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심리학 )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예를 3가지 이상 쓰고 각각의 공간에서의 자기 정체성에 관하여 분석
본 내용은
"
사이버심리학 )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예를 3가지 이상 쓰고 각각의 공간에서의 자기 정체성에 관하여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2
문서 내 토픽
  • 1. 사이버 공간
    사이버 공간은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PC-electronic 기술로 인식되는 과학적 측면의 electric space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PC 기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인간행동의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내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가상공간과 사이버 공간이 동일개념으로 인식되기보다는 사이버 공간이 가상 공간의 일부가 되는 하위 개념으로, PC-electronic 기술에서 인간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사회 문화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 2. 자기 정체성
    자아 정체성은 타고나거나 현실 공간에서 생활하는 동안 제3자에 의해 얻어지는 인성으로, 익명성이 확보된 사이버 공간이라는 새로운 공간이 생기면서 대인관계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익명성으로 현실 공간에서의 제한을 뛰어넘어 외적 상황 및 경력, 직업 등 현실과는 상이한 다중 정체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사이버 공간에서는 보다 익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SNS, 카페, 어플 채팅, 미니홈피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다양한 자아를 생성하여 다양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다.
  • 3. 인스타그램에서의 자기 정체성
    인스타그램에서 나는 트래블러의 삶을 선택했다. 블로그를 통해 트래블러 활동을 하다가 우연히 알게된 인스타그램을 시작하게 된 후 나는 미혼의 프리랜서 여행작가의 삶을 살고 있다. 일본 소도시 주변을 여행하다가 노-재팬 이후 대만과 괌, 미국 등 다른 도시를 여행해 보았으나 재미가 없어서 잠시 뜸했으나, 코로나 발병으로 강제로 여행을 금지당하면서 국내에 정착하였으며, 현재에도 일본 보다는 한국의 제주도를 중심으로 여행하고 있다.
  • 4. 카카오스토리에서의 자기 정체성
    카카오스토리에서 나는 키티 매니아다. 키티는 1975년 생으로 입이 없는 고양이로, 자신이 많은 이야기를 하는 것보다, 남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캐릭터이다. 나는 그런점이 참 좋아서 키티에 빠져들었는데, 의뢰로 국내에 키티 매니아가 많아 활동하기는 별 문제가 없다. 키티의 고전적인 오리지날 굳즈는 틈이 날때마다 하나씩 일본 옥션 경매를 통해 직접 낙찰 받거나 일본 중고거래를 통해 직구로 구입한 것이 대부분이다.
  • 5. 유튜브에서의 자기 정체성
    유튜브에서 나는 정치에 많은 관심이 있고 적극적으로 나의 의사를 표현하는 정치 고관여층이다. 현실에서 나의 모습은 정치나 사회문제에 전혀 관심이 없으나, 유튜브 속의 나는 정치에 많은 관심이 있고 적극적으로 나의 의사를 표현한다. 유튜브는 인터넷 플랫폼으로 나만의 방송국에서 나의 목소리를 낼 수 있어 좋은 플랫폼이라고 생각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사이버 공간
    사이버 공간은 현실 세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은 자신의 모습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고,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과 자유로움은 때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이버 공간에서의 행동과 표현에 대한 책임감 있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 2. 자기 정체성
    자기 정체성은 개인의 가치관, 신념, 행동 양식 등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입니다. 자기 정체성은 시간과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관계와 문화적 배경이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개인은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합니다.
  • 3. 인스타그램에서의 자기 정체성
    인스타그램은 개인이 자신의 모습을 선별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사용자들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자신의 일상, 취미, 관심사 등을 공유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인스타그램에서의 자기 정체성은 실제 자신과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자기 이해와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균형 있게 표현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진정성 있게 형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4. 카카오스토리에서의 자기 정체성
    카카오스토리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일상과 감정을 공유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입니다. 이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모습을 선별적으로 표현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합니다. 그러나 카카오스토리에서의 자기 정체성은 실제 자신과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자기 이해와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카오스토리 사용자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균형 있게 표현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진정성 있게 형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5. 유튜브에서의 자기 정체성
    유튜브는 개인이 자신의 모습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은 자신의 관심사, 취미, 전문성 등을 영상으로 공유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합니다. 그러나 유튜브에서의 자기 정체성은 실제 자신과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자기 이해와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튜브 사용자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균형 있게 표현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진정성 있게 형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