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물및실2 10주차 휘스톤 브릿지를 이용한 전기저항 측정 결과레포트
본 내용은
"
건국대 물및실2 10주차 휘스톤 브릿지를 이용한 전기저항 측정 결과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5
문서 내 토픽
  • 1. 휘스톤 브릿지
    휘스톤 브릿지는 저항 R1과 R2를 연결하고, 점 a와 b사이를 검류계 G로 연결하여 두 점 사이의 전위차를 알아볼 수 있게 한 장치입니다. 이 휘스톤 브릿지는 R1과 R2 및 R3를 적당히 조절하여 검류계(G)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여 평형조건을 찾는 영점법(null-comparison method)을 사용합니다. 검류계에 있는 스위치를 닫았을 때 검류계의 지침이 0이 된다는 것은 a와 b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며, a와 b점은 등전위점이 되었다는 뜻입니다. 이것은 R1/R2 = R3/R4라는 뜻이므로 식 (1)과 (2)가 성립됩니다.
  • 2. 전기저항 측정
    본 실험은 길이 l인 저항 R1에 의 값이 각각 0.001, 0.01, 0.1, 1, 10, 100, 1000인 위치에 단자를 연결하여 배율을 정하였습니다. 알 수 없는 저항 Rx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장치로는 다이얼형 휘스톤 브릿지가 있습니다. 실험 결과 전압의 비율로 구하는 방법이 슬라이드 위치의 비율로 구하는 방법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실험자의 기기 조작 오차와 습동 저항 도선의 비저항 및 단면적 변화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전기저항 측정
    전기저항 측정은 전자 회로 및 시스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정확한 저항 값을 알아야 회로의 전류와 전압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기저항 측정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옴 법칙을 이용한 직접 측정, 휘스톤 브릿지를 이용한 간접 측정, 그리고 디지털 멀티미터를 이용한 측정 등이 있습니다.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어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휘스톤 브릿지는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지만 회로 구성이 복잡한 반면, 디지털 멀티미터는 간단하지만 정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따라서 측정 대상, 정밀도 요구사항, 측정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