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라핀 블록 및 절편 만들기
본 내용은
"
세포생물학실험 만점(A+) 실험 보고서(레포트) 07. 파라핀 블록 및 절편 만들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9
문서 내 토픽
-
1. 파라핀 블록 제작파라핀 블록은 조직을 탈수시킨 후 조직에 파라핀을 채운 것으로, 보관을 한 후 파라핀을 제거하면 원래의 조직과 비슷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방법이다. 파라핀 블록의 생성은 크게 '고정 → 탈수 → 투명화 → 침투 → 포매' 과정으로 구성된다. 고정은 살아있는 세포와 화학성분을 자가 융해와 부패로부터 방지하기 위해 화학적, 물리적인 방법에 의하여 생체물질을 응고시키고, 불용성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탈수는 침투제로 사용되는 소수성의 파라핀이 잘 침투되도록 조직내에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투명화는 탈수 과정에서 조직 내에 침투한 Ethanol을 제거하고, 파라핀으로 치환하는 과정이다. 침투는 침투제를 조직 공간에 침투시켜서 박절을 용이하게 하는 과정이다. 포매는 고정한 시료를 박절하기 위해 적당한 경도를 유지하게 하고, 조직편을 포매제에 침투시켜 이를 고정하는 과정이다.
-
2. 파라핀 절편 제작파라핀 블록을 이용하여 조직의 단면을 관찰하기 위해 원하는 두께로 절편을 만든다. 파라핀 절편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1~20µm의 얇은 연속 절편이 가능하지만, 큰 조직이나 딱딱한 조직의 절편을 제작할 수 없다는 단점과, 조직의 수축이 현저하게 발생하다는 단점들이 존재한다. 절편 제작 시 Microtome을 이용하여 4~8µm 두께로 절편을 만들며, 70% Ethanol에 넣어 파라핀의 전하를 제거하고, 45°C 항온 수조에 넣어 조직 절편을 편평하게 펴서 슬라이드 글라스에 밀착되게 한다.
-
3. 투명화 과정투명화는 탈수 과정에서 조직 내에 침투한 Ethanol을 제거하고, 파라핀으로 치환하는 과정으로, Xylene(자일렌, 크실렌)을 사용한다. Xylene은 투명제로, 굴절률이 높아 조직의 굴절률을 높여서 조직이 투명하게 보이게 한다. Xylene 외에도 Benzene, Toluene, Chloroform 등의 투명제가 있으며, 각각 장단점이 있다. Benzene은 독성이 강하고, Toluene은 투명화 시간이 오래 걸리며, Chloroform은 유해가스 발생으로 인체에 유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
1. 파라핀 블록 제작파라핀 블록 제작은 조직 검사를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파라핀은 조직 내부 구조를 잘 보존하고 단면을 얻는 데 용이합니다. 블록 제작 시 조직 시편을 적절히 고정하고 포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절편 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고 절편이 잘 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 구조를 잘 관찰할 수 있습니다. 파라핀 블록 제작은 병리학 진단에 필수적인 과정이므로 숙련된 기술이 요구됩니다.
-
2. 파라핀 절편 제작파라핀 절편 제작은 조직 검사를 위한 핵심 단계입니다. 절편 제작 시 조직 구조를 최대한 보존하고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절편기의 정확한 조절과 숙련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절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름, 찢김, 균열 등의 인공 산물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절편 제작은 조직 구조 관찰과 병리학적 진단에 필수적이므로 이 과정에 대한 전문성 확보가 중요합니다.
-
3. 투명화 과정조직 검사를 위한 투명화 과정은 조직 내부 구조를 관찰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투명화 과정을 통해 조직 내부의 세포, 섬유, 혈관 등의 구조를 보다 명확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탈수, 투명화, 염색 등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특히 투명화 과정에서는 조직 구조를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투명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용매와 처리 시간, 온도 등을 정밀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투명화 과정의 최적화는 조직 구조 관찰과 병리학적 진단에 필수적입니다.
-
세포생물학실험 만점(A+) 실험 보고서(레포트) 08. Hematoxylin and Eosin(H&E) 염색법 8페이지
제목 : Hematoxylin and Eosin(H&E) 염색법서론파라핀 블록을 통해 제작한 조직 절편을 Hematoxylin과 Eosin(H&E) 염색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조직 내의 세포핵과 세포질을 관찰할 수 있다. 파라핀 블록을 통한 조직 절편 H&E 염색은 ‘탈파라핀 수화 수세 헤마톡실린염색 청색화 에오신 염색 탈수 투명화 봉입’의 과정으로 수행된다.‘탈파라핀’ 과정은 슬라이드에 접착되어 있는 조직 내에 침투되어 있는 파라핀을 H&E 염색을 진행하기 위해 제거하는 과정이다. 조직 내에 존재하는 파라핀은 조직과 염색 시약과...2024.07.07· 8페이지 -
세포생물학실험 만점(A+) 실험 보고서(레포트) 09. TUNEL staining 8페이지
제목 : TUNEL staining서론면역 염색법(Immunostaining)은 세포 또는 조직에서 특정 분자, 단백질 등을 항체를 이용해 가시화하는 방법으로, 특정 단백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세포나 조직에 반응시킨 후, 항체의 결합 반응 후 그 항체의 위치를 관찰하는 생화학적인 방법이다. 면역염색법의 종류로는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 (immunohistochemistry, IHC), 면역 세포 화학 염색법 (immunocytochemistry, ICC), 면역 형광법 (immunofluorescence, IF) 등이 존재...2024.07.07· 8페이지 -
H&E staining 실험 결과보고서 a+ 8페이지
H&E staining(1) 서론H&E staining이란?Hematoxylin 및 Eosin (H&E) 염색은 조직 병리학에서 가장 일반적인 염색 기술이다.임상 표본에서 핵 및 세포질 내포물의 입증에 사용되는 두 가지 염료인 Hematoxylin과 Eosin의 조합을 사용한다.염기성 염색약인 Hematoxylin은 핵을 연한 파란색으로 얼룩지게 한다.이것은 산성의 존재하에 적색으로 변한다, 분화는 조직을 산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달성되기 때문이다. 블루밍 단계는 핵 내의 초기 용해성 적색을 불용성 청색으로 변환한다.역염색은 세포질...2022.06.10· 8페이지 -
조직 슬라이드 제작법 6페이지
조직 슬라이드 제작법? 정의 및 목적: 조직의 형태관찰을 위해 제작하며 세포 등 인체의 미세구조를 연구하기 위해 현미경이 필수적이며. 현미경 관찰을 하기 위해서는 목적에 맞는 적절한 표본이 만들어져야 한다.? 경화 방법, 이용상의 특징경화방법이용상의 특징동결박절1) 수술할 때 신속한 진단2) 지방의 증명3) 효소 및 면역형관 염색파라핀모든 검사에 가장 잘 사용카보왁스1) 탈수나 투명이 불필요2) 지질 & 효소의 검출셀로이딘1) 큰 뼈조지그 안구, 뇌조직 등2) 가온×3) 투명제×Gelatin동결절편 시 포매제Plastic얇은 절편이...2020.12.31· 6페이지 -
Immunohistochemistry 면역조직화학법 6페이지
ImmunohistochemistryⅠ. Introduction1. 실험원리1) Immunohistochemistry(면역조직화학법)항원항체반응에 있어, 대단히 정밀한 선택성, 특이성을 이용하여 조직 혹은 세포에 있는 특정한 물질을 가시화하여 광학현미경, 또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고안한 기법을 말한다. 항체의 활성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면서 발색, 발광, 방사하는 물질을 표지하는 기술을 꾸준히 개발하고 왔다. 항체에 형광색소를 표지하는 형광항체법(A. H. Coons 등), 과산화효소 등의 효소를 표지하여 그 효소가 분해...2022.06.30·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