정한 목적과 계획을 가지고 짜임새 있게 지속적으로 경영하는 것이다. 사업은 사람(who), 사업대상(what) 및 영업(how) 등 세 가지의 요소가 결합된 것이다. 무역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사람(who)은 어떠한 사업대상(what, item)을 어떠한 방식(how)으로 사업을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사업계획을 수립(PLAN)하고, 사업을 수행(DO)하고, 평가(SEE)하는 절차를 반복하게 된다. 대외무역법상 무역의 주체는 무역업자(수출 또는 수입을 하는 자), 무역대리업자(외국의 수입자 또는 수출자의 위임을 받는 자), 무역위임자(수출입을 위임하는자) 및 무역대행자(수출입의 위임을 행하는 자)를 통합하는 무역거래자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 2. 글로벌 무역의 객체
    무역의 객체(object)라 함은 무역거래의 수동적 위치에 있는 대상, 즉 권리의무의 목적을 말한다. 무역의 객체는 거래대상에 따라 유형무역(visible trade)과 무형무역(invisible trade)으로 나누어, 전자는 주로 물품(goods) 거래, 후자는 서비스나 기술무역 등을 말한다. 기술무역은 특허권, 의장권, 저작권 등의 지적재산권(IPR; intellectual property right)이 이에 속한다. 물품(物品, goods)이란 상품, 제품, 물건 등 여러 가지로 불리우고 있으며, 대외무역법에서는 '외국환거래법에서 정하는 지급수단인 증권 및 채권을 화체한 서류외의 동산'으로, 민법에서는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용역(service)이란 물질적 재화 이외의 생산이나 소비에 필요한 노무인데 모든 용역이 무역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고, 경영상담업, 법무 ? 회계서비스업, 디자인, 컴퓨터 설계 및 자문업 등 대통령령에서 특별히 정하는 것만을 수출입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전자적 형태의 무체물이란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제2조 제1호의 규정에 의한 소프트웨어, 부호 ? 문자 ? 음성 ? 음향 ? 이미지 ? 영상 등을 디지털방식으로 제작하거나 처리한 자료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전자적 형태의 무체물로써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을 말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글로벌 무역의 주체
    글로벌 무역의 주체는 다양한 국가와 기업, 개인 등으로 구성됩니다. 국가는 무역 정책과 규제를 통해 무역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은 생산과 판매를 통해 실제 무역 활동을 수행합니다. 개인 소비자들도 구매 행동을 통해 무역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들 주체들은 각자의 이해관계와 목표에 따라 무역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과 협력이 글로벌 무역 체계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글로벌 무역의 주체들은 서로 다른 역할과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전체적인 무역 시스템을 이루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글로벌 무역의 객체
    글로벌 무역의 객체는 무역의 대상이 되는 재화와 서비스입니다. 이는 각국의 비교우위와 자원 배분에 따라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로 구성됩니다. 주요 무역 객체에는 농산물, 공산품, 에너지 자원, 첨단 기술 제품, 금융 서비스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무역 객체들은 국가 간 수요와 공급의 차이로 인해 교역의 대상이 되며, 가격, 품질, 기술 수준 등에 따라 경쟁력을 가집니다. 또한 무역 객체는 국가 간 경제 발전 수준과 산업 구조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글로벌 무역의 객체는 국가와 기업, 소비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역동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무역(국제무역)의 주체와 객체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21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