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만점 레포트] 분석화학실험 6. Determination of chloride-the Fajans method
문서 내 토픽
-
1. 침전적정법침전적정법이란, 목적 성분과 표준용액이 화학양론적으로 용해도 곱 상수가 큰 침전을 신속히 생성시키는 반응을 이용하는 적정분석이다. 침전적정법을 이용하여 시료 중 존재하는 염화물을 확인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
2. 은적정법질산은 표준액은 음이온들과 반응하여 침전을 형성하기 때문에 Cl?, Br?, I?, SCN?, Fe(CN)64?과 같은 음이온을 정량할 때 사용하며, 흡착지시약을 사용하여 침전적정의 종말점을 확인한다. 이렇게 질산은을 이용한 적정법을 은적정법(argentometric methods)라고 한다.
-
3. Fajans method이번 실험에서는 Fahans method를 이용해 음이온의 양을 측정한다.
-
4. AgNO3 용액 제조0.05 M AgNO3 용액을 100 mL 제조하기 위해 AgNO3 0.849 g을 칭량하여 brown volumetric flask에 넣고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이때 AgNO3는 빛에 민감하므로 brown 용기와 호일을 사용하여 빛을 차단하였다.
-
5. 시료 용액 준비NaCl 약 0.04 g과 dextrin 약 0.04 g을 100 mL volumetric flask에 넣고 증류수로 희석하여 시료 용액을 준비하였다. Dextrin은 보호성 콜로이드로 작용하여 앙금 생성을 지연시켜 지시약의 색 변화를 더욱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
6. 적정 과정시료 용액 40 mL에 지시약인 2,7-dichlorofluorescein을 넣고 교반하여 혼합한 후, 0.05 M AgNO3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면서 용액의 색 변화를 관찰하여 종말점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을 두 번 반복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
7. 결과 분석종말점에서의 AgNO3 부피와 색 변화를 토대로 시료 용액 내 Cl-의 실제 몰농도를 계산하였다. 또한 당량점 전후의 pAg 값을 구하고 pAg-AgNO3 부피 그래프를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
1. 침전적정법침전적정법은 정량 분석 방법 중 하나로, 용액 내 특정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분석 대상 이온과 반응하여 불용성 침전물을 형성하는 시약을 사용합니다. 침전물의 양을 측정하여 분석 대상 이온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침전적정법은 정확성, 재현성, 간단한 실험 절차 등의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침전물 생성 반응의 화학적 평형, 침전물의 용해도, 시약의 순도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므로 실험 설계와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은적정법은적정법은 침전적정법의 한 종류로, 은이온(Ag+)과 할로겐 이온(Cl-, Br-, I-)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할로겐화은(AgX) 침전물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성, 재현성, 간단한 실험 절차 등의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침전물 생성 반응의 화학적 평형, 침전물의 용해도, 시약의 순도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므로 실험 설계와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은이온과 할로겐 이온의 반응 속도가 빨라 적정 종말점 판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3. Fajans methodFajans method는 은적정법의 한 종류로, 적정 종말점 검출을 위해 지시약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지시약은 할로겐화은 침전물의 생성 과정에서 색 변화를 일으키므로, 이를 통해 적정 종말점을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Fajans method는 은적정법에 비해 실험 절차가 간단하고 정확성이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지시약의 선택과 농도, 반응 조건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실험 설계와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4. AgNO3 용액 제조AgNO3 용액 제조는 은적정법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AgNO3 용액의 농도와 순도는 적정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AgNO3 용액을 제조할 때는 고순도의 AgNO3 시약을 사용하고, 정확한 양을 계량하여 농도를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용액 제조 과정에서 오염이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AgNO3 용액을 제조해야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적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5. 시료 용액 준비시료 용액 준비는 은적정법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시료 용액의 농도, pH, 온도 등의 조건이 적정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시료 용액을 준비할 때는 분석 대상 이온의 농도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용액의 pH와 온도를 적정 조건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시료 용액에 방해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러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시료 용액을 준비해야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적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6. 적정 과정적정 과정은 은적정법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적정 과정에서는 AgNO3 용액을 점진적으로 시료 용액에 가하면서 적정 종말점을 정확히 판단해야 합니다. 적정 종말점은 할로겐화은 침전물의 생성 반응이 완료되는 지점으로, 지시약의 색 변화나 전위차 변화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정 과정에서는 적정 속도, 교반 속도, 온도 등의 조건을 적절히 조절하여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어야 합니다. 또한 적정 종말점 판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7. 결과 분석결과 분석은 은적정법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적정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 대상 이온의 농도를 계산하고, 이를 실제 시료의 농도와 비교해야 합니다. 결과 분석 시에는 적정 실험의 정확성, 재현성, 방해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실험 오차 및 불확도를 계산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분석 대상 이온의 정확한 농도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결과 분석 과정에서 주의 깊은 검토와 해석이 필요합니다.
[A+ 만점 레포트] 분석화학실험 6. Determination of chloride-the Fajans method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4
-
[화학과 수석의 A+ 레포트] 뷰렛의 검정 (분석화학실험)1. Calibration of Volumetric Glassware 이 실험의 목적은 buret을 교정하고 그를 바탕으로 교정 곡선을 작성해, 앞으로의 분석화학실습에서 buret을 사용하는 실험을 할 때 해당 buret의 교정 곡선을 참고자료로 하여 실험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있다. 교정 곡선의 x축은 buret으로 측정한 물의 부피, y축은 실제 물의...2025.01.16 · 자연과학
-
[물리화학실험A+] Bomb Calorimeter 결과보고서1. Bomb Calorimeter Bomb calorimeter는 연료나 수수한 유기물의 연소열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기구입니다. 봄베 열량계는 단열된 통 속에 물을 채우고 물속 밀폐된 연소실에서 연소시켰을 때 열량을 측정합니다. 열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인 장치이며 봄베에서 발생한 열은 전부 주변 물에 흡수됩니다. 주로 기체가 관여하는 반응에 이용되고 연...2025.01.17 · 자연과학
-
Protein Electro-transfer and Western blot1. Western blotting Western blotting은 단백질에 대한 blotting 기술을 뜻하며,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다. 단백질 혼합물을 polyacrylamide gel에서 SDS-PAGE를 이용하여 크기에 따라 분리하고 membrane으로 electro-transfer하여 흡착시킨 후 membrane 표면에서 항체를 이용하여 원하는...2025.01.23 · 의학/약학
-
분자량 측정 - Victor Meyer법을 이용한 dichloromethane의 분자량 측정1. 분자량 측정 실험을 통해 이상기체 방정식을 이용하여 dichloromethane의 분자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공부하였습니다. 실험 과정에서 유리구 깨짐, 온도 측정 실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정확한 분자량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를 통해 실험 진행 시 유의사항을 숙지하고 집중하는 것이 중요함을 배웠습니다. 2.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이상기체 상태방정...2025.01.28 · 자연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