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문곡선_기저유출분리
본 내용은
"
수문곡선_기저유출분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7
문서 내 토픽
-
1. 수문곡선수문곡선은 하천의 특정 또는 유량을 알고자 하는 단면 단면에서의 수위 혹은 유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표시하는 곡선이다. 수위는 수위수문곡선, 유량은 유량수문곡선이라고 한다.
-
2. 유출의 구성성분유출은 직접유출(강수 후 비교적 단시간에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유출의 한 부분), 기저유출(비가 오기 전의 평상시 유출, 지하수 유출수, 시간적으로 지연된 지표하유출수)로 구성된다.
-
3. 수문곡선의 구성수문곡선의 구성요소에는 첨두유량(유량이 최대인 지점), 첨두시간(수문곡선의 상승시점에서 첨두까지의 시간), 지체시간(유효우량주상도의 질량중심으로부터 첨두유량이 발생하는 시각까지의 시간차), 도달시간(수문곡선에서 유효우량이 끝나는 시점에서 변곡점까지의 시간), 기저시간(수문곡선의 상승기점부터 직접유출이 끝나는 지점까지의 시간), 변곡점(지표면 유출이 끝나는 시간을 표시), 감수곡선(첨두유량 도달 이후 유출량이 감소하는 부분의 곡선)이 있다.
-
4. 수문곡선의 분리수문곡선의 직접유출분과 기저유출분을 분리하는 방법에는 지하수 감수곡선법, 수평직선 분리법, N-day법, 수정 N-day법 등이 있다. 또한 HYSEP 프로그램과 PART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
5. 기저유출량 산정방법기저유출량 산정방법에는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을 이용하는 방법과 도식적 방법(지하수 감수 곡선법, 수평 직선 분리법, N-day법, 가변 경사법 등)이 있다.
-
1. 수문곡선수문곡선은 강우 사상에 따른 유출 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강우량과 유출량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홍수 예보, 수자원 관리, 수력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수문곡선의 형태는 유역의 지형, 토양, 토지 이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분석하면 유역의 수문학적 반응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문곡선 분석은 수자원 관리와 수공 구조물 설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유출의 구성성분유출의 구성성분은 크게 직접유출, 기저유출, 중간유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직접유출은 강우 직후 빠르게 발생하는 유출로, 주로 지표면을 통해 이동합니다. 기저유출은 지하수의 유출로 인해 발생하며, 장기간 지속됩니다. 중간유출은 토양층을 통해 이동하는 유출로,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집니다. 이러한 유출 구성성분의 분석은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홍수 예보, 수자원 관리, 수질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출 구성성분에 대한 이해와 분석은 매우 중요합니다.
-
3. 수문곡선의 구성수문곡선은 강우 사상에 따른 유출 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크게 상승부, 정점부, 하강부로 구성됩니다. 상승부는 강우 시작 후 유출이 증가하는 부분으로, 유역의 지형, 토양, 토지 이용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입니다. 정점부는 유출량이 최대가 되는 부분으로, 강우 강도와 지속시간에 따라 결정됩니다. 하강부는 강우 종료 후 유출량이 감소하는 부분으로, 유역의 저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입니다. 이러한 수문곡선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면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홍수 예보, 수자원 관리, 수공 구조물 설계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4. 수문곡선의 분리수문곡선의 분리는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구분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수문곡선 분리 방법으로는 직선법, 지수법, 유역면적법 등이 있습니다. 직선법은 수문곡선의 하강부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구분하는 방법이며, 지수법은 수문곡선의 하강부를 지수 함수로 근사하여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유역면적법은 유역의 면적과 유출 특성을 고려하여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수문곡선 분리 방법은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홍수 예보, 수자원 관리, 수질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5. 기저유출량 산정방법기저유출량은 지하수의 유출로 인해 발생하는 장기적인 유출 성분으로, 수자원 관리와 수질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저유출량 산정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직선법, 지수법, 유역면적법 등이 있습니다. 직선법은 수문곡선의 하강부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기저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며, 지수법은 수문곡선의 하강부를 지수 함수로 근사하여 기저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유역면적법은 유역의 면적과 유출 특성을 고려하여 기저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기저유출량 산정 방법은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수자원 관리, 수질 관리, 수공 구조물 설계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이재수 수문학(구미서관) 연습문제 10장 20페이지
10.1유역면적이 579km ^{2}인 어떤 유역에 다음 표와 같은 강우와 유출이 발생하였다. 수평직선 분리법에 의해 기저유량을 분리하고 단위유량도를 유도하라.시간(hr)강우강도(mm/hr)총유량m ^{3} /sec시간(hr)강우강도(mm/hr)총유량m ^{3} /sec01.515157114.8681664215.31291758313.12071853410.2327194855.3444204263.7477213972.*************330922424261017125221114226191211927141310028101482(풀이)...2021.04.21· 20페이지 -
이재수 수문학(구미서관) 연습문제 9장 11페이지
9.1유역면적인2,645km ^{2}인 하천출구지점에서 1일부터 유출관측을 시작하여 3일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하였다. 유량측정결과가 다음 표와 같을 때 수평직선분리법, N-day법, 수정 N-day법을 사용하여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분리하라.시간(day)유량(m ^{3} /sec)시간(day)유량(m ^{3} /sec)1*************60103230323401127604343001223405250001320606140001417707896015152085740161320(풀이)N=0.827A ^{0.2}##N=0.827 T...2021.04.21· 11페이지 -
윤용남저 수문학 8장 연습문제입니다. 89페이지
8. 1 다음 표는 24시간 간격의 수문곡선종거를 표시하고 있다. 이 수문곡선을 반대수지에 표시하여 지표면 유출, 중간 유출 및 지하수 유출에 대한 감수상수를 구하라. 각 유출 성분의 용적도 구하라. 시간(days) 유량(m3/sec) 시간(days) 유량(m3/sec) 1 2,340 8 3,230 2 34,400 9 2,760 3 25,000 10 2,390 4 14,000 11 2,060 5 8,960 12 1,770 6 5,740 13 1,520 7 4,300 14 1,320 sol) 시간 ( days ) 유량 ( m3/sec...2010.05.19· 89페이지 -
인하대학교 수공시스템설계 homework #2 6페이지
수공시스템설계Design of Hydrologic and Hydraulic Systems1.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1) Unit hydrograph.(a) Could you write why we want to get a unit hydrograph in a watershed?단위도는 특정 지속기간동안 균일한 강도를 가지고 유역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내리는단위 유효우량에 의해 발생하는 직접유출수문곡선으로 정의된다.단위도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수문학적 문제 해결 또는 연구를 위해 이용되어진다.1. ...2020.02.19· 6페이지 -
인하대학교 수공시스템설계 homework #1 4페이지
수공시스템설계Design of Hydrologic and Hydraulic Systems1.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1) 허리케인 플로렌스와 태풍 망쿳으로 미국과 필리핀이 많은 피해가 있었다. 허리케인과 태풍이 점점 강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그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지구온난화와 태풍의 연결고리는 바로 해수면 온도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태풍은 적도 부근의 바다가 태양열을 받아 수증기로 증발하면서 발달하는 열대저기압이다. 이때 해수면의 온도는 27℃가 넘는다고 한다.한껏 달아오른 수증기가 하늘로 ...2020.02.19· 4페이지