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아동간호학실습 세기관지염 간호과정 (비효과적 호흡 양상, 체액부족 위험성, 고체온)
본 내용은
"
A+ 아동간호학실습 세기관지염 간호과정 (비효과적 호흡 양상, 체액부족 위험성, 고체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4
문서 내 토픽
-
1.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아동의 기도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점막은 접착력이 크며,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부종이나 경련에 의해 성인보다 기도폐쇄가 급속하게 진행된다. 약물을 통해 원인균에 대한 치료 및 환자의 불편감 감소를 위해 대증치료 한다. 찬 습기는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고,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혈관 수축을 돕는다. 이환기에는 호흡수가 증가되어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므로 정맥주입으로 계속 수화상태를 유지한다. 구강인두나 비강인두의 흡인은 대상자가 효과적인 기침을 할 수 없고 배출이나 연하에 의해 분비물을 제거할 수 없을 때 사용한다. 구상흡인기는 신생아 및 영아의 구강과 비강의 분비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흉부 물리요법은 폐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을 더욱 쉽게 뱉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2. 과도한 손실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아동은 체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분 요구량이 많으며, 체액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수분손실에 더욱 민감하다. 가장 초기에 나타나는 탈수 증상은 빠른 맥이며, 입술이나 피부, 점막의 건조, 천문 함몰, 사지의 냉감과 반점 등의 순환부전 징후와 피부긴장도 저하, 모세혈관 충혈시간의 지연 등이 나타난다. 약물을 통해 원인균에 대한 치료 및 탈수를 예방하고 수화를 유지한다. 비위생적인 음식, 밀집된 환경, 식수의 부족, 위생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오염을 일으켜 설사를 유발한다.
-
3.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체온이 정상 범위로 돌아오고 있는지 수치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감염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CRP, WBC 수치 등을 확인한다. 이부프로펜은 해열, 소염 진통제로 발열 및 통증의 치료에 사용된다. 신체를 공기에 노출시켜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증상을 숙지하여 체온이 높아졌을 때 간호사에게 알려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겨드랑이나 서혜부에 많은 혈관이 있어 겨드랑이와 서혜부를 미온수에 적신 거즈로 닦아주면 체온 저하에 도움이 된다. 대류에 의해 자연스럽게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열로 인한 경련이 발생하는 경우 낙상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side rail을 항상 올려두도록 교육한다. 고체온으로 인해 발생한 수분 손실을 섭취를 통해 보충한다.
-
1.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은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원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 교육과 자가 관리 지원을 통해 증상 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2. 과도한 손실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과도한 체액 손실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여 체액 부족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수액 공급, 전해질 보충, 그리고 기저 질환 치료 등의 종합적인 접근법을 통해 체액 균형을 회복시켜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체액 부족의 위험성과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체액 부족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3.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감염과 관련된 고체온은 환자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여 감염의 원인을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함께 체온 관리, 수액 공급, 영양 지원 등의 종합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염 예방과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고체온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급성세기관지염 간호과정 비효율적호흡양상, 고체온 15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2025학년도 4학년 1학기아동청소년간호학실습사례연구보고서급성세기관지염(비효율적호흡양상, 고체온)실습기관:대학교병원실습부서:실습기간:학 번:이 름:제 출 일:Part1. 주요 건강 문제의 확인1) 대상자 소개성명진단명acute bronchiolitis성별남연령입원일시입원횟수1번키71.7cm몸무게9.5kgBMI18.48kg/㎡혈액형*소아청소년 성장도표의 정상범위5~95%에 해당됨성장발육곡선 상 percentile 키 69.1%ile, 체중 81.7%ile신장대비 체중 백분위 수 83.4%ile·입원경로: 응급실, ·입원방...2025.06.20· 15페이지 -
아동간호학 크룹 케이스 스터디 A+보장 27페이지
2025년도 아동 간호학 실습 II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크룹, Croup)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 LTB과목명교수명제출일실습 병원실습 병동학과학번이름목 차Ⅰ. 서 론1. 연구 필요성2. 대상 및 방법Ⅱ. 본 론1.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a. 크룹 (Croup)2. 일반적 사항3. 현병력4. 과거력5. 현재 신체 상태6. 신체사정7. 임상검사 결과 및 간호력8. 약물 및 처방9. 대상자에게 예상되는 문제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10. 간호과정Ⅲ. 결론 및 실습 소감IV. 참고문헌I. 서론1. 연구 필요성...2025.06.10· 27페이지 -
[A+보장]아동간호학실습 급성편도염(Acute tonsillitis)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간호진단 24페이지 자료입니다. 24페이지
[A+보장]아동간호학실습 급성편도염(Acute tonsillitis)A+ 받은24페이지 자료입니다.Ⅰ. 문헌고찰1. 정의2. 원인3. 증상4. 진단5. 검사6. 치료7. 간호중재8. 경과/합병증Ⅱ. Pediatric Nursing Practice Conference1. Briefing Note2. 진단적 검사3. 약물 요법4. 의학 및 간호학적 처치와 관리(간호)5. 간호진단6. 간호과정7. Daily Work Sheet8. 참고문헌9. 임상사례관리와 관련하여 새롭게 알게 된 간호용어 & 약어 정리(10~20개)Ⅰ. 문헌고찰[ 문헌...2023.12.04· 24페이지 -
A+ 아동 급성위장염 간호과정 - 문헌고찰, 간호진단 2개(고체온, 체액 부족) 14페이지
아동간호학 실습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병원병동학반조실습날짜학번제출일이름담당교수목차1. 문헌고찰2. 간호력3. 진단검사4. 투약5. 간호과정6. 참고문헌1. 문헌고찰1) 정의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으로 인해 급성 위염과 장염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일어나기도 함2) 병태생리(1) 바이러스 감염 : 노워크(Norwalk, 노로vir) 바이러스가 수인성 위장관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구강-대변 경로로 계절에 상관 없이 성인, 어린이에게 감염을 일으킴(2) 세균감염? 대장균(E.coli...2024.06.09· 14페이지 -
[아동간호실습]A+받은 급성기관지염 간호진단3 간호과정1 브리핑노트 11페이지
Pediatric Nursing Practice(1) Conference교과목명 : 아동간호학실습Ⅱ실 습 지 :제 출 자 :제 출 일 : 2022.04.29.(금)과 제 명 : “(acute bronchitis 진단 받은 3세 여아의)호흡기계 감염과 관련된 비효과적 체온조절”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 적용 사례1. Briefing Note상기 환아는 3세 된 여아로 내원 3~4일 전부터 cough, sputum, rhinorrhea 있어 LMC에서 antibiotics 포함된 medication 복용 후 증상 호전 되던 중 내원 전날 ...2023.02.17·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