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인(聾人)의 사회복지 욕구 조사
본 내용은
"
해피캠퍼스 사회복지 조사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4
문서 내 토픽
-
1. 농인(聾人)의 차별 경험농인은 청각장애인으로 분류되지만, 수어(수화)를 사용하는 언어적 소수자로 인식하고 있다. 「한국수화언어법」 제정 이후 농인의 정체성과 욕구가 더욱 증폭되었지만, 여전히 다양한 차별을 겪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농인이 겪는 차별, 특히 교육 환경에서의 차별과 그에 대한 해소 방안을 조사하고자 한다.
-
2. 수어 관련 학과 지원 요구한국농아인협회는 수어 관련 학과 신설과 지원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이는 한국수어가 성장기에 있지만 여전히 다양한 차별을 겪고 있는 농인들의 욕구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농인들이 수어 관련 학과 지원을 요구하는 이유와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1. 농인(聾人)의 차별 경험농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차별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청각장애로 인해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해 교육, 취업, 의료 등 여러 분야에서 소외되고 있습니다. 특히 수어 사용자들은 청각 중심의 사회에서 소통의 어려움을 겪으며, 이해와 배려가 부족한 환경에 놓여있습니다. 이러한 차별은 농인들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하고 있으며, 사회적 참여와 자립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농인들이 차별 없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 개선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농인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수어 관련 학과 지원 요구수어 관련 학과 지원은 농인 권리 보장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수어는 농인들의 모국어이자 주된 의사소통 수단이지만, 현재 수어 교육 기회가 매우 부족한 실정입니다. 수어 관련 학과 신설과 지원을 통해 농인들이 자신의 언어와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농인들의 정체성 형성과 자긍심 향상, 사회 참여 확대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어 통역사, 농인 교육자 등 전문 인력 양성으로 농인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수어 관련 학과 지원은 농인 권리 보장과 더불어 농인과 청인 간 상호 이해와 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정부와 교육 기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