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정형외과(OS) CASE STUDY (골절, 자상)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정형외과(OS) CASE STUDY (골절, 자상)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9
문서 내 토픽
  • 1. Patella Undisplaced Fracture & Laceration
    골절(Fracture)은 뼈가 부러진 상태를 의미하며, 다양한 형태의 골절과 주변 인대 및 근육의 손상이 동반됩니다. 골절의 종류 중 비전위성 골절(Undisplace Fracture)은 골절편이 골절선에서 분리되지 않고 정상적인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무릎뼈 골절의 발생 시 단순히 뼈의 손상뿐만 아니라 특히 주변의 건 및 인대의 손상이 동반되어 기능상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열상(Laceration)은 피부가 찢어져서 생긴 상처를 의미하며,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한 골절과 함께 발생합니다.
  • 2. 골절의 원인
    골절 대부분은 낙상, 자동차 사고 등 외부의 과도한 힘으로 발생하지만, 종양이나 골다공증 등 골조직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으며, 무릎뼈의 골절은 주로 낙상 및 직접적인 구타로 발생합니다.
  • 3. 골절의 증상
    비전위성 골절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가벼운 통증 및 압통, 변형, 위축, 국소 부종, 반상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퇴사두근과 무릎인대의 힘으로 무릎을 펼 때 통증이 심해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 4. 골절의 진단
    X-ray 촬영을 통한 골절 여부를 파악하고 골절의 전위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CT 및 MRI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단독적으로 열상만 존재하는지와 상처 내부로 유리 파편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갔는지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X-ray 촬영을 시행하고, 손상 부위를 벌려 건 및 혈관의 손상이 있는지를 파악합니다.
  • 5. 골절의 치료
    비전위성 골절의 경우 Splint 및 보조기를 적용하고 고정하여 과신전(Hyperextens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존적 치료를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골절의 중증도가 심하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데, K-강선/금속 와이어/나사못 등을 활용하여 골절 부위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열상으로 인한 출혈로 활력 징후가 불안정할 시 수액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생리식염수로 상처 부위를 8~30mmHg 압력으로 세척하여 내부 이물질 및 분비물을 제거합니다. 상처 부위의 1차 봉합 및 드레싱 적용 후 2~3일 뒤 봉합 부위 재평가 후 지연 봉합 또는 괴사조직 제거 및 배농을 시행합니다. 상처 부위로부터의 미생물 배양검사를 통한 항생제를 투약하여 감염에 대한 회복지연을 예방합니다.
  • 6. 대상자의 건강력
    대상자는 23세 남성으로 축구를 하다 넘어져 오른쪽 무릎 열상 및 통증으로 본원 응급실에서 봉합 및 Splint 적용 후 수술을 위해 입원하였습니다. 과거력으로는 2017년 OOOO 병원에서 왼쪽 팔 혈관종 제거 수술과 탈장 수술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음주 및 흡연 경험은 없습니다.
  • 7. 대상자의 건강상태
    대상자는 평소 운동을 하지 않으며 건강증진을 위한 특별한 생활습관이 없습니다. 식습관은 기름진 음식을 선호하며 야채를 싫어하고, 하루 수분 섭취량은 종이컵 1컵(약 175mL)으로 부족한 편입니다. 배변은 3일 전에 마지막으로 하였으며, 변비 증상은 없습니다.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한 불안감을 호소하였으며, 수술 부위의 가려움증으로 긁고자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 8.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간호진단으로는 '신체적 손상요인과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 및 지식 부족과 관련된 불안', '체내 삽입물 및 비효과적 청결과 관련된 수술 부위 감염의 위험', '신체 활동량 부족 및 불충분한 수분/섬유질 섭취와 관련된 변비'가 도출되었습니다. 각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가 이루어졌습니다.
  • 9. 간호중재
    통증 관리를 위해 PRN 처방 약물 투여, 이완 요법 교육 등을 시행하였습니다. 불안 감소를 위해 수술 관련 정보 제공, 정서적 지지 등을 제공하였습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 투여, 주기적 드레싱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변비 예방을 위해 수분 및 섬유질 섭취 증진, 배변 습관 교정 등을 교육하였습니다.
  • 10. 간호평가
    통증 관리, 불안 감소, 감염 예방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단기목표는 대부분 달성되었으나, 변비 관리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으로 대상자의 건강상태 호전을 위한 간호중재가 적절히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Patella Undisplaced Fracture & Laceration
    An undisplaced patella fracture is a type of knee injury where the kneecap (patella) is broken but the bone fragments remain in their normal position. This type of fracture is often accompanied by a laceration, which is a cut or tear in the skin. The management of an undisplaced patella fracture with laceration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ddress both the bone injury and the soft tissue damage. The primary goals of treatment are to restore the normal function and alignment of the knee joint, promote healing, and prevent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or chronic pain. A multidisciplinary team, including orthopedic surgeons, physical therapists, and nurses, is typically involved in the care of patients with this type of injury. The specific treatment plan will depend on the severity of the fracture, the extent of the laceration, and the individual patient's needs and preferences. Careful assessment, appropriate immobilization, wound management, pain control, and a well-coordinated rehabilitation program are essential for achieving the best possible outcomes for patients with a patella undisplaced fracture and laceration.
  • 2. 골절의 원인
    골절의 원인은 다양하며, 크게 외부 외력에 의한 경우와 내부 요인에 의한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부 외력에 의한 골절은 교통사고, 낙상, 스포츠 활동 중 부상 등 급격한 힘이 가해져 발생합니다. 내부 요인에 의한 골절은 골다공증, 암 등 기저 질환으로 인해 뼈가 약해져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또한 근육 약화, 균형 장애, 시력 저하 등으로 인한 낙상도 골절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골절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적절한 치료와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의 병력, 생활 습관, 기저 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골절의 원인을 규명해야 합니다.
  • 3. 골절의 증상
    골절의 주요 증상은 통증, 부종, 변형, 운동 제한 등입니다. 통증은 골절 부위에 집중되며, 움직임이나 압박 시 악화됩니다. 부종은 골절 부위의 혈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할 수 있습니다. 변형은 뼈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 비정상적인 모양을 보이는 것으로, 심각한 경우 피부 손상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운동 제한은 통증과 변형으로 인해 관절 움직임이 어려워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외에도 출혈, 감각 저하,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골절 환자는 이러한 증상들을 경험하게 되며, 의료진은 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 4. 골절의 진단
    골절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청취, 신체 검진, 영상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병력 청취를 통해 골절의 원인, 발생 시간, 증상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신체 검진에서는 통증, 부종, 변형,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을 확인하고 신경 및 혈관 손상 여부를 평가합니다. 영상 검사로는 단순 방사선 촬영, CT, MRI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순 방사선 촬영은 골절 유무와 위치를 확인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며, CT는 골절의 형태와 정도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MRI는 연부 조직 손상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러한 다각도의 진단 과정을 통해 의료진은 골절의 정확한 유형과 중증도를 판단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5. 골절의 치료
    골절의 치료는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보존적 치료는 부목 고정, 석고 붕대 적용 등을 통해 골절 부위를 고정하고 움직임을 제한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단순 골절이나 안정적인 골절에 주로 적용됩니다. 수술적 치료는 골절 부위를 정복하고 내고정물(금속판, 나사 등)을 이용해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불안정한 골절, 개방성 골절, 관절면 골절 등 복잡한 골절에 주로 사용됩니다. 수술 후에는 재활 치료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관절 가동 범위 회복, 근력 강화, 일상 생활 복귀 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골절 치료 시 환자의 나이, 기저 질환, 골절 유형 및 중증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6. 대상자의 건강력
    대상자의 건강력 파악은 골절 치료 및 재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대상자의 과거력, 현병력, 투약력, 생활 습관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여 골절의 원인, 동반 질환, 예후 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골다공증이나 암 등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골절 위험이 높고 치유 과정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당뇨, 심혈관 질환 등 만성 질환은 감염 및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대상자의 생활 습관, 영양 상태, 운동 능력 등도 골절 치료 및 재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대상자의 건강력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인 맞춤형 치료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 7. 대상자의 건강상태
    대상자의 건강상태 평가는 골절 치료 및 재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골절 부위의 상태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우선 골절 부위의 통증, 부종, 변형, 운동 제한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평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골절의 유형과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상자의 전신 상태, 활력 징후, 영양 상태, 피부 상태 등을 확인하여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평가해야 합니다. 이는 감염, 욕창, 근육 위축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을 예측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대상자의 정신 심리 상태도 함께 파악하여 통증, 불안, 우울 등의 증상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건강 상태 평가를 통해 의료진은 개인 맞춤형 치료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8.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골절 환자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력, 건강 상태, 증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간호진단을 내려야 합니다. 대표적인 간호진단으로는 '통증', '활동 및 운동 장애', '피부 통합성 장애', '감염 위험' 등이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간호사는 목표 설정, 중재 계획, 평가 등의 간호과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통증 관리, 운동 및 활동 증진, 상처 관리, 감염 예방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대상자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상자와 보호자의 교육, 상담, 지지 등 다양한 간호활동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러한 간호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9. 간호중재
    골절 환자의 간호중재는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우선 통증 관리가 중요한데, 진통제 투여, 온열 요법, 마사지 등의 중재를 통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운동 및 활동 증진을 위해 관절 가동 범위 운동, 근력 강화 운동, 보행 훈련 등을 시행해야 합니다. 상처 관리에는 드레싱 교환, 감염 징후 모니터링, 상처 치유 증진 등의 중재가 포함됩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무균 술기 준수, 예방적 항생제 투여, 영양 상태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이 외에도 욕창 예방, 심부 정맥 혈전 예방, 심리 사회적 지지 등 다양한 간호중재가 요구됩니다. 이러한 간호중재들은 대상자의 상태와 요구에 맞춰 개별화되어야 하며, 다학제 팀과의 협력 하에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 10. 간호평가
    골절 환자의 간호평가는 치료 및 재활 과정 전반에 걸쳐 이루어져야 합니다. 간호사는 정기적으로 대상자의 건강 상태, 증상, 기능 수준 등을 평가하여 간호중재의 효과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통증, 부종, 운동 범위, 상처 치유 상태 등의 객관적 지표를 측정하고, 대상자의 주관적 경험과 만족도도 함께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일상 생활 수행 능력, 재활 진척 상황, 합병증 발생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 문제 해결 정도를 확인하고, 필요 시 간호중재를 수정 및 보완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치료 과정과 예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관리와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간호평가는 골절 환자의 최적의 건강 결과 달성에 기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