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간호학 실습 체크리스트 해석 및 정의
본 내용은
"
여성간호학 실습 체크리스트 해석 및 정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9
문서 내 토픽
-
1. Pitocin Induction (옥시토신 유도분만)성숙아의 분만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자궁수축제인 옥시토신을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유도분만 시도 전에 산모와 태아의 준비상태를 평가한다. 태아의 성숙도와 건강 측정검사를 실시하고, 산모의 자궁경관 상태의 사정을 통해 유도분만의 성공 가능성을 평가한다. Bishop 척도를 이용하여 경관개대 정도를 확인한다. 옥시토신 투여 시 주의사항으로는 숙달된 간호사의 관찰, 전자태아감시기 사용, 특정 상황에서의 사용 금기 등이 있다.
-
2. Leopold's maneuver (레오폴드 복부촉진법)레오폴드 복부촉진법은 4단계로 이루어지며, 태아의 위치와 자세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1단계에서는 자궁저부에서 태아의 부위를 확인하고, 2단계에서는 자궁의 양측면을 촉진하여 태아의 부위를 확인한다. 3단계에서는 골반 진입 여부와 태세를 확인하며, 4단계에서는 태아 머리의 하강 정도와 상태를 확인한다.
-
3. Perineal preparation (회음부 준비)분만 시 회음부를 더 깨끗하게 볼 수 있고, 회음 절개 시에 필수적이라는 이유로 입원 시에 회음부 및 음부를 삭모하는 것은 아직까지도 많은 병원에서 흔히 하고 있는 절차이다. 삭모할 때는 비눗물을 이용하여 충분히 적셔주고 면도날은 피부와 평행하게 하여 피부 손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한다.
-
4. Enema (관장)분만 시에는 강한 힘이 주어지기 때문에 간혹 배변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태아의 감염을 막기 위해서 관장을 한다. 최근에는 수치심이나 불편감 때문에 또는 자연주의 출산의 유행으로 관장을 안 하는 경향이지만, 회음 절개술 후 배변 장애로 인한 불편을 막이 위해서라도 관장을 하는 것이 좋다.
-
5. Estimation of presentation & position (선진부 & 태향)선진부는 두위태아의 약 96~97%에서 나타나고, 아두의 굴곡 정도에 따라 두정위, 전정위, 전액위, 안면위등으로 나눌 수 있다. 둔위는 분만 시 태아의 약 3~4% 정도로 나타난다. 태향이란 태아의 선진부와 모체 골반의 전후 좌우면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
6. Sets up & circulates delivery room (분만실 준비)분만 세트, 회음절개 세트, 배뇨 세트, 신생아 간호 세트, 약품 등을 준비한다.
-
7. First stage of labor (분만 1기)분만 1기에는 도플러 초음파, 태아 심박수 확인, 산모-태아 모니터 적용, 배뇨, 자궁수축 확인, 호흡패턴, 자세 등을 관찰한다.
-
8. Second stage of room (분만 2기)분만 2기에는 분만실 이동, 팽륜, 배림과 발로, 힘주기, 리트겐 수기법, 회음절개술, 분만 등의 과정이 이루어진다.
-
9. New born care (신생아 간호)신생아 간호에는 기도관리, 제대간호, 혈관 관찰, 모아 신분확인, 아프가 점수 평가, 모아 애착 증진 등이 포함된다.
-
10. Fourth stage of labor (분만 4기)분만 4기에는 자궁저부 확인 및 마사지, 활력징후 측정, 회음절개술 상처관리, 정서 평가 및 중재, 자기 비우기 격려, 산모 이송 등의 간호가 이루어진다.
-
1. Pitocin Induction (옥시토신 유도분만)옥시토신 유도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신중하게 사용되어야 하며, 산모와 태아에게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사는 산모의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고, 옥시토신 사용의 위험과 이점을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동의를 얻어야 하며, 옥시토신 사용 중에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옥시토신 유도분만은 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며, 산모와 태아의 안전이 최우선되어야 합니다.
-
2. Leopold's maneuver (레오폴드 복부촉진법)레오폴드 복부촉진법은 태아의 위치와 자세를 확인하는 중요한 산과적 기술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의사는 태아의 위치와 자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분만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레오폴드 복부촉진법은 숙련된 의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며,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기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분만을 위해 필수적이며, 의사는 이를 숙달하고 정기적으로 실습해야 합니다.
-
3. Perineal preparation (회음부 준비)회음부 준비는 분만 과정에서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이 과정에서 의사는 회음부 피부를 깨끗하게 소독하고, 필요한 경우 회음부 절개술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감염 위험을 줄이고, 분만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회음부 준비 과정은 산모의 동의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의사는 이 과정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 또한 의사는 회음부 준비 기술을 숙달하고, 이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
4. Enema (관장)관장은 분만 과정에서 산모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관장은 장내 잔류물을 제거하여 분만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장은 산모의 동의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의사는 관장의 필요성과 절차, 부작용 등을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 또한 관장은 숙련된 의사에 의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관장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며, 산모의 선택권과 존엄성이 존중되어야 합니다.
-
5. Estimation of presentation & position (선진부 & 태향)선진부와 태향의 정확한 평가는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의사는 태아의 위치와 자세를 파악하고, 분만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선진부와 태향 평가는 숙련된 의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며, 산모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의사는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검사와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합니다. 선진부와 태향 평가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분만을 위해 필수적이며, 의사는 이를 숙달하고 정기적으로 실습해야 합니다.
-
6. Sets up & circulates delivery room (분만실 준비)분만실 준비는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의사와 간호사는 분만실을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으로 만들어야 하며, 필요한 의료 장비와 물품을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분만실 내에서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분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분만실 준비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의사와 간호사는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합니다.
-
7. First stage of labor (분만 1기)분만 1기는 산모와 태아에게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 의사와 간호사는 산모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중재를 수행해야 합니다. 분만 1기 동안 산모의 통증 관리, 수액 공급, 감염 예방 등이 중요하며, 태아의 상태 또한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의사와 간호사는 분만 1기 동안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며, 산모의 선택권과 존엄성을 존중해야 합니다. 또한 분만 1기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
8. Second stage of room (분만 2기)분만 2기는 산모가 태아를 밀어내는 단계로, 산모와 태아의 안전이 가장 중요합니다. 의사와 간호사는 산모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중재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호흡과 힘주기, 태아의 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며,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의사와 간호사는 산모의 선택권과 존엄성을 존중하며, 산모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합니다. 분만 2기는 산모와 태아의 안전이 최우선이 되어야 하며, 의사와 간호사는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합니다.
-
9. New born care (신생아 간호)신생아 간호는 분만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의사와 간호사는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한 처치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신생아의 생명을 보호하고, 향후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간호에는 호흡 관리, 체온 유지, 감염 예방, 영양 공급 등이 포함되며, 의사와 간호사는 이를 숙달하고 정기적으로 실습해야 합니다. 또한 신생아 간호 과정에서 산모와 가족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그들의 감정과 권리를 존중해야 합니다.
-
10. Fourth stage of labor (분만 4기)분만 4기는 태반 분만 후 산모의 상태를 관찰하는 단계로,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 단계에서 의사와 간호사는 산모의 출혈, 혈압, 체온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한 처치를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통증 관리, 수액 공급, 감염 예방 등이 중요하며, 태아의 상태 또한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분만 4기 동안 의사와 간호사는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며, 산모의 선택권과 존엄성을 존중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분만 과정 전반에 걸쳐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A+ 인증O] 여성간호학실습 제왕절개 (통증) 상세한 간호과정입니다. 구매하시면 후회 않으실거예요!! 21페이지
A+ ((인증))여성간호학실습제왕절개Ⅰ.서론Ⅱ. 문헌 고찰1. 질병의 정의2. 원인3. 병태생리4. 치료 및 간호Ⅲ. 간호사례1. 간호사정도구- 산과2. 포괄적 사정 및 간호진단 도출3.수술 후 시간경과에 따른 사정4.임상병리 검사5. 진단적 검사6.수술전후 처치7. 투여약물8. 간호과정적용: 간호문제-> 간호진단->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Ⅳ. 결론Ⅴ. 참고문헌Ⅰ.서론20세기 초반까지 제왕절개술을 받은 산모들은 대부분 세균감염으로 사망하여 보편화되지 못했지만, 이후 수술기법, 마취과학, 항생제 발달등으로 인해 최근 우리나라의 제...2024.03.05· 21페이지 -
모성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제왕절개, C-sec ,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13페이지
모성간호학실습Ⅱ-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실습일자제출일자실습병원과 부서담당교수교과목명제출자문헌고찰-제왕절개, Cesarean section-정의: 제왕절개분만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1)적응증①모체와 태아측 요인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부전 등으로 난산일 경우 실시한다.②모체측 요인·모체 질병: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자궁경부암·중증 감염: 단순포진 Ⅱ형, 활동성 병소·과거 제왕절개 분만·자궁수술의 경험·난소종양이나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35세 이상의 초...2023.12.04· 13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검사 목적, 방법, 정의, 주의사항 9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Ⅰ: 1주 차 체크리스트소화기계1UGI series(upper gastrointestinal series)위 조영검사정의위를 팽창시키는 발포제(가루약)와 위점막을 코팅시키는 액체 성분의 조영제(바륨현탁액)를 마신 후, X선이 발생 되는 방사선 투시기를 이용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 등을 촬영하는 검사이다목적궤양, 종양, 염증이나 식도열공 등 상부 위장관의 구조적 이상이나 폐색을 파악하기 위함이다.검사방법검사 전 8시간 금식하며 검사는 15~20분 소요된다. 흰색의 바륨 현탁액 240g과 발포제를 같이 복용한다. 위벽에...2024.02.29· 9페이지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제왕절개 case study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교수님피드백 후 수정완료본) 11페이지
제왕절개(Breech Presentation)과 목 명실 습 지담당교수학년/반학 번이 름제 출 일목 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1p2. 문헌고찰1) 제왕절개(cesarean section)란?1p2) 제왕절개 준비과정2p3) 제왕절개 과정3p4) 제왕절개 후 간호5p5) 둔위 란?7p6) 둔위 분만 간호8pⅡ. 본론1. 대상자 사정1) 산모 정보10p2) 임상검사11p3) 투여약물14p4) 산욕기 사정 기록지15p2. 간호과정1) 우선순위15p2) 간호과정#116p3) 간호과정#218pⅢ. 결론1. 실습 소감 21pⅣ. 문헌고찰2...2021.10.13· 11페이지 -
모성실습 난소낭종케이스입니다. 46페이지 인만큼 자세하게 기록했습니다.(A+자료) 37페이지
여성건강간호학실습임상실습 사례보고서Ovarian cyst난소낭종과목명실습병원실습장소담당교수실습기간학번이름목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대상자 선정동기3. 대상자의 건강력4. 입원동기Ⅱ. 본론1. 문헌고찰2. 간호과정(1) 간호사정- 간호사정 / 간호진단과 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 활력징후- 진단검사- 투약(2) 간호진단, 목표설정 간호 중재 및 평가Ⅲ. 결론1. 느낀점2. 출처(참고문헌)3. 일일실습보고서4. 체크리스트5. 실습자가평가지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난소는 조직학적으로 다양한 세포로 구성되...2020.06.11· 3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